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2007 F1 스파이게이트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2007 F1 스파이게이트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Spygate. 2007년 [[포뮬러 1]]은 물론, [[포뮬러 1]] 역사에서 최악의 산업 스파이 스캔들로 기록될 사건. 이후 [[르노 팀]]에서 터진 일종의 승부조작 사건인 [[크래시게이트]]와 함께 [[F1]]의 양대 스캔들로 기록되고 있다. 간략하게 정리하면 [[페라리]]의 엔지니어 나이젤 스텝니가 경쟁 팀 [[맥클라렌]]의 기술 감독이자 친구인 마이크 코글란에게 [[페라리]]의 무려 780여 쪽에 이르는 각종 기술 관련 정보를 넘겨준 사건이다. 그 결과 [[맥클라렌]]은 1억 달러라는 모터스포츠 사상 최고 액수의 벌금에 더해 시즌 컨스트럭터 포인트를 몰수 당했다. 드라이버 포인트는 유지되었지만 그 해 팀 메이트였던 [[페르난도 알론소]]와 [[루이스 해밀턴]]의 불화 속에서 [[키미 라이코넨]]이 어부지리로 드라이버 타이틀을 차지하는 바람에 [[맥클라렌]]은 망신살 뻗친 최악의 한 해를 보낸다. 또한 이 사건으로 [[론 데니스]]는 팀 수장 자리에서 물러난다. ==사건의 발단== 미하엘 슈마허가 타이틀을 휩쓸던 [[페라리]]의 황금기 시절, 팀 감독 [[쟝 토드]], 기술 감독 로스 브론, 차량 설계 책임자 로리 바인으로 이어지는 다국적 드림 팀의 일부로 손꼽히던 인물이 영국 출신의 나이젤 스텝니였다. 당시 슈마허의 수석 미캐닉이었다면 더 이상 설명이 필요한지? 그런데 슈마허가 은퇴를 선언하고 드림 팀을 이루었던 사람들이 줄줄이 [[페라리]]를 떠나고 그 자리들은 이탈리아인 중심으로 채워졌다. 특히 로스 브론까지 팀을 뜨면서 나이젤의 실망감은 굉징히 커졌다. 2007년에는 "지금 팀의 상황에 만족하지 않는다"고 공개적으로 말할 정도로 불만이 커졌고, [[페라리]]는 그를 팀 성능개발팀장으로 임명하면서 레이스에서 손을 떼게 한다. 2007년 6월 미국 그랑프리가 열린 시기에 페라리는 스텝니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는데, 언론 보도에 따르면 [[모나코 그랑프리]]를 앞두고 엔진에 이물질(흰 가루)이 발견되었는데 이 짓을 한 사람이 스텝니였다는 것. 또한 페라리는 스텝니 해고와 함께 [[맥클라렌]]의 "한 엔지니어"를 상대로 역시 소송을 제기한다. 곧 그가 기술 감독 마이크 코글란으로 밝혀졌고, [[맥클라렌]]이 그를 정직 처분했다는 것도 밝혀진다. 2007년 7월, [[국제자동차연맹]](FIA)은 사건 조사와 심리에 들어갔는데, 그 결과 [[맥클라렌]]이 [[페라리로부터 기밀 정보를 받은 것은 사실이지만 이것을 이용했다는 증거가 없다면서 어떠한 처벌도 내리지 않았다. 단, 새로운 증거가 발견될 경우 다시 심리한다는 단서만 붙였다. [[페라리]]는 당연히 이러한 결정에 빡쳤지만 [[맥클라렌]] 측은 [[호주 그랑프리]] 때 [[페라리]]가 규정을 위반한 하체를 사용했다면서, 스텝니는 이러한 위반에 관련한 정보를 제공한, 일종의 "내부 고발자"였다고 주장한다. 또한 스텝니가 넘겨준 자료는 코글란이 개인적으로 가지고 있었을 뿐 팀 안에서 돌지도 않았고 아무도 알지도 못했다고 주장했다. ==[[맥클라렌]]의 셀프 빅엿== 이렇게 좀 잠잠해지나 했던 스캔들의 실체가 세상에 까발려지게 된 데에는 [[맥클라렌]]의 팀 메이트 [[페르난도 알론소]]와 [[루이스 해밀턴]]의 불화<ref>언론에서는 '카인과 아벨'에 비유하는가 하면 최강의 콤비였지만 최악의 원수지간이기도 했던 [[아일톤 세나]]와 [[알랭 프로스트]]에 비교하기도 했다.</ref>가 작용했다. 