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도주: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위키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말 그대로 [[포도]]를 주원료로 만드는 [[술]].
말 그대로 [[포도]]를 주원료로 만드는 [[술]]. 포도는 옛부터 술을 만드는 재료로 유럽을 중심으로 널리 사랑 받아 왔으며, 그 덕에 전 세계 과일 생산량의 1위 자리를 절대로 빼앗기지 않고 있다. 우리나라도 먼 옛날부터 고유 품종인 머루로 술을 담았다.


==[[포도]] 과즙을 발효시킨 술==
==[[포도]] 과즙을 발효시킨 술==


[[포도]] 과즙을 [[발효]]시켜서 만드는 술이다. 흔히 영어 단어인 [[와인]]이라고 부르지만 한글성경에서만큼은 어느 버전이든 [[와인]]이라는 말을 절대 안 쓰고 꼭 '포도주'라고 표기하고 있다.<ref>한글성경은 천주교든 개신교든 웬만하면 외래어는 안 쓰려는 경향이 있다. [[빵]]조차도 '밀떡'이라고 표현한 성경도 있었다.</ref> 최후의 만찬에서 유래한 '빵과 포도주'는 기독교에서 무척 자주 쓰이는 문구다. 포도주는 예수 그리스도의 피를 상징하는 것으로 기독교에서는 엄청나게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ref>물론 아무 포도주나 그런 건 아니고, 가톨릭과 정교회 기준으로는 사제가 축성한 포도주만이 성혈로 의미를 가진다. 개신교는 교파에 따라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보통 상징 정도로만 생각한다.</ref><ref>그런데 요즈음 가톨릭은 튀었을 때의 처리 문제 때문에 [[화이트 와인]]을 주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 레드 와인을 성혈로 썼는데 그게 한 방울이라도 옷이나 천 같은 곳에 튀었다면 색깔이 다 빠질 때까지 물에 빨아서 그 물을 사제가 모두 마셔 없애야 한다. 최후의 만찬 때 썼던 포도주도 그렇고, '피'라는 의미에는 [[레드 와인]]이 더 부합하지만 어쨌든 요즈음은 [[화이트 와인]]을 쓴다.</ref> 좁은 의미로는 [[와인]]=포도주지만 [[과일]]을 원료로 양조하고 증류하지 않은 술은 넓은 의미에서 [[와인]]으로 포함된다.<ref>예를 들어 라스베리 와인이라든가, [[복분자주]]라든가. 다만 [[포도]]가 아닌 다른 과일이면 보통은 과일 이름을 '와인' 앞에 적는다.</ref> 자세한 것은 [[와인]] 항목 참조.
[[포도]] 과즙을 [[발효]]시켜서 만드는 술이다. 요즈음은 우리나라에서도 '[[와인]]'이라는 단어게 훨씬 친숙하다. 흔히 영어 단어인 [[와인]]이라고 부르지만 한글성경에서만큼은 어느 버전이든 [[와인]]이라는 말을 절대 안 쓰고 꼭 '포도주'라고 표기하고 있다.<ref>한글성경은 천주교든 개신교든 웬만하면 외래어는 안 쓰려는 경향이 있다. [[빵]]조차도 '밀떡'이라고 표현한 성경도 있었다.</ref> 최후의 만찬에서 유래한 '빵과 포도주'는 기독교에서 무척 자주 쓰이는 문구다. 포도주는 예수 그리스도의 피를 상징하는 것으로 기독교에서는 엄청나게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ref>물론 아무 포도주나 그런 건 아니고, 가톨릭과 정교회 기준으로는 사제가 축성한 포도주만이 성혈로 의미를 가진다. 개신교는 교파에 따라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보통 상징 정도로만 생각한다.</ref><ref>그런데 요즈음 가톨릭은 튀었을 때의 처리 문제 때문에 [[화이트 와인]]을 주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 레드 와인을 성혈로 썼는데 그게 한 방울이라도 옷이나 천 같은 곳에 튀었다면 색깔이 다 빠질 때까지 물에 빨아서 그 물을 사제가 모두 마셔 없애야 한다. 최후의 만찬 때 썼던 포도주도 그렇고, '피'라는 의미에는 [[레드 와인]]이 더 부합하지만 어쨌든 요즈음은 [[화이트 와인]]을 쓴다.</ref> 좁은 의미로는 [[와인]]=포도주지만 [[과일]]을 원료로 양조하고 증류하지 않은 술은 넓은 의미에서 [[와인]]으로 포함된다.<ref>예를 들어 라스베리 와인이라든가, [[복분자주]]라든가. 다만 [[포도]]가 아닌 다른 과일이면 보통은 과일 이름을 '와인' 앞에 적는다.</ref> 자세한 것은 [[와인]] 항목 참조.
 
