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JR토카이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JR토카이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JR東海。 정식 이름은 동해여객철도주식회사(東海旅客鉄道株式会社). 영어로는 JR Tokai 아니면 JR East Sea<del>동해?</del>일 거 같은데 실제로는 JR Central, 즉 JR 중부인 셈이다.이는 JR토카이가 관할하는 지역이 추부 지역이다보니 외국인들에게는 익숙하지 않은 Tokai 대신 추부를 뜻하는 Central을 쓴 듯. <del>그러면서 외국인 대접은 [[JR그룹]] 중 제일 개떡같다 </del> 물론 본사는 추부 지역 최대 도시 [[나고야]]에 자리잡고 있다 노선 규모로 보면 좌우의 형제들에 비하면 초라한 수준. 영업노선의 거리는 [[JR시코쿠]] 다음으로 꼴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JR그룹]]의 여섯 개 여객회사 중 [[JR히가시니혼]], [[JR니시니혼]]과 함께 톱 3을 찍고 있고 영업이익 면에서는 오히려 수도권을 끼고 있는 최종 보스 [[JR히가시니혼]]을 능가한다! 니케이가 발표한 2016년 4월부터 2017년 3월까지 2016 회계년도 순익을 보면 JR토카이가 3,929억 엔을 기록해서 [[일본]] 기업 종합 10위를 기록한 반면 [[JR히가시니혼]]은 2,779억 엔을 기록해서 16위에 그쳤다.<ref>[https://vdata.nikkei.com/newsgraphics/fiscal-period-table/ "上場企業決算ランキングTOP100"], 日本経済新聞.</ref> JR토카이가 이렇게 적은 노선 규모에도 불구하고 [[JR히가시니혼]]을 순익 면에서 능가하고 있는 바로 [[도쿄]]-[[나고야]]-[[오사카]]를 잇는 [[토카이도 신칸센]]을 가지고 있기 때문. JNR이 민영화되면서 쪼개질 때 [[신칸센]]은 관할 지역에 관계 없이 한 노선을 한 회사가 전부 가져가는 것으로 했기 때문에 수익률 1위인 [[토카이도 신칸센]]은 JR토카이에 넘어가고 그보다는 수익성이 떨어지는 [[토호쿠 신칸센]]<ref>[[도쿄]]에서 [[센다이]]까지는 수요가 많아서 돈은 벌지만 그 위로 가면 승객 수가 급격하게 떨어지는 게 문제. 그나마 [[도쿄]]-[[센다이]]도 [[도쿄]]-[[나고야]]-[[오사카]]로 [[일본]] 1, 3, 2위 도시권을 줄줄이 잇는 [[토카이도 신칸센]]에 비하면 게임도 안 되지만.</ref>이 [[JR히가시니혼]]쪽으로 왔다. [[토카이도 신칸센]]이 끝내주게 장사가 잘 되다 보니 이쪽으로는 아낌 없이 투자하지만 재래선은 상대적으로 투자가 박하다. [[토카이도 신칸센]]은 편당 16량씩<ref>이 이하 편성은 JR토카이가 아예 못 들어오게 막기 때문에 8량인 [[큐슈 신칸센]]은 [[신오사카역]] 이상은 갈 수 없다. 반대로 [[토카이도 신칸센]]에 투입하는 열차는 [[큐슈 신칸센]]의 경사를 감당하지 못하기 때문에 [[하카타역]] 너머로는 못 간다.</ref> 거의 [[지하철]] 수준으로 배차를 해도 수요가 넘쳐나다 보니 아예 [[자기부상열차]]로 [[도쿄]] [[시나가와역]]과 [[신오사카역]]을 최고 시속 500 km로 67분만에 있는 [[추오 신칸센]] 건설에 나섰다. 