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호주 와인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호주 와인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신대륙 와인을 거론할 때, [[미국]], [[칠레]]와 함께 반드시 언급되는 나라가 [[호주]]다. 신대륙 중에서 [[와인]]을 만든 역사도 오래된 편이고, 넓은 땅덩이와 [[포도]] 농사에 좋은 기후와 토질을 가지고 있는 지역이 많기 때문에<ref>포도는 여름이 건조하고 비가 적으며, 일조량은 쨍쨍하고 토질도 석회질이 많아서 푸석한 곳에서 농사가 잘 된다. 호주 기후는 이런 조건에 꽤 잘 맞는 곳이 많다.</ref> 다양한 품종의 다양한 와인들을 만들어 내고 있으며, 품질 역시도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호주]] 와인의 특징 중에 하나는 트위스트 캡이다. 일부 고가 와인을 제외하고는 거의 대부분 [[와인]]들이 [[코르크]]가 아닌 돌려 따는 뚜껑을 사용하고 있는데, 어느 게 더 낫냐 하는 문제는 그동안 내내 논란이 되어 왔다. 코르크가 미세하게 공기를 통과시키기 때문에 시간의 흐름에 따른 숙성에 도움이 된다는 게 많은 사람들의 믿음이지만 이는 한편으로 숙성 기간을 단축시킨다는 반론도 있고, 무엇보다도 [[코르크]]의 밀폐력을 장담할 수 없다는 게 문제다. 와인에 따라서 병을 막는 데 쓰인 코르크가 불량일 수도 있고<ref>매트 스키너의 <와인 스타일 북>에 따르면 [[코르크]]로 막은 와인들 가운데 약 5%가 코르크 오염으로 변질된다고 한다. </ref> 온도 변화에 따라서 병 안의 공기가 팽창해서 [[코르크]]가 솟아오른다든가 하는 문제도 있다. 가끔 [[와인]] 포일을 벗겼을 때 [[와인]]이 새어나와서 말라붙은 것을 발견할 때가 있는데, 코르크가 불량이거나 보관 불량, 온도 변화와 같은 이유로 틈이 생겼기 때문이다. 트위스트 캡은 밀폐력만큼은 확실하기 때문에 보관이 쉽다는 게 가장 큰 장점으로 꼽히는데, 특히 [[호주]]와 [[뉴질랜드 와인]]들은 절대 다수가 트위스트 캡을 애용하고 있다. [[호주]] 와인의 본진으로 손꼽히는 곳은 뭐니뭐니해도 [[애들레이드]]를 중심으로 한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주]]로, 바로사 밸리, 맥클라렌 베일, 애들레이드 힐을 비롯한 쟁쟁한 [[와인]] 산지들이 즐비하게 포진하고 있다. 특히 [[바로사 밸리]]는 [[호주]]에서 가장 비싼 [[와인]]들이 줄줄이 나오는 곳으로 명성이 자자하며, [[호주]]에서 가장 비싼 와인인 [[펜폴즈 그랜지]]도 바로 이곳에서 나온다. 남쪽 해안을 따라서 [[빅토리아 주]] 역시도 야라밸리나 모닝턴반도를 비롯해서 준수한 [[와인]]을 뽑아내는 산지들이 있으며, 비교적 발동이 늦게 걸린 편이지만 [[웨스트오스트레일리아 주]]도 아직은 점유율이 미미한 수준이지만 마거릿밸리를 중심으로 근사한 [[와인]]을 만들어내면서 명성을 높여 가고 있다. 반면 [[뉴사우스웨일스 주]]나 [[퀸즐랜드 주]]는 존재감이 약한 편이다. [[타즈매니아]]도 분전하고 있지만 아직은 많이 부족한 편. <del>[[노던 준주]]는 뭐... 무시하자. 거긴 너무 무더워.</del> 많은 [[포도]] 품종들을 재배하고 있지만 그 중에서도 [[호주]] [[와인]]에서 가장 손꼽히는 품종은 뭐니뭐니해도 [[쉬라즈]]다. [[카베르네 소비뇽]], [[메를로]], [[피노 누와르]]를 비롯해서 다양한 적포도 품종들을 만들고 있지만 그래도 [[호주]] [[와인]]이라면 [[쉬라즈]]가 대표격이고, [[호주]] [[와인]] 중 가장 비싼 [[펜폴즈 그랜지]] 역시 [[쉬라즈]]를 주종으로 한다. [[쉬라즈]] 100%만으로 만드는 [[와인]]도 많으며, 프랑스 [[론 와인]]처럼 [[그르나슈]], [[무르베드르]]와 갈은 품종을 블렌딩한 [[와인]]도 많이 만들고 있다. [[화이트 와인]] 쪽으로는 [[샤르도네]], [[소비뇽 블랑]], [[피노 그리]], [[리슬링]]을 비롯해서 역시 다양한 품종들을 재배하고 있으며 가성비 좋은 오크 숙성 [[샤르도네]] [[와인]], 아로마가 우아한 [[소비뇽 블랑]] [[와인]]<ref>다만 [[소비뇽 블랑]] [[와인]]은 [[호주]]보다는 [[뉴질랜드]] 쪽이 세계적으로는 좀더 인지도가 높은 편이다.</ref>들을 어렵지 않게 만날 수 있다. [[스파클링 와인]]도 열심히 만드는 중. 특히 [[쉬라즈]]로 만드는 [[레드 와인]]인 [[스파클링 와인|스파클링 쉬라즈]]도 만들고 있다. 스파클링 레드 와인은 다른 나라에서는 보기 쉽지 않은데 [[호주]]에서는 인기가 좋다. {{각주}} [[Category:와인]] [[Category:호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원본 보기
)
호주 와인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