다만 '포도주'라는 이름을 달고 좀 애매하게 나온 술도 있는데, 진로에서 1966년부터 생산 판매하기 시작한 '진로 포도주'가 바로 그것. 원주, 즉 진짜 [[와인]] 함량은 20%에 불과했다. 알코올 도수가 10%이기 때문에 20% 밖에 안 되는 와인에 물만 타서는 도수를 맞출 수가 없다.<ref>[[와인]]의 알코올 도수는 15% 정도가 한계다. 그 이상 가는 것들은 [[증류주]]를 첨가해서 도수를 높인 [[강화 와인]]이다.</ref> 포도 쥬스, [[주정]]과 합성착향료를 때려 넣지 않으면 절대 불가능하다. 2009년에 '진로 하우스 와인'으로 리뉴얼 했는데, [[와인]] 함량<ref>스페인산 와인을 사용했다고 표시하고 있는데, 싸구려를 썼을 것은 안 봐도 뻔한 얘기.</ref>이 16.7%로 오히려 줄었다! 하이트진로는 자사 웹사이트에 이 제품을 '진로와인'으로 표시하고 있는데, 정작 [[와인]]이 아닌 기타주류 항목에 넣어 놓았다. 한편 하이트진로 웹사이트의 [[와인]] 항목에는 '진로 레드와인'이라는, 라벨에 두꺼비 그림이 큼직하게 그려져 있는 와인이 있는데, 이건 [[이탈리아]]의 시칠리아 지역 와이너리가 양조해서 진로가 라벨을 붙여 파는 제품으로, 시칠리아 지역의 주력 품종인 네로다볼라를 사용했고 시칠리아 IGP 인증을 받은 진짜 이탈리아 와인이다.


==[[포도]]에 [[증류주]]를 부어 만든 [[담금주]]==
==[[포도]]에 [[증류주]]를 부어 만든 [[담금주]]==
11번째 줄: 13번째 줄:
당연히 제대로 [[발효]]시켜서 만드는 포도주와는 맛이나 구성 성분이 천지차이다. 일단 [[포도]]의 [[당분]]이 전혀 발효되지 않고 술에 녹아나오기 때문에 달달하고, 도수가 25~30%인 [[담금주]]용 [[소주]]를 주로 사용하므로 [[포도]]의 수분이 빠져 나온다고 해도 [[알코올]] 도수는 [[와인]]보다 높은 편이다. [[담금주]]로 만든 포도주만 드시던 어르신들께서 [[와인]]을 드시면 단맛도 별로 없고 시금털털한 (그 분들 감각에는) 맛에 당혹스러워 한다. 껍질의 색소가 우러나오기 때문에 검붉은 색깔을 띠긴 하지만 [[레드 와인]]이 [[발효]]되는 과정에서 나오는 성분들은 기대할 수 없다. 그래도 숙성 기간이 길어지면 나름대로의 이런저런 화학 반응으로 나름대로 맛이 깊어지긴 한다.  
당연히 제대로 [[발효]]시켜서 만드는 포도주와는 맛이나 구성 성분이 천지차이다. 일단 [[포도]]의 [[당분]]이 전혀 발효되지 않고 술에 녹아나오기 때문에 달달하고, 도수가 25~30%인 [[담금주]]용 [[소주]]를 주로 사용하므로 [[포도]]의 수분이 빠져 나온다고 해도 [[알코올]] 도수는 [[와인]]보다 높은 편이다. [[담금주]]로 만든 포도주만 드시던 어르신들께서 [[와인]]을 드시면 단맛도 별로 없고 시금털털한 (그 분들 감각에는) 맛에 당혹스러워 한다. 껍질의 색소가 우러나오기 때문에 검붉은 색깔을 띠긴 하지만 [[레드 와인]]이 [[발효]]되는 과정에서 나오는 성분들은 기대할 수 없다. 그래도 숙성 기간이 길어지면 나름대로의 이런저런 화학 반응으로 나름대로 맛이 깊어지긴 한다.  


우리나라에도 [[와인]] 문화가 빠르게 퍼지면서 이제는 가정에서 이런 포도주를 담그는 모습은 거의 보기 힘들어졌다.
우리나라에도 [[와인]] 문화가 빠르게 퍼지면서 이제는 가정에서 이런 포도주를 담그는 모습은 보기 힘들어졌다.


{{각주}}
{{각주}}


[[Category:술]]
[[Category:술]]

2023년 5월 16일 (화) 23:15 기준 최신판

말 그대로 포도를 주원료로 만드는 . 포도는 옛부터 술을 만드는 재료로 유럽을 중심으로 널리 사랑 받아 왔으며, 그 덕에 전 세계 과일 생산량의 1위 자리를 절대로 빼앗기지 않고 있다. 우리나라도 먼 옛날부터 고유 품종인 머루로 술을 담았다.

