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물라면: 두 판 사이의 차이
49번째 줄: | 49번째 줄: | ||
해당 장면을 보면 자막으로 '찬물에 면을 넣으면 익는데 오래 걸리는 만큼 화학반응도 느려져 면이 불고 풍미가 떨어짐'이라는 '호정기 식품연구원'의 코멘트가 있다. 그런데 이 방송이 나간 다음 역시 찬물라면을 끓인 후기를 보면 상당히 호평하는 반응도 많았다. 이 때도 라면 회사에 의견을 물어본 기사가 있었다.<ref>[https://www.wikitree.co.kr/articles/376295 "“찬물에 라면 넣고 3분만 끓여도 맛있을까?” 라면 회사에 물었다"], 위키트리, 2018년 10월 18일.</ref> 라면 회사 측의 반응은 라면 끓이는 방법이 한 가지만 있는 것은 아니며, 라면 봉지에 있는 조리법은 일종의 표준, 즉 이렇게 끓이면 호불호가 가장 덜한 조리법이라는 것이다. 덧붙여서 <백종원의 골목식당>의 자막에 나온 의견과 비슷하게, 면이 물속에 있는 시간이 길어지므로 면이 붇는다는 의견도 제시했다. | 해당 장면을 보면 자막으로 '찬물에 면을 넣으면 익는데 오래 걸리는 만큼 화학반응도 느려져 면이 불고 풍미가 떨어짐'이라는 '호정기 식품연구원'의 코멘트가 있다. 그런데 이 방송이 나간 다음 역시 찬물라면을 끓인 후기를 보면 상당히 호평하는 반응도 많았다. 이 때도 라면 회사에 의견을 물어본 기사가 있었다.<ref>[https://www.wikitree.co.kr/articles/376295 "“찬물에 라면 넣고 3분만 끓여도 맛있을까?” 라면 회사에 물었다"], 위키트리, 2018년 10월 18일.</ref> 라면 회사 측의 반응은 라면 끓이는 방법이 한 가지만 있는 것은 아니며, 라면 봉지에 있는 조리법은 일종의 표준, 즉 이렇게 끓이면 호불호가 가장 덜한 조리법이라는 것이다. 덧붙여서 <백종원의 골목식당>의 자막에 나온 의견과 비슷하게, 면이 물속에 있는 시간이 길어지므로 면이 붇는다는 의견도 제시했다. | ||
또한 그 전에도 2017년에 방영된 <신서유기3>에서 강호동이 찬물라면을 시전하는 | 또한 그 전에도 2017년에 방영된 <신서유기3>에서 [https://www.clien.net/service/board/park/12713999 강호동이 찬물라면을 시전하는 모습]을 보여줘서 잠깐 화제가 되기도 했다. 다만 강호동식 찬물라면은 찬물에 면만 넣고 끓인 다음 스프는 물이 끓을 때 넣는다. 유튜브나 블로그에도 예전부터 찬물에 면과 스프를 다 넣고 [[라면]]을 끓이는 방법을 보여주는 글이나 영상이 있었다. | ||
{{각주}} | {{각주}} |
2021년 2월 23일 (화) 01:59 판
라면의 물이 차다는 게 아니라, 찬물에 라면의 면과 스프를 모두 넣고 끓여서 먹는 조리법.
경희대학교 물리학과의 김상욱 교수가 2021년 2월 2일 페이스북에 올린 글이 그야말로 라면계를 뒤집어 놓았다.
물이 끓으면 면 먼저 혹은 스프 먼저 이런 거 다 필요 없고, 아예 찬물에 면과 스프를 다 때려놓고 끓이는 게 방법이다. 페북 글을 보면 알 수 있지만 김상욱 교수가 처음 생각한 건 아니고, 서울시립대 물리학과 박인규 교수한테 이야기를 듣고 시도해 본 것이다. 김상욱 교수의 라면 끓이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찬물에 라면과 스프를 넣고 물을 끓인다.
- 물이 끓기 시작할 때 계란을 넣는다.
