캥거루 루트: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위키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유럽]]과 [[오세아니아]], 특히 [[영국]]-[[오세아니아]]를 잇는 항공 경로를 뜻한다. [[호주]]와 [[뉴질랜드]]는 국기에 [[유니언잭]]이 들어갈 정도로 밀접한 [[영연방]]이라 [[영국인]] 이민자도 많고 해서 [[영국]]으로 가는 항공수요가 많다. [[영국인]]들도 대학 졸업할 때쯤이면 [[호주]]로 한달쯤 배낭여행을 가는 게 거의 관습헌법 수준일 정도로 오세아니아에 많이 간다. [[캥거루]] 루트라는 이름이 붙은 것은 물론 [[호주]] 하면 생각나는 게 [[캥거루]]이기 때문인데, 한편으로는 이 캥거루 루트를 개척한 항공사가 [[콴타스]]이기 때문이다. 얘들 [[마스코트]]가 [[캥거루]]니까.  
[[유럽]]과 [[오세아니아]], 특히 [[영국]]-[[오세아니아]]를 잇는 항공 경로를 뜻한다. [[호주]]와 [[뉴질랜드]]는 국기에 [[유니언잭]]이 들어갈 정도로 밀접한 [[영연방]]이라 [[영국인]] 이민자도 많고 해서 [[영국]]으로 가는 항공수요가 많다. [[영국인]]들도 대학 졸업할 때쯤이면 [[호주]]로 한달쯤 배낭여행을 가는 게 거의 관습헌법 수준일 정도로 오세아니아에 많이 간다. [[캥거루]] 루트라는 이름이 붙은 것은 물론 [[호주]] 하면 생각나는 게 [[캥거루]]이기 때문인데, 한편으로는 이 캥거루 루트를 개척한 항공사가 [[콴타스]]이기 때문이다. 얘들 [[마스코트]]가 [[캥거루]]니까.  


대부분 여객기의 항속거리로는 이 루트를 직항으로는 못 가고, 최소 한 번은 기착해서 급유를 해야 한다.<ref>사실 절대 안 되는 건 아니다. [[747]]이나 [[777]]의 항속거리를 최대한 뽑으면 무기착 운항이 가능은 한데, 되려 경제성이 안 나온다. 최근에 나오는 [[A350]]이나 [[777]], [[787]]의 초장거리 버전은 어느 정도 경제성이 나올 수 있다. 만약 직항을 꽉꽉 채워 다닐 수 있으면 수익은 확실하다. 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한 군데를 경유하면 그 구간 손님도 받을 수 있으니  (예를 들면 [[런던]]-[[싱가포르]]-[[시드니]]라면 [[런던]]-[[싱가포르]]와 [[싱가포르]]-[[시드니]] 손님도 받을 수 있다) 이 편이 수익성이 더 나을 것이다.</ref> 그래도 지금이니까 한 번이지 1947년에 [[콴타스]]가 처음으로 이 루트를 뚫었을 때는 기착지가 [[다윈]], [[싱가포르]], [[콜카타]], [[카라치]], [[카이로]], [[트리폴리]]였다. 승객들은 [[싱가포르]]와 [[카이로]]에서 하룻밤씩 잤다. <del>그래도 배 탄다고 생각해 봐라. 한 달이 넘는다.</del>
대부분 여객기의 항속거리로는 이 루트를 직항으로는 못 가고, 최소 한 번은 기착해서 급유를 해야 한다.<ref>사실 절대 안 되는 건 아니다. 20세기 항공기들 중에도 [[747]]이나 [[777]] 중 가장 항속거리가 긴 버전으로 최대한 가면 무기착 운항이 가능은 한데 되려 경제성이 안 나온다. 최근에 나오는 [[A350]]이나 [[777]], [[787]]의 초장거리 업그레이드 버전은 연비가 많이 좋아졌기 때문에 경제성도 좋아졌고, 그래서 이들 항공기를 이용해서 초장거리 노선을 개척하는 항공사들이 늘고 있다. 만약 직항을 꽉꽉 채워 다닐 수 있으면 수익은 확실하다. 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한 군데를 경유하면 그 구간 손님도 받을 수 있으니  (예를 들면 [[런던]]-[[싱가포르]]-[[시드니]]라면 [[런던]]-[[싱가포르]]와 [[싱가포르]]-[[시드니]] 손님도 받을 수 있다) 이 편이 수익성이 더 나을 것이다.</ref> 그래도 지금이니까 한 번이지 1947년에 [[콴타스]]가 처음으로 이 루트를 뚫었을 때는 기착지가 [[다윈]], [[싱가포르]], [[콜카타]], [[카라치]], [[카이로]], [[트리폴리]]였다. 승객들은 [[싱가포르]]와 [[카이로]]에서 하룻밤씩 잤다. <del>그래도 배 탄다고 생각해 봐라. 한 달이 넘는다.</del>