외국인에 대한 대접이 야박하기로도 정평이 나 있다. 다른 [[JR그룹]] 여객철도 회사들이 한국어 웹사이트를 제공하지만 JR토카이는 달랑 영어밖에 없다가 한국어 사이트도 생겼지만 운행상황과 티켓 종류 및 구매 방법 안내로 땡이다. 다만 [http://touristpass.jp/ko/ 투어리스트패스 웹사이트]는 한국어 지원이 된다. 그러나 [[JR니시니혼]]과 공동으로 운영하는 웹사이트라서... <del>아마 한국어 웹사이트는 니시니혼 혼자서 만들었을 게 틀림없다.</del> 심지어 [[JR그룹]] 제일 시망인 [[JR시코쿠]]도 운행정보는 물론 관광안내와 지도 다운로드를 할 수 있는 한국어 웹사이트가 있는데... [[JR그룹]]의 여객철도 회원사 중 한국어 사이트가 제일 부실하다. 패스의 종류도 [[JR히가시니혼|이웃]] [[JR니시니혼|회사]]들에 비하면 종류도 별로 없다. [[JR니시니혼]]과 연계해서 내놓은 네 가지 패스가 있는데 [[신칸센]]을 탈 수 있는 패스가 하나도 없다. 아니, 딱 하나 가능한 게 있긴 하다. 다카야마·호쿠리쿠 지역 투어리스트패스는 [[호쿠리쿠 신칸센]]의 <del>코딱지만한</del> 도야마역-[[카나자와역]] 구간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런데 이 구간은 [[JR니시니혼]] 관할이라는 게 함정... 만약 [[나고야]]와 [[오사카]] 지역을 묶어서 여행할 거라면 JR토카이가 파는 이세·구마노·와카야마 지역 투어리스트패스보다는 [[킨테츠]]가 판매하는 레일패스플러스가 훨씬 나은 선택. 투어리스트패스는 [[와카야마]] 지역을 갈 수 있고 레일패스플러스는 [[교토]]와 [[나라]]를 갈 수 있는 게 특징인데 어느 쪽을 관광객들이 훨씬 많이 가나 생각해 보자. 가격도 2019년 말 기준으로 5일권이 JR토카이 쪽은 11,210엔, [[킨테츠]]는 해외에서 사서 들어오면 4,900엔으로 반값도 안 된다.<ref>[[일본]] 국내에서 사면 5,100 엔이지만 여전히 반값도 안 된다.</ref> [[나고야]]와 [[오사카]]를 오간다면 [[킨테츠]] 특급을 타면 [[신칸센]]보다 느리지만 가장 빠른 메이한 특급 갑(甲)을 타면 2시간 4분에 끊어주니까 꽤 준수한 데다가 여기는 관광객들이 숙소를 많이 잡는 [[난바역]]에 내려준다. [[신칸센]]은 [[신오사카역]]이니까 숙소가 난바 인근이라면 지하철 타고 여기로 가는 시간 따져 보면 [[신칸센]]으로 얻는 시간 절약 효과가 거의 상쇄되어 버린다. 무엇보다도 JR토카이의 패스 중에는 [[토카이도 신칸센]]을 탈 수 있는 게 없는 게 결정적인 문제다!<ref>[[JR패스]]를 이용한다고 해도 노조미를 못 타고 정차역이 많은 히카리나 코다마만 탈 수 있으므로 시간 절약 효과가 떨어진다.</ref> 쿠마노 및 [[와카야마]] 쪽으로 여행할 거 아니면 그야말로 볼 것도 없다. JR토카이의 수입은 거의 [[토카이도 신칸센]]에서 나오고, 주 수요는 통근 및 출장이다. 따라서 JR토카이의 주 수입원은 이쪽에서 나오는 정기권이나 회수권 수입이다. [[도쿄]]-[[나고야]]-[[오사카]]로 이어지는 3대 경제권을 잇고 있는 만큼 비즈니스 수요가 어마어마하다. 