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J D 웨더스푼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J D 웨더스푼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J D Wetherspoon. [[영국]]의 [[펍]] 체인. 2016년 기준으로 1,000개에 약간 못 미치는 규모의 [[펍]]을 거느린 [[영국]] 최대 규모의 [[펍]] 체인망을 자랑하고 있다. 하지만 1,700개가 넘는 압도적으로 많은 펍을 소유한 [[그리니 킹]]<ref>[[캐스크 에일]] 전문 양조회사이기도 하다.</ref>이 있어서 2위... 그냥 웨더스푼즈(Wetherspoons)라고 줄여 부르기도 한다. ==역사== 창업주는 팀 마틴(Tim Martin)이다. [[북아일랜드]]의 [[벨파스트]] 출생으로 아버지가 [[기네스]]의 양조 부문에서 일했다고 하니<ref>그런데 [[북아일랜드]]는 [[영국]]의 일원이지만 [[아일랜드]]는 별개 국가이고, [[기네스]]는 [[아일랜드]] 회사라는 게 아이러니.</ref> 어렸을 때부터 이 바닥이 꽤나 익숙했을 듯. [[북아일랜드]]와 [[뉴질랜드]]에 걸쳐서 여러 번 학교를 옮겨다녔다고 한다. 그런데 창업주의 이름을 붙였을 것 같은 회사 이름과 창업주 이름은 전혀 다르다. 회사 이름의 유래는 [[뉴질랜드]]에서 [[고등학교]]를 다녔을 때 어떤 선생님의 이름에서 따온 거라고 한다. 팀에 따르면 선생님이 사람이 너무 좋아서 학급이 통제가 안 되었다나. 그런데 그냥 단순히 추억이 떠올라서 선생님의 이름을 따서 쓴 게 아니라 회사의 개념이 녹아 있다. 웨더스푼 선생님이 학급을 통제 못한 것처럼 자신도 체인이라고 해서 소속된 [[펍]]을 통제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의미를 담은 이름. ==특징== 실제로 J D 웨더스푼의 체인 [[펍]]들은 그냥 봐서는 체인이라는 생각이 거의 안 들고, 메뉴를 봐야 아, 웨더스푼이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웨더스푼 체인들은 기본적으로 같은 메뉴를 공유하기 때문이다. 물론 [[펍]] 경험이 많은 사람들은 여러 가지 공통점들을 찾아낼 수 있지만 상당히 자유도가 높은 편이고 간판 같은 곳에 웨더스푼 이름을 박지도 않는다. 음식 메뉴는 공통이지만 [[술]], 특히 [[캐스크 에일]]은 가게에 따라 제각각인 것도 특징. 따라서 웨더스푼 체인이라고 해도 얼마든지 수많은 [[영국]] [[캐스크 에일]]을 다양하게 즐길 수 있다. 웨더스푼에서 지역 소규모 양조장들과 협력 관계를 맺고 체인점마다 그 지역의 [[에일]]을 판매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분기마다 약 50개의 [[캐스크 에일]]이 담긴 리스트를 체인점에게 제공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대략 1년에 220개 정도의 에일 리스트가 제공된다고. [[캠페인 포 리얼 에일]] 운동도 지원하고 있다. 반면 [[그리니 킹]]은 자체 [[캐스크 에일]]을 만들고 있기 때문에 [[타이드 하우스]]로 운영한다. 입지 중에는 기존에 다른 용도로 쓰이고 있는 빌딩 시설을 개조한 곳이 많은데, 극장이나 영화관, 우체국, 은행, 교회, 심지어는 수영장을 개조한 펍도 있다. 실내 금연이 법제화 되기 전부터 [[펍]] 안에서 금연 정책을 추진한 곳으로도 유명하다. 웨더스푼의 또 한 가지 대체적인 공통점이라면 음악을 안 트는 것. 또한 아침부터 문을 열고 [[잉글리시 브렉퍼스트]]를 판다. 