- 30초 후 자른 대파를 넣고 10초 후 불을 끈다.
이렇게 하면 물이 끓은 후 40초 정도면 '완벽한 면발'의 라면이 완성된다는 것이다. 보통 라면 조리법이 물이 끓은 다음 면과 스프를 넣고 4분 이상을 기다려야 하는 것과 비교하면 3분이 넘는 시간이 단축된다.
<알쓸신잡>을 비롯한 방송 출연으로 인지도가 높아진 데다가 물리학과 교수라는 '전문가' 이미지, 거기에 나름 그럴싸하게 학구적인 유머가 곁들여진 이 페북 포스트는 선풍적인 화제를 모았고 당연히 많은 사람들이 이렇게 라면을 끓여 후기를 올렸고, 언론 기사로도 줄줄이 보도되었다. 페북 포스트 첫 줄처럼 '라면의 새 역사를 연' 것까지는 아니지만 정말로 저렇게 끓여도 물이 끓을 때 면과 스프를 넣는 것과 결과가 다르지 않다면 성질 급한 사람들과 귀차니스트들에게는 그야말로 반가운 소식.
그렇다면 물을 끓인 다음에 면과 스프를 넣으라고 했던 라면 회사들은 이런 조리법을 어떻게 볼까? 이에 관한 <한겨레> 기사를 살펴보면[1] 농심 측에서는 '변인 통제' 문제를 거론했다. 물을 끓이면 섭씨 100도 수준에서 온도가 고정된다. 여기에 면과 스프를 넣으면 온도가 약간 더 올라가기는 하지만 미미한 수준이다. 가스레인지든 전기레인지든 뭐든지 일단 물을 끓였다면 일정한 수준이 유지된다. 따라서 권장 조리시간인 4분 동안 끓이면 뭘로 끓이든 비슷한 결과가 나온다.[2] 그러나 찬물에 면과 스프를 넣고 끓일 때에는 화력에 따라서 물이 끓기까지의 시간에 차이가 발생한다. 화력이 약하면 끓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므로 면이 찬물에 담겨 있는 시간이 길어진다. 즉, 찬물에 다 넣고 끓이는 방법은 물이 끓은 다음 넣는 것과 비교했을 때 일정한 맛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여기에 오뚜기는 한술 더 떠서 직접 실험까지 해 보고 기자에게 답을 줬는데, 기존의 조리법대로 할 경우에는 물이 끓을 때까지 4분, 면과 스프를 넣고 4분, 합계 8분이 걸렸는데 김상욱 교수의 방식으로 했을 때에는 4분 20초부터 끓기 시작했다고 한다. 여기까지 보면 상당한 시간이 절약될 것 같은데, 오뚜기 측 주장은 김상욱 교수처럼 물이 끓기 시작한 후 40초만에 불을 끄면 면이 제대로 익지 않는다는 것이다. 오뚜기 측은 면이 제대로 익으려면 조리 시작 후 총 7분 30초가 걸려서 기존 조리법에 비해 30초 정도밖에 시간 단축 효과가 없다고 답변했다. 여기에 더해서 조리 시간이 단축되면 그만큼 물의 증발량이 줄어들어 국물이 싱거워진다는 의견도 덧붙였다. 라면봉지에 쓰여 있는 물의 양은 라면을 끓이면서 증발하는 물의 양까지 감안한 건데 물이 끓는 시간이 줄어들면 그만큼 증발하는 물의 양도 줄어들므로 결과적으로 남는 물의 양이 늘어난다는 뜻이다. 이 문제는 처음에 물을 약간 적게 넣는 것으로 해결할 수 있다.[3]
사실 글의 내용을 보면 진지한 내용은 아니며, 그냥 한번 끓여본 건데 의외로 결과가 좋아서 과학자식 유머를 곁들여서 올린 가벼운 포스팅인데 사태(?)가 이렇게 되다 보니, 다음날 다시 페이스북에 포스트를 올렸다. '라면 한 개를 찬물에 넣어 끓여 먹는 바람에, 방송사와 유튜브 채널에서 연락이 오고 난리도 아니다.'라고 단 하룻만에 일어난 일들을 이야기하고 있다. 방송사나 언론사도 그렇겠지만 유튜버도 이런 화제의 인물을 가지고 뭐 하나 찍으면 조회수 왕창 올리는 건 따논 당상이었을 것이다. 심지어 제대로 실험 좀 해 달라는 섭외까지 온 모양인데, '나는 그냥 호기심으로 해 본 것일 뿐 각잡고 실험할 생각까지는 없다'고 딱 잘라 거절. 사실 이게 물리학의 영역도 아니고, '완벽한 면발' 여부도 과학으로는 결정할 수 없는 주관의 문제다. 농심에서 이야기한 '변인 통제'의 문제 역시 <한겨레> 기사가 나기 전에 이미 이 글에서 언급하고 있다.