베네통에서 두 번이나 월드 챔피언을 차지한 후에 [[맥클라렌]]으로 전격 이적을 선언한 페르난도 알론소. 그런데 같은 해 [[맥클라렌]]은 전통을 깨고 [[루이스 해밀턴]]<ref>대부분 톱 클래스 팀들이 그렇지만 [[맥클라렌]]도 아무리 재능이 있어도 [[F1]] 경험이 없는 드라이버를 바로 레귤러로 올리지 않았다. 적어도 중하위팀에서 1~2년 하는 걸 보고 스카웃하는 식이었다.</ref>을 드라이버로 발탁한다. 해밀튼은 [[론 데니스]]가 카트 시절부터 키워 온, 거의 자식 같은 드라이버였기 때문에 [[알랭 프로스트]]부터 여러 전문가들이 "알론소 너 큰일났다."를 외쳤다. 당연히 두 번이나 챔피언을 차지한 알론소에 더 많은 지원을 해야 하지만 [[론 데니스]]의 자식 같은 해밀턴에게 오히려 더 투자할 거라는 걱정이었는데, 캐나다 그랑프리에서 해밀턴이 우승하면서부터 이 둘의 갈등이 수면 위로 떠오르기 시작한다. 특히 둘 사이의 불화가 극에 달한 것은 헝가리 그랑프리였다. 예선에서 해밀턴은 팀의 지시를 어기고 멋대로 행동해서 그 결과 알론소가 불이익을 받았고, 빡친 알론소는 피트 레인에서 해밀턴을 뒤에 묶어 놓으면서 마지막 예선 랩 시도를 못하게 망쳤다. [[론 데니스]]가 헤드폰을 집어던질 정도로 팀의 분위기는 그야말로 [[콩가루]]. 이 일로 폭발한 알론소는 경기 후에 [[론 데니스]]를 만나서 자신을 챔피언으로 대우해 달라면서, 그렇지 않으면 팀의 서드 드라이버인 페드로 데 라 로사<ref>알론소와 데 라 로사는 같은 스페인 출신이었기 때문에 아마도 별 얘기 다 했을 거고, 그래서 알론소가 이런 내막을 알고 있었을 것이다.</ref>와 마이크 코글란 사이에 있었던 이메일을 폭로해 버리겠다고 질러버린 것이다. 그런데 [[론 데니스]]는 <del>뭔 약을 처먹었는지</del> 이런 일이 있었다는 사실을 [[FIA]] 회장 [[맥스 모즐리]]에게 알리면서, 알론소가 공갈 협박을 한다는 식으로 이야기했다. 그러나 [[맥스 모즐리]]는 이거 뭔가 있는데, 하고 다시 조사를 지시하고, [[맥클라렌]]의 드라이버들에게 조사에 협조하면 개인적인 불이익을 주지 않겠다고 제안해서 사건에 관련된 이메일을 넘겨 받았다. 결국 스텝니가 넘겨준 정보가 팀 안에서 돌았다는 사실이 밝혀졌고, 그 정보의 출처가 나이젤 스텝니이고 건네 받은 사람이 마이크 코글란이라는 사실까지도 이미 팀 내부에 아는 사람들이 꽤나 있었다는 사실까지 드러났다.<ref>다만 둘 사이에 금전거래는 없었던 것으로 확인했다. 즉 스텝니가 팀 돌아가는 분위기에 빡쳐서 엿먹으라는 심산으로 친구였던 코글란에게 기밀 정보를 넘긴 것으로 보인다.</ref> 결국 [[맥클라렌]]은 1억 달러 벌금<ref>단, 컨스트럭터 포인트 몰수에 따른 TV 중계료 배분 및 물류비 지원 박탈에 해당하는 액수는 공제했다.</ref> + 컨스트럭터 포인트 몰수라는 전대미문의 처벌을 받았다. 드라이버들은 [[FIA]]가 제안한 대로 포인트 몰수와 같은 처벌을 면제 받았다.<ref>물론 당사자 페라리를 비롯해서 많은 [[F1]] 관계자와 팬들이 '그게 말이 되냐'고 빡친 것 당연지사.</ref> 여기에 더해서 이듬해인 2008년 [[맥클라렌]] 팀의 섀시는 [[페라리]] 기밀 정보를 사용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특별 기술검사 대상으로 지정했다. 어쨌거나 스파이게이트의 실체가 드러난 계기가 [[론 데니스]]의 자진신고였다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론 데니스]]가 과연 스파이게이트의 내막을 알았는가 하는 것도 논란이 되었다. 