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CYMK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CYMK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파일:CYMK colour model.svg|upright 1|섬네일|없음]] [[컬러 인쇄]]에 쓰이는 기본 색상. 잉크의 3원색이라고도 한다. CYMK는 각각 C(Cyan, 청록색), Y(Yellow, 노란색), M(Magenta, 자홍색), K(Key, 검은색)을 뜻한다. 미술시간에 배운 물감의 3원색은 빨간색, 노란색, 파란색이다. 이 세 가지를 적당하게 섞으면 어떤 색깔이든지 만들어낼 수 있다. 세 색깔을 모두 섞으면 검은색도 만들어낼 수 있다.<ref>[[RGB|빛의 3원색]]은 반대로 세 색깔을 같은 비율로 섞으면 흰색이 된다.</ref> 그런데 인쇄에서 압도적으로 많이 쓰이는 색깔은 검은색이다. 대부분의 글자는 검은색으로 인쇄하기 때문이다. 검은색 잉크가 다른 색깔의 잉크보다는 값이 싸다. 그러니 세 가지 색깔의 물감을 섞어서 검은색을 만드는 것은 너무 낭비가 심하고 차라리 검은색을 따로 두는 게 훨씬 낫다. 또한 막상 3원색을 섞어서 검은색을 찍어보려고 하면 완전 시커멓게 나오지 않는다. 나중에 얘기하겠지만 인쇄에서는 물감이 완전히 섞이는 게 아니기 때문이다. CYMK에서 검은색을 뜻하는 글자가 B(Black)이 아니라 K(Key)인 이유는 인쇄에서 검은색이 가장 중요하고 많이 쓰이기 때문이다. K를 Black의 끝 글자라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다. B는 많은 사람들이 Blue(파란색)로 알고 있으므로 K로 쓴 것이라는 논리다. 그렇다면 검은색은 그렇고, 나머지 색은 왜 물감의 3원색이 아닌 다른 색을 쓰는지가 궁금해지는데, 이 색은 사실 하얀색에서 빛의 3원색에 해당하는 빨강, 파랑, 녹색을 빼서 나온 색깔이다. 즉 하얀색 - 빨간색(R) = 청록색(C), 하얀색 - 녹색(G) = 자홍색(M), 하얀색 - 파란색(B) = 노란색(Y), 이런 원리다. RGB 모델과 확실한 대응관계가 있기 때문에 우리가 아는 물감의 3원색보다 색표현을 위해서는 CYM이 더욱 정확하다. 학교에서는 자홍색이라든지 청록색이라든지 하는 애매한 색깔보다는 빨간색, 파란색이 더 알기 쉽기 때문에 이렇게 가르치는 것일 뿐, 사실은 정확한 3원색이 아니다. 표현할 수 있는 색깔의 범위는 CYMK가 [[RGB]]보다 좁은데 이는 컬러 모델의 문제가 아니라 인쇄 자체의 한계에서 온다. 이론적으로는 [[RGB]]로 표현되는 색깔은 CYMK로도 표현할 수 있지만 빛을 직접 뿜어내는 [[RGB]]와는 달리 CYMK는 들어오는 빛을 어떤 건 흡수하고 어떤 건 반사해서 색을 표현해야 하는데 흡수가 100% 되는 것도 아니고 반사도 100% 되는 건 아니다 보니 실제로 표현할 수 있는 색깔의 범위가 줄어든다. 게다가 빛이 100% 하얀색이 아닐 수도 있고 종이가 100% 하얀색이 아닐 수도 있고, 원색을 표현하기 위해 쓰는 잉크가 정확한 그 색이 아니라 오차가 있을 수도 있고, [[RGB]]에 비해 색 표현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변수가 너무 많다.<ref>물론 [[RGB]]도 광원에 따라 미묘한 차이가 있고, [[RGB]] 모델을 사용하는 TV, 모니터, 스마트폰이나 컴퓨터 화면 역시도 하드웨어에 따른 색감 차이가 존재하지만 인쇄 매체만큼 편차가 크지는 않으며, 화면은 색 조정을 통해서 어느 정도 보정도 할 수 있다.</ref> 또한 [[컬러 인쇄]]는 물감을 직접 섞어서 색을 표현하지 않는다. 수만 가지 색깔을 일일이 물감을 섞어가며서 찍는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인쇄할 때에는 컬러를 CYMK로 분리한 다음 각 색깔로 한 번씩, 총 네 번을 종이에 아주 촘촘하게 점을 찍듯이 찍는다. 그래서 컬러 인쇄를 흔히 4도 인쇄라고도 한다. 촘촘하게 점을 찍듯이 인쇄하는 것을 망점 인쇄라고 하는데, 이들 색깔의 잉크가 직접 섞여서 새로운 색깔을 만드는 게 아니라 아주 촘촘하게 찍한 각 색깔의 점끼리 빛의 간섭을 일으켜서 우리 눈에는 여러 가지 다양한 색깔들로 보이는 것이다. CYMK 각각의 점 크기를 얼마나 크게 하느냐, 또한 망점의 각도를 어떻게 주느냐로 색깔을 조절한다. 