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A330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A330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에어버스]]의 민간용 여객기. 중장거리용 중형 광동체 쌍발 여객기다. [[에어버스]]의 중형 광동체로는 4발기인 [[A340]]도 있었지만 [[777]]에 밀려서 얼마 못 가서 단종되어 버렸기 때문에 이웃 보잉은 [[747]], [[777]], [[767]]까지 다양한 광동체로 장사를 하는 동안 [[A380]]과 [[A350]]이 등장하기 전까지는 중장거리 시장에서 사실상 A330 하나로 버틴 셈이다. A330을 보잉 [[777]]의 라이벌로 생각하는 사람들도 많지만 A330 쪽이 객실 면적이나 수용 인원이 [[777]]보다는 적기 때문에 같은 시장이라고 보기에는 어긋나는 면이 있다. 체급으로 보면 [[767]] < A330 < [[787]] < [[A350]] < [[777]] < [[747]] < [[A380]]이라고 할 수 있다. [[777]]만큼의 인기는 아니지만 많은 항공사들에서 채택해서 잘 굴리고 있는 스테디셀러. 우리나라 역시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모두 A330을 많이 굴리고 있다. [[보잉]]에서 [[777]]보다 약간 작은 [[787]]을 들고 나와서 A330을 위협하고 있다. 반면 에어버스는 [[A350]]을 내놓고 [[777]] 시장을 깎아먹으려고 노리고 있다. [[비즈니스 클래스]]는 2-2-2 배열이 기본이다. 대부분 항공사들은 [[이코노미 클래스]] 기준으로 2-4-2 배열을 채택하고 있다. 즉 어디든 안쪽 좌석에서 한 사람만 넘어가면 복도로 나올 수 있다.<ref>3-3-3 배열이라면 양쪽 창가에 있는 승객은 옆 승객 두 명을 넘어야 복도로 나올 수 있다.</ref> 최근 [[유럽]]이나 중동 항공사들이 [[777]]에 1열 10좌석을 욱여넣는<ref>보통은 3-3-3 배열로 놓지만 최근 3-4-3 배열이 늘고 있다.</ref> <del>만행을 저지르는</del> 추세인데, 다행히 A330은 1열 8석 이상을 우겨 넣기에는 동체 폭이 여유가 없다... 라고들 여겼으나 그 어려운 걸 해낸 항공사도 있다. {{#ev:youtube|VaNzLXoknq0}} 위 영상에 나오는 항공기는 캐나다 항공사인 에어트랜셋(Air Transat) 소유로, 영상을 보나 타본 경험이 있는 다른 사람들의 댓글을 보나 정말 좁아터진 것을 알 수 있다. 필리핀의 세부퍼시픽항공도 A330Neo를 주문하면서 좌석 배열을 3-3-3으로 깐다고 한다. 원래 [[A350]]은 A330의 동체에 날개를 비롯한 공기역학적인 부분만 바꿔서 [[A350]]이라는 이름을 달아서 팔아먹으려고 했는데 항공사들이 집어치우시고~를 외치시는 바람에 동체부터 싹 새로 설계했고, 그래서 [[A350XWB]](eXtended Wide Body)라는 이름이 붙었다. 원래의 [[A350]] 콘셉트는 A330Neo에서 구현되고있다. 한국에서도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 모두 A330을 잘 굴리고 있다. [[저가항공사]] 중에는 [[에어부산]]이 장기적으로는 A330을 들여와서 중거리 노선에 투입할 계획을 가지고 있으며, 티웨이항공이 2022년 초에 A330을 도입해서 [[보잉 777]]을 도입한 진에어에 이어 한국의 [[저가항공사]]로는 두 번째로 광동체 여객기를 도입했다. 2022년 초면 아직 코로나-19 감염증 대유행 사태로 인한 각국의 입국제한이 상당 부분 남아 있던 시기인데, 오히려 이 덕분에 항공기 리스료가 대폭 내려가서 티웨이 측으로는 이득이었다고 한다.<ref>[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221228/117197144/1 "“1등 LCC 되기 위해 A330-300 도입… 23일 인천~호주 장거리 첫발”"], 동아일보, 2022년 12월 28일.</ref> 2022년 3월 [[김포국제공항|김포]]-[[제주국제공항|제주]] 노선 운항을 시작했고, 5월에는 [[인천국제공항|인천]]-[[싱가포르 창이공항|싱가포르]] 노선에 투입하여 국제선 운항도 시작했다. 같은 해 12월에는 A330 도입의 진짜 목적인 장거리 국제선 운항의 첫 발로 [[인천국제공항|인천]]-[[시드니공항|시드니]] 노선 운항을 시작했다. {{각주}} [[Category:여객기]]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원본 보기
)
A330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