정황을 보면 아무래도 [[론 데니스]]는 잘 몰랐던 것으로 보인다. ==[[르노]] 스파이게이트== [[맥클라렌]]-[[페라리]]의 스파이게이트가 한창 논란이 되던 시기에 이번에는 [[르노 팀]]이 2006년과 2007년 [[맥클라렌]] 차량과 관련 있는 기밀 정보를 빼갔다는 제2의 스파이게이트가 불거졌다. [[맥클라렌]]의 엔지니어가 르노 팀으로 이적하면서 맥클라렌의 기밀 정보를 CD에 담아 빼갔다는 것인데, [[FIA]] 조사 결과 이것이 사실로 인정은 되었지만 실제 [[르노 팀]]이 이것으로 이득을 봤다는 증거가 부족하다면서 실제 처벌은 하지 않고 징계 유예 처분을 내려서 논란이 되었다. 일부에서는 오히려 이쪽이 더 질이 나쁜 스파이 사건인데도 [[FIA]]가 [[맥클라렌]]에게만 가혹한 잣대를 들이댄다면서, 그 이유로 '피해자'가 [[페라리]]<ref>[[FIA]]는 예전부터 [[페라리]] 및 [[이탈리아]] 쪽에 편향적이라는 비난을 종종 받아 왔다. 요즈음은 [[메르세데스GP]] 편향이라고 욕먹고 있다. <del>어느 나라나 협회가 욕받이인 건 마찬가지인가보다.</del></ref>이기 때문이라든가, [[맥스 모즐리]]와 [[론 데니스]]가 사이가 나쁘기 때문이라든지 하는 주장들이 나왔다. 이 때 [[르노]] 팀을 이끌고 있던 인물은 플라비오 브리아토레와 팻 시몬즈인데, 이 때에는 사실상 아무런 처벌도 받지 않았으나 이후 터진 [[크래시게이트]] 때문에 박살났다. ==그 이후== 비록 컨스트럭터 포인트는 몰수당했지만 드라이버 포인트는 몰수되지 않았기 때문에 마지막 경기를 앞두고 당시 [[페르난도 알론소]]든 [[루이스 해밀턴]]이든 누구든 우승만 하면 월드 챔피언십을 차지할 수 있을 정도로 유리한 고지를 차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반목이 극에 달한 두 드라이버, 그리고 [[콩가루]]가 된 팀 분위기 속에서 결국 [[키미 라이코넨]]이 우승을 차지하면서 딱 1 포인트 차이로 드라이버 챔피언십까지 가져가는 결과를 낳았다. 이후 알론소는 맥클라렌과 3년 계약을 양자 합의로 1년만에 종료하고 친정이었던 르노<ref>알론소가 있었을 때는 [[베네통]]이었지만 르노가 인수하면서 [[팀 르노]]로 이름이 바뀌었다. 하지만 알론소의 후견인 격이었던 플라비오 브리아토레는 당시 그대로 팀에 남아 있었다.</ref>로 돌아가고, 해밀튼은 2018년에 막판까지 치열한 경합 끝에 마지막 브라질 그랑프리에서 마지막 코너의 대역전 드라마로 첫 월드 챔피언에 등극하는 데 성공한다. 또한 [[론 데니스]]는 팀 단장 직에서 물러나고 마틴 위트마시 체제로 굴러가게 된다. 이후 [[론 데니스]]가 일종의 내부 쿠데타를 일으켜서 위트마시를 밀어내고 단장으로 복귀하지만 2년만에 다시 경영권 다툼에서 밀려나고 만수르 오제를 필두로 한 아랍 자본이 그룹을 장악한다. [[맥클라렌]]의 벌금은 이후에 좀 감액되었는데 [[FIA]]는 이 돈으로 [[모터스포츠]] 발전을 위한 기금을 조성했고, 저개발국가의 발전 프로젝트나 유망주 육성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FIA]]의 징계와는 별개로 [[페라리]]는 [[이탈리아]] 법원에 [[맥클라렌]]의 관련자들을 대상으로 소송을 제기했고 2009년에 마이크 코글란과 패디 로우, 조나선 닐, 롭 테일러에게 벌금 처분을 내리는 것으로 마무리했다. 이 사건으로 1년 8개월을 복역한 나이젤 스텝니는 2014년 교통사고로 일찍 세상을 등진다. 마이크 코글란은 징계가 풀리면서 2011년 [[윌리엄스 팀]]의 수석 기술 책임자로 복귀하지만 2013년에 성적 부진으로 추측되는 이유로 팀을 떠나 미국의 [[나스카]] 팀인 리처드 차일드리스 레이싱으로 옮겼고, 2107년에 팀에서 나온 이후로는 영국으로 돌아와서 모터스포츠와는 관련이 없는 엔지니어링 일을 하고 있다. {{각주}} [[Category:F1]]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원본 보기
)
2007 F1 스파이게이트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