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홋카이도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홋카이도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ほっかいど(北海道)。 일본의 네 개 주요 섬 중에 가장 북쪽에 자리 잡은 섬. 혼슈 북쪽 끝자락과 츠가루해협을 마주보고 있다. 크기로는 혼슈 다음으로 커서 일본 총 면적의 22%, 즉 4 분의 1 가까이를 차지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도 21번째로 큰 섬으로 꼽힌다. 하지만 워낙에 개척이 늦게 되었고 불모지도 많고, 변방으로 취급 받는다. 홋카이도보다 더 작은 [[큐슈]]보다도 경제력이나 인구가 딸리는 실정. <del>그나마 [[시코쿠]]가 있어서 꼴찌는 면하고 있다.</del> 흔히 훗(ㅎ+ㅜ+ㅅ)카이도로 잘못 쓰는데 홋(ㅎ+ㅗ+ㅅ)카이도가 올바른 표기다. 일본어 발음으로는 혹카이도에 가깝다. 한국에서는 도쿄를 '동경'이라고 부르는 것과 비슷하게 홋카이도도 北海道를 한자 그대로 읽어서 '북해도'라고 부르기도 한다. <del>그런데 [[오사카]](大阪)는 왜 '대판'이라고 안 부르지?</del> 땅덩어리는 남한의 80% 정도에 이를 정도로 크지만 인구는 500만을 좀 넘는 수준으로 인구밀도가 무척 작다. 아무래도 척박한 기후 문제가 가장 컸을 것이다. 그나마 절반 이상은 삿포로 지역에 몰려 있어서 사실상 불모지인 곳이 많다. 최대 도시는 물론 [[삿포로시]]로, 도청 소재지인 것은 물론 행정, 경제, 문화의 중심지다. 그 다음으로는 [[아사히카와]], [[하코다테]] 순서고, 존재감이 있는 도시는 이게 다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삿포로시]]는 인구가 200만에 조금 못미칠 정도로 [[일본]] 5위를 차지하는 큰 도시지만 그 다음 [[아사히카와]]는 인구 34만 명으로 훅 떨어진다. 이 세 개의 도시 말고는 유바리판타스틱영화제로 좀 알려져 있고 <del>파산한 걸로도 잘 알려져 있는</del> 유바리 정도가 좀 많이 알려진 곳이다. 일본 최북단을 차지하고 있는 섬이니 당연히 일본 최북단 도시도 홋카이도에 있다. 바로 [[왓카나이]]. 사실 [[러시아]]의 사할린반도와도 라페루즈해협(소야해협)<ref>러시아에서 부르는 이름은 라페루즈해협으로 국제적으로도 이쪽이 통용되지만 [[일본]]에서는 소야해협이라고 부르고, 한국을 비롯한 이웃나라들도 소야해협으로 부르는 경우가 많다.</ref>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고 있다. 양쪽 영토 사이의 최단거리는 대략 40 km 정도밖에 안 된다. 당연히 맑은 날에는 홋카이도의 북쪽 바닷가에서 사할린반도를 잘 볼 수 있다. 경제는 [[혼슈]]나 [[큐슈]]에 비해서는 많이 처져 있다. 농축수산업과 관광 산업을 중심으로 한 서비스업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반면 제조업 쪽으로는 별볼일 없는 실정. 그래도 청정 지역이라는 이미지가 있어서 농수산물도 그렇고 낙농업 쪽으로는 [[일본]]에서 가장 고급으로 쳐주는 지역이다. [[일본]]의 제빵이나 제과 쪽에서 고급스러운 재료를 썼다는 뜻으로 '홋카이도산 유제품 사용'이라는 문구를 종종 볼 수 있다. 주류 산업으로도 은근히 잘 나가는 편인데, 일단 [[삿포로맥주]]는 이름처럼 [[삿포로]]에 기반을 두고 있다. [[삿포로]] 일대에 공장과 각종 시설들이 여럿 포진하고 있다. 