캥거루 루트의 기착지를 놓고 은근히 경쟁이 치열하다. 예전에는 [[싱가포르]]와 [[홍콩]], 특히 [[싱가포르]]가 거의 독점 수준이었고 [[쿠알라룸푸르]]와 [[방콕]], [[광저우]]도 인기 경유지였지만 요즘은 [[아랍에미레이트]]가 엄청 후벼파고 있다. [[콴타스]]가 [[싱가포르]]에서 [[두바이]]로 넘어갔고 [[버진 오스트레일리아]]는 직접 캥거루 루트편을 넣지는 않아도 [[에티하드항공]]과 연계해서 [[아부다비]]로 여객 수요를 보내고 있다. 즉 [[아부다비]]-[[런던]]은 [[에티하드]]의 항공편에 [[버진 오스트레일리아]]가 [[코드쉐어]]를 걸어놓았다. 캥거루 루트의 또 한 축인 [[영국항공]]은 아직은 [[싱가포르]]를 유지하고 있다. [[에어뉴질랜드]]도 [[싱가포르항공]]과 탄탄한 제휴 관계라서 [[싱가포르]]를 떠날 일은 없을 듯.
캥거루 루트의 기착지를 놓고 은근히 경쟁이 치열하다. 예전에는 [[싱가포르]]와 [[홍콩]], 특히 [[싱가포르]]가 거의 독점 수준이었고 [[쿠알라룸푸르]]와 [[방콕]], [[광저우]]도 인기 경유지였지만 요즘은 [[아랍에미레이트]]가 엄청 후벼파고 있다. [[콴타스]]가 [[싱가포르]]에서 [[두바이]]로 넘어갔고 [[버진 오스트레일리아]]는 직접 캥거루 루트편을 넣지는 않아도 [[에티하드항공]]과 연계해서 [[아부다비]]로 여객 수요를 보내고 있다. 즉 [[아부다비]]-[[런던]]은 [[에티하드]]의 항공편에 [[버진 오스트레일리아]]가 [[코드쉐어]]를 걸어놓았다. 캥거루 루트의 또 한 축인 [[영국항공]]은 아직은 [[싱가포르]]를 유지하고 있다. [[에어뉴질랜드]]도 [[싱가포르항공]]과 탄탄한 제휴 관계라서 [[싱가포르]]를 떠날 일은 없을 듯.

2017년 8월 15일 (화) 04:25 판

유럽오세아니아, 특히 영국-오세아니아를 잇는 항공 경로를 뜻한다. 호주뉴질랜드는 국기에 유니언잭이 들어갈 정도로 밀접한 영연방이라 영국인 이민자도 많고 해서 영국으로 가는 항공수요가 많다. 영국인들도 대학 졸업할 때쯤이면 호주로 한달쯤 배낭여행을 가는 게 거의 관습헌법 수준일 정도로 오세아니아에 많이 간다. 캥거루 루트라는 이름이 붙은 것은 물론 호주 하면 생각나는 게 캥거루이기 때문인데, 한편으로는 이 캥거루 루트를 개척한 항공사가 콴타스이기 때문이다. 얘들 마스코트캥거루니까.

대부분 여객기의 항속거리로는 이 루트를 직항으로는 못 가고, 최소 한 번은 기착해서 급유를 해야 한다.[1] 그래도 지금이니까 한 번이지 1947년에 콴타스가 처음으로 이 루트를 뚫었을 때는 기착지가 다윈, 싱가포르, 콜카타, 카라치, 카이로, 트리폴리였다. 승객들은 싱가포르카이로에서 하룻밤씩 잤다. 그래도 배 탄다고 생각해 봐라. 한 달이 넘는다.