외국인 수요도 [[토요타]], [[린나이]]를 비롯한 [[아이치현]] 일대의 글로벌 대기업에 연관된 출장 수요가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ref>[[신칸센]] 이용료는 우리나라의 [[KTX]]보다 훨씬 비싸지만 [[신칸센]]을 타고 출퇴근하는 사람들도 적지 않다. [[일본]]은 기본적으로 직원의 교통비를 회사에서 내 주는 문화라 [[신칸센]]으로 통근한다고 해도 지원 한도 안에 들어간다면 별 부담이 없다.</ref> 철저하게 회사 이익이라는 관점에서 본다면, 어차피 통근 수요가 넘쳐서 천 명 넘게 수용할 수 있는 16량 편성 열차가 배차 간격이 [[지하철]] 수준으로 다녀도<ref>게다가 [[신요코하마역]]을 지나면 [[나고야역]]-[[교토역]]-[[신오사카역]]에만 서기 때문에 정차역 수가 가장 적은 노조미의 편성이 압도적으로 많다. 히카리나 코다마는 30분~1시간 간격이다.</ref> 출퇴근 시간대 자유석에는 입석 손님들이 꽉꽉 차는 마당에 굳이 그보다 수요가 적은 관광객 유치를 위해서 할인이니 패스니 해 가면서 공들일 필요가 없다고 볼 수도 있다. 그래서인지 [[JR패스]]로는 [[토카이도 신칸센]]의 가장 빠른 등급인 노조미를 탈 수 없다. [[산요 신칸센]]으로 [[하카타역]]까지 이어지므로 여기도 마찬가지로 노조미는 못 탄다. 또한 [[큐슈 신칸센]]의 최고 등급인 미즈호가 노조미와 같은 등급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이것도 못 탄다. 하지만 [[JR니시니혼]]이나 [[JR큐슈]]가 발행하는 패스는 자기들의 관할구역 안에서는 대체로 열차 등급 제한이 없다. 다만 지정석을 탈 수 있는지 자유석만 가능한지 여부는 패스마다 차이가 있으니 사전에 확인하자. 외국인한테만 야박한 게 아니라 재래선한테도 야박하다. 왠지 싫은데 어쩔 수 없이 장사한다는 느낌이 많이 들 정도다. 일단 JR토카이의 재래선은 일본인이라고 해도 인터넷 예약이 안 되며, [[사철]]과 박터지게 경쟁하고 있는 [[JR니시니혼|옆동네]][[JR히가시니혼|들]]과 비교하면 JR토카이는 그러든가 말든가 뭐... 하는 느낌. 사실 [[나고야]]를 중심으로 한 추부 지역도 재래선은 [[메이테츠]]와 [[킨테츠]] 같은 대형 [[사철]]의 위세가 강력해서 경쟁 노선에서는 오히려 [[JR]]이 밀리는 분위기다. [[나고야]]를 끼고 있는 [[추부국제공항]]에는 [[JR]]이 없고 [[메이테츠]]만 들어간다. 그나마 관할 지역의 네임드 도시라고 할 수 있는 [[시즈오카공항]]에는 철도 교통이 아예 없고, 아무튼 공항과는 별로 친하지 않다. <del>[[신칸센]] 장사 하는 회사가 비행기랑 친할 리가.</del> 사실 [[토카이도 신칸센]]은 [[시즈오카공항]]을 터널로 관통해서 지나간다. 그래서 이쪽 지역에서는 [[시즈오카공항]]에다 [[신칸센]] 정차역 하나 만들어 달라고 보챘지만 JR토카이가 지금까지 철저하게 쌩깠다. 말로는 [[추오 신칸센]]이 개통되고 나면 생각해 보겠다고는 하지만 글쎄... [[교통카드]]로는 토이카(toICa)<ref>브랜드 이름으로는 IC만 대문자로 쓴다. 대부분 [[일본]] [[교통카드]]가 비슷하게 IC를 강조한다.</ref>를 판매하고 있다. 다른 [[JR]] 회원사들의 [[교통카드]]처럼 전국호환이 되며 전자화폐 기능도 한다. {{각주}} [[Category:일본의 철도회사]]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원본 보기
)
JR토카이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