하지만 지금은 본사도 [[도쿄]]에 있고 생산시설도 일본 전역에 분산되어 있는지라 홋카이도 경제에 기여하는 바는 생각만큼 크지 않다. [[아사히카와]]를 중심으로 질 좋은 [[니혼슈]]도 생산되고 있고, [[닛카위스키]]의 본진 [[요이치증류소]]도 홋카이도에 자리 잡고 있다. 창업자 타케츠루 마사타카가 [[산토리]]에 재직할 때 [[스코틀랜드]]와 기후가 가장 비슷한 홋카이도에 공장을 만들고 싶어 했지만 물류와 시장성 문제로 [[산토리]] 측이 반대하면서 결국 결별하고 홋카이도에 터를 잡았다. 한국에서 가려면 예전에는 [[대한항공]]의 [[인천공항|인천]]-[[삿포로]] 노선 하나 정도 였고 가끔 [[아시아나항공]]이 계절편으로 [[아사히카와]]와 노선을 운항했지만<ref>[[인천공항|인천]]-[[아사히카와]]는 931 마일로 한국-[[일본]] 직항 중에 제일 긴 노선이었다. 그 다음 긴 노선도 870 마일의 [[인천공항|인천]]-[[삿포로]]. [[인천공항|인천]]-[[오키나와]] 노선이 제일 먼 것으로 생각하는 사람들도 많지만 이쪽은 785마일로 [[삿포로]]보다도 짧다. [[아사히카와]] 노선은 정기편이 아니기 때문에 정기편으로는 [[삿포로]]가 더 길다.</ref> 2016년부터는 [[아시아나항공]]도 이쪽에 뛰어들었고, [[저가항공사]]들도 뛰어들어서 [[부산]]과 [[대구]]에서도 항공편으로 [[삿포로]]로 갈 수 있게 되었다. [[일본]] 다른 지역에서 이곳으로 갈 때에도 항공편을 많이 이용하는 편이다. 해저터널인 세이토터널이 있어서 [[혼슈]]와 홋카이도가 육상 교통으로 이어지긴 했지만 수용 능력에 한계도 있고, 여전히 도로 및 철도 교통은 홋카이도 안에서도 그닥 좋지는 않은지라 시간이 오래 걸려서... 홋카이도 신칸센이 건설되어 홋카이도 남쪽 끝자락 [[하코다테]]까지는 [[신칸센]]이 들어오지만 [[삿포로]]까지 개통하려면<ref>정확히는 [[삿포로]]를 지나서 [[오타루]]까지 개통할 예정이다.</ref> 2035년이므로 아직 머나먼 하세월이고, 설령 건설된다고 해도 이런저런 사정<ref>특히 해저터널과 그 인근 구간에서 속도를 많이 못 내는 게 문제다.</ref>으로 [[4시간의 벽]]은 못 넘을 분위기라 여전히 홋카이도는 항공 수요가 많고 앞으로도 많을 것으로 보인다. [[하네다공항|하네다]]-[[삿포로]] 구간은 한국의 [[김포공항|김포]]-[[제주공항|제주]] 노선 다음으로 세계에서 승객이 가장 많은 노선이다. 한편 [[삿포로]]-[[오키나와]] 구간은 1,397 마일로 [[일본]]에서 가장 긴 국내선 구간. 참고로 한국에서 가장 긴 국내선 구간은 [[제주]]-[[원주]]로 282 마일이니까 [[삿포로]]-[[오키나와]]가 거의 5배나 더 멀다. 홋카이도 안에서도 땅덩이는 넓은데 도로나 철도망이 썩 좋은 편은 아닌데다가, 그나마도 [[JR]] 민영화 이후에는 [[JR홋카이도]]가 수익성 안나오는 철도 노선을 대규모로 폐선해 버린 관계로 육상 교통은 더더욱 악화되었다. 홋카이도 내부에서도 좀 먼 거리는 항공 노선이 구축되어 있다.<ref>땅덩이가 넓고 인구는 적은 지역은 오히려 지역의 소형 항공이 발달하는 경우가 많다. [[호주]]가 대표적인 예.</ref> 홋카이도를 주 무대로 하는 항공사로 [[AIR DO]]가 있다. {{각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원본 보기
)
홋카이도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