캥거루 루트의 기착지를 놓고 은근히 경쟁이 치열하다. 예전에는 싱가포르홍콩, 특히 싱가포르가 거의 독점 수준이었고 쿠알라룸푸르방콕, 광저우도 인기 경유지였지만 요즘은 아랍에미레이트가 엄청 후벼파고 있다. 콴타스싱가포르에서 두바이로 넘어갔고 버진 오스트레일리아는 직접 캥거루 루트편을 넣지는 않아도 에티하드항공과 연계해서 아부다비로 여객 수요를 보내고 있다. 즉 아부다비-런던에티하드의 항공편에 버진 오스트레일리아코드쉐어를 걸어놓았다. 캥거루 루트의 또 한 축인 영국항공은 아직은 싱가포르를 유지하고 있다. 에어뉴질랜드싱가포르항공과 탄탄한 제휴 관계라서 싱가포르를 떠날 일은 없을 듯.

캥거루 루트의 인기 있는 (혹은 인기 있었던) 기착지를 놓고 캥거루 루트의 대표라 할 수 있는 런던-시드니를 기준으로 거리를 따져 보자(단위는 마일).

기착지 런던까지 거리 시드니까지 거리 합계
홍콩 5,990 4,580 10,570
싱가포르 6,760 3,910 10,670
두바이(아부다비) 3,410 7,480 10,890

거리로 보면 홍콩이 가장 짧고 UAE가 제일 길지만 그 차이란 게 300 마일 정도라 1만 마일이 넘어가는 초장거리 구간에서는 큰 의미가 없다. 결국 기착지 공항 또는 그 공항을 허브로 쓰고 있는 항공사와 맺은 제휴 관계나 지원 같은 것이 가장 중요한 셈.

최근 항공기의 항속거리가 길어지면서 아예 경유 없이 논스톱으로 캥거루 루트를 뚫으려는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 콴타스787이 들어오면 2018년 3월부터 퍼스-런던 구간 무기착 직항을 운행할 예정이다. 퍼스가 호주 안에서는 런던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도시라서 가능한 것이긴 하지만 787이나 A350의 초장거리용 버전으로는 멜버른이나 시드니에서도 충분히 런던까지 갈 수 있으므로 퍼스-런던 노선의 성과 및 수요에 따라 호주-유럽 직항이 늘어날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일단 콴타스 측에서는 2022년 쯤에는 가능하지 않을까 하고 예상하고 있다.[2] 이러면 환승 장사를 쏠쏠하게 하고 있던 중동이나 싱가포르와 같은 곳들은 타격이 있을 듯하지만, 당분간은 직항은 소수에 불과할 예정이다. 아주 길고 지루한 노선이 되겠지만 일단 한번 경유할 때마다 들어가는 비용이 장난이 아니라서[3] 수요만 충분하면 항공사는 비용 절감 돼서 좋고 승객은 항공권 값이 싸져서 좋긴 하다.

각주

  1. 사실 절대 안 되는 건 아니다. 20세기 항공기들 중에도 747이나 777 중 가장 항속거리가 긴 버전으로 최대한 가면 무기착 운항이 가능은 한데 되려 경제성이 안 나온다. 최근에 나오는 A350이나 777, 787의 초장거리 업그레이드 버전은 연비가 많이 좋아졌기 때문에 경제성도 좋아졌고, 그래서 이들 항공기를 이용해서 초장거리 노선을 개척하는 항공사들이 늘고 있다. 만약 직항을 꽉꽉 채워 다닐 수 있으면 수익은 확실하다. 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한 군데를 경유하면 그 구간 손님도 받을 수 있으니 (예를 들면 런던-싱가포르-시드니라면 런던-싱가포르싱가포르-시드니 손님도 받을 수 있다) 이 편이 수익성이 더 나을 것이다.
  2. "Non-stop Sydney-to-London flights could happen by 2022, says Qantas", The Guardian, 6 April 2017
  3. 이륙 과정에서 들어가는 연료가 순항 때와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엄청난 데다가 각종 공항 관련 비용도 들어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