그래도 이 사태(?)가 잦아들지 않자 이번에는 시 한 수를 올리는데...
한편 찬물에 다 넣고 라면을 끓이는 방법을 알려준 모든 일의 원흉 박인규 교수는 2월 6일에 이런 포스트를 올렸다.
이미 원조는 있었다?
김상욱 교수의 '라면의 새역사를 열다'라는 말은 물론 누가 봐도 과장이 들어간 유머지만, 알고 보면 이미 매스컴에서 몇 차례 이런 식으로 라면 끓이는 방법이 방송을 탄적이 있다. SBS <백종원의 골목식당> 2018년 10월 17일 방송을 보면 서울 성내동 만화거리에 있는 한 분식집 사장이 이런 방식으로 라면을 끓인다. 백종원도 이런 방법은 처음이라는 듯 눈이 휘둥그래졌는데, 당시 손님들의 반응은 "면이 너무 꼬들꼬들하다"는 것이었다.
해당 장면을 보면 자막으로 '찬물에 면을 넣으면 익는데 오래 걸리는 만큼 화학반응도 느려져 면이 불고 풍미가 떨어짐'이라는 '호정기 식품연구원'의 코멘트가 있다. 그런데 이 방송이 나간 다음 역시 찬물라면을 끓인 후기를 보면 상당히 호평하는 반응도 많았다. 이 때도 라면 회사에 의견을 물어본 기사가 있었다.[4] 라면 회사 측의 반응은 라면 끓이는 방법이 한 가지만 있는 것은 아니며, 라면 봉지에 있는 조리법은 일종의 표준, 즉 이렇게 끓이면 호불호가 가장 덜한 조리법이라는 것이다. 덧붙여서 <백종원의 골목식당>의 자막에 나온 의견과 비슷하게, 면이 물속에 있는 시간이 길어지므로 면이 붇는다는 의견도 제시했다.
또한 그 전에도 2017년에 방영된 <신서유기3>에서 강호동이 찬물라면을 시전하는 모습을 보여줘서 잠깐 화제가 되기도 했다. 다만 강호동식 찬물라면은 찬물에 면만 넣고 끓인 다음 스프는 물이 끓을 때 넣는다. 유튜브나 블로그에도 예전부터 찬물에 면과 스프를 다 넣고 라면을 끓이는 방법을 보여주는 글이나 영상이 있었다.
각주
- ↑ "찬물이냐 끓는물이냐…물리학자와 라면회사 ‘면발 논쟁’, <한겨레>, 2021년 2월 12일.
- ↑ 물론 라면을 여러 개 넣고 끓이거나, 화력이 약해서 면과 스프가 들어갔을 때 끓는점을 유지하지 못할 정도라거나 하는 경우가 있겠지만 소수의 예외에 불과할 것이다.
- ↑ 꼬들꼬들한 면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4분을 꼭꼭 채워서 끓이지 않는다.
- ↑ "“찬물에 라면 넣고 3분만 끓여도 맛있을까?” 라면 회사에 물었다", 위키트리, 2018년 10월 1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