물론 [[영국]]에는 아침식사를 파는 [[펍]]이 꽤 있지만 웨더스푼은 체인 규모로 아침 영업을 한다. 가격이 저렴한 것으로 유명하다. 메뉴를 보면 정말로 다른 [[펍]]에 비해서 저렴하다는 게 확 온다. 어떤 음식들은 거의 반값에 가깝고 그런데 맛이 없냐 하면 또 그렇지도 않다. 게다가 요일별로 한두 가지 음식을 더욱 싸게 팔기 때문에 더더욱 저렴하게 [[술]]과 음식을 즐길 수 있다. 술값도 저렴하거나 최소한 평균보다는 비싸지 않다. 부족한 예산으로 [[영국]] 여행을 하고 있다면 [[영국]]의 대중 문화도 체험할 수 있으니 염두에 둘 만한 곳이다. 그런데 이 때문에 웨더스푼 체인을 싫어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가격이 싸다 보니까 돈 별로 없는 거친 <del>애새끼들</del> 젊은이들, 특히 양아치들이 많이 꼬인다는 것. 꽐라 돼서 괜히 사고를 치거나 거칠게 구는 놈들이 있을 확률이 높다는 게 웨더스푼을 싫어하는 사람들의 이야기. <del>그래 넌 돈 많아서 좋겠다.</del> 특히나 이런 놈들은 외국인들에게 시비를 걸기 쉬우므로 봐서 너무 시끄럽거나 꽐라 분위기면 알아서 피하자. 젊은 사람들이 모여서 시끄럽게 떠들고있으면 그쪽으로 안 가는 게 안전하다. 안전하지 않다고 해서 강력범죄가 벌어진다든가 그런 정도는 아니지만 술김에 괜히 시비걸고 욕할 수도 있고, 심하면 주먹질 정도는 있을 수 있으므로... 손님이 별로 없는 시간대에는 남는 인력을 쉬게 한 다음 그만큼 시급을 안 주는 임금 정책으로 비판을 받기도 한다. <del>역시 인건비 쥐어 짜서 싸게 팔기.</del> ==이런저런 이야기== 1994년부터 2015년까지, 그때까지 있었던 웨더스푼 체인 [[펍]]을 모두 방문한 분도 계시다. 마그 통슨(Mags Thomson)이라는 [[영국]] 할머니로 21년에 걸쳐 972개의 웨더스푼 체인을 모두 방문했는데 그 이후에 문을 닫은 80개의 [[펍]]도 포함되어 있다. 원래 남편이 [[철도]] 덕후여서 같이 많이 다녔는데 자기는 지루하다 보니 역 근처 [[펍]]을 찾다가 그게 발전해서 웨더스푼 [[펍]] 체인을 집중 공략하게 되었다고 한다. <del>덕후 부부</del> 1994년부터 부부가 같이 다녔지만 708개까지 방문한 2010년에 남편이 죽고 나서는 한동안 쉬었는데, 친구들의 응원에 다시 힘을 내서 결국 완주에 성공했다.<ref>[http://www.bbc.com/news/magazine-34440109 One woman's 21-year odyssey to visit every Wetherspoon's], ''BBC'', 31 October 2015</ref> 그야말로 [[펍 크롤]]의 끝판왕. 창업주 팀 마틴은 [[브렉시트]]의 열혈 지지자로 국민투표를 앞두고 많게는 하루에 100개의 펍을 방문해서 [[브렉시트]] 지지 운동을 펼쳤고, 20만 개의 비어 매트<ref>맥주잔 아래를 받치는 작은 마분지 카드로, [[맥주]] 브랜드나 여러 가지 광고를 넣기도 한다.</ref>를 만들어서 탈퇴 투표 운동을 벌였다. 또한 2018년에는 체인점에서 판매하고 있던 [[프랑스]] [[샴페인]]을 [[영국]]과 [[호주]]의 [[스파클링 와인]]으로 교체하기로 했다. 더 저렴한 가격에 손님들에게 [[술]]을 제공하기 위해서라는 게 표면적인 이유지만 아무래도 [[브렉시트]]와 관련지어서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각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원본 보기
)
J D 웨더스푼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