이런 방식이다 보니 CYM만으로는 검은색이 잘 표현이 안 돼서<ref>실제 색깔을 섞어 보면 거무죽죽한 갈색 정도로 보인다.</ref> 검은색 물감을 따로 써야 한다. 따라서 [[컬러 인쇄]]를 할 때에는 분판이 필수다. 요즘은 [[전자출판]]의 시대니, [[인디자인]]이나 [[쿼크익스프레스]] 같은 프로그램으로 책이나 유인물 작업을 했다고 가정해 보자. 마지막 단계에서는 분판된 [[PDF]]로 만들어서 인쇄소에 보내야 한다. 예를 들어 컬러 사진을 넣었다면 분판 단계에서 이 사진이 CYMK 4개 기본 색깔로 색분해가된다. 따라서 각각 CYMK에 해당되는 네 개의 [[PDF]]가 만들어지고, 인쇄소에서는 각각의 [[PDF]]를 가지고 오프셋인쇄기에 걸 원판을 만든 다음, 종이에 차례대로 찍어낸다. 즉, CYMK 색깔을 각각 한 번씩, 총 네 번 같은 종이에 찍어야 한 장의 컬러 인쇄물이 만들어진다. 다만, 인쇄에서도 잉크를 섞거나 특정 색깔로 나온 잉크를 써서 별색인쇄를 할 수도 있다. 하지만 별색인쇄는 4도 인쇄처럼 최대한 많은 색깔을 표현하기 위해서가 아닌, 제한된 색깔을 확실하게 표현하기 위해서 쓴다. 예를 들어 어떤 인쇄물에서 검은색까지 합쳐서 3개 색깔만 쓸 계획이라면 4도 인쇄가 오히려 낭비인 데다가 색깔 표현도 오차가 난다. 이럴 때는 잉크를 섞어서 표현하고자 하는 색깔을 확실하게 표현하는 별색인쇄가 더 효과가 좋을 수 있다. 모니터 화면은 빛의 3원색인 [[RGB]] 컬러 모델을 쓴다. [[RGB]]는 섞으면 점점 밝아져서 결국 흰색이 되는 가산혼합 방식이고, CYMK는 섞으면 점점 어두워져서 결국 검은색이 되는 감산혼합 방식이다. 이러한 차이 때문에 화면에 보이는 사진을 그냥 인쇄하면 화면보다 어둡게 나온다. 이 때문에 컬러 인쇄를 할 때에는 본격적으로 찍기 전에 컬러 교정을 본다. 시험 삼아서 한 장 뽑아본 다음에 색감이 원하던 대로 나왔는지, 어떤 부분을 어떻게 보정하면 좋을지를 확인하고 반영한다. 노련한 출판 디자이너나 인쇄 기술자는 이러한 차이를 잘 알고 잘 보정함으로써 높은 품질의 컬러 인쇄 결과를 뽑아낸다. 소프트웨어로도 둘 사이를 어느 정도 보정할 수 있다. [[포토샵]]과 같은 전문 디자인 프로그램은 이미지를 [[RGB]] 모드로 할지 CYMK 모드로 할지를 선택할 수 있는데 인쇄용으로 쓸 때에는 당연히 CYMK 모드로 해 줘야 한다. CYMK 모드라고 해도 모니터가 색을 표현하는 방식은 [[RGB]]이기 때문에 모니터로 보는 색감과 인쇄 결과물 사이에 차이가 있는 건 어쩔 수 없지만 그래도 많이 보정해 주기 때문에 [[RGB]] 모드로 작업했을 때에 비해 차이가 크게 줄어든다. 디지털 데이터로 색 정보를 저장할 때에는 % 단위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밝은 빨강은 C 2%, Y 90%, M 93%, K 0%로 합성된다. [[RGB]]처럼 8비트, 16비트와 같은 디지털에 맞는 데이터 용량을 쓰지 않고 %를 쓰는 건 인쇄기가 그렇기 때문이다. 이론상으로는 색 요소당 8비트씩 총 24비트를 쓰는 RGB가 약 1677만 색을 표현할 수 있는데 비해 CYMK는 101<sup>4</sup> = 약 1억 400만 색을 표현할 수 있다.<ref>각 색깔별로 0~100%까지이므로 100단계가 아닌 101단계다.</ref> 하지만 인쇄의 한계 때문에 실제 사용할 수 있는 색깔은 16,000색을 좀 넘는 수준이다.<ref>[https://oneilprint.com/cmyk-color-process/ "CMYK COLOR PROCESS"], O’Neil Printing.</ref> 어느 쪽 컬러 모델이든 저장 용량과 처리 속도만 받쳐준다면 색깔의 수는 얼마든지 늘릴 수가 있지만 실제 색을 표현할 수 있는지 여부가 중요하기 때문에 전자 신호로 색 요소의 단계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RGB]] 모델에 비해 CYMK가 많이 밀릴 수밖에 없다. {{각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원본 보기
)
CYMK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