포도 과즙을 발효시킨 술

포도 과즙을 발효시켜서 만드는 술이다. 요즈음은 우리나라에서도 '와인'이라는 단어게 훨씬 친숙하다. 흔히 영어 단어인 와인이라고 부르지만 한글성경에서만큼은 어느 버전이든 와인이라는 말을 절대 안 쓰고 꼭 '포도주'라고 표기하고 있다.[1] 최후의 만찬에서 유래한 '빵과 포도주'는 기독교에서 무척 자주 쓰이는 문구다. 포도주는 예수 그리스도의 피를 상징하는 것으로 기독교에서는 엄청나게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2][3] 좁은 의미로는 와인=포도주지만 과일을 원료로 양조하고 증류하지 않은 술은 넓은 의미에서 와인으로 포함된다.[4] 자세한 것은 와인 항목 참조.

다만 '포도주'라는 이름을 달고 좀 애매하게 나온 술도 있는데, 진로에서 1966년부터 생산 판매하기 시작한 '진로 포도주'가 바로 그것. 원주, 즉 진짜 와인 함량은 20%에 불과했다. 알코올 도수가 10%이기 때문에 20% 밖에 안 되는 와인에 물만 타서는 도수를 맞출 수가 없다.[5] 포도 쥬스, 주정과 합성착향료를 때려 넣지 않으면 절대 불가능하다. 2009년에 '진로 하우스 와인'으로 리뉴얼 했는데, 와인 함량[6]이 16.7%로 오히려 줄었다! 하이트진로는 자사 웹사이트에 이 제품을 '진로와인'으로 표시하고 있는데, 정작 와인이 아닌 기타주류 항목에 넣어 놓았다. 한편 하이트진로 웹사이트의 와인 항목에는 '진로 레드와인'이라는, 라벨에 두꺼비 그림이 큼직하게 그려져 있는 와인이 있는데, 이건 이탈리아의 시칠리아 지역 와이너리가 양조해서 진로가 라벨을 붙여 파는 제품으로, 시칠리아 지역의 주력 품종인 네로다볼라를 사용했고 시칠리아 IGP 인증을 받은 진짜 이탈리아 와인이다.

포도증류주를 부어 만든 담금주

우리나라 가정에서 많이 담그던 포도주는 담금주의 일종이다. 포도를 유리병에 넣고 소주를 콸콸 부어서 담가 놓는 방식으로 만든다. 한국에서 구할 수 있는 포도를 쓰니까 당연히 와인용으로 쓰는 포도가 아닌, 그냥 먹는 용도의 포도를 쓴다. 와인을 만들 때처럼 압착하거나 으깨거나 하지 않고, 포도송이에서 포도알만 따서 통으로 그냥 넣는다.

당연히 제대로 발효시켜서 만드는 포도주와는 맛이나 구성 성분이 천지차이다. 일단 포도당분이 전혀 발효되지 않고 술에 녹아나오기 때문에 달달하고, 도수가 25~30%인 담금주소주를 주로 사용하므로 포도의 수분이 빠져 나온다고 해도 알코올 도수는 와인보다 높은 편이다. 담금주로 만든 포도주만 드시던 어르신들께서 와인을 드시면 단맛도 별로 없고 시금털털한 (그 분들 감각에는) 맛에 당혹스러워 한다. 껍질의 색소가 우러나오기 때문에 검붉은 색깔을 띠긴 하지만 레드 와인발효되는 과정에서 나오는 성분들은 기대할 수 없다. 그래도 숙성 기간이 길어지면 나름대로의 이런저런 화학 반응으로 나름대로 맛이 깊어지긴 한다.

우리나라에도 와인 문화가 빠르게 퍼지면서 이제는 가정에서 이런 포도주를 담그는 모습은 보기 힘들어졌다.

각주

  1. 한글성경은 천주교든 개신교든 웬만하면 외래어는 안 쓰려는 경향이 있다. 조차도 '밀떡'이라고 표현한 성경도 있었다.
  2. 물론 아무 포도주나 그런 건 아니고, 가톨릭과 정교회 기준으로는 사제가 축성한 포도주만이 성혈로 의미를 가진다. 개신교는 교파에 따라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보통 상징 정도로만 생각한다.
  3. 그런데 요즈음 가톨릭은 튀었을 때의 처리 문제 때문에 화이트 와인을 주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 레드 와인을 성혈로 썼는데 그게 한 방울이라도 옷이나 천 같은 곳에 튀었다면 색깔이 다 빠질 때까지 물에 빨아서 그 물을 사제가 모두 마셔 없애야 한다. 최후의 만찬 때 썼던 포도주도 그렇고, '피'라는 의미에는 레드 와인이 더 부합하지만 어쨌든 요즈음은 화이트 와인을 쓴다.
  4. 예를 들어 라스베리 와인이라든가, 복분자주라든가. 다만 포도가 아닌 다른 과일이면 보통은 과일 이름을 '와인' 앞에 적는다.
  5. 와인의 알코올 도수는 15% 정도가 한계다. 그 이상 가는 것들은 증류주를 첨가해서 도수를 높인 강화 와인이다.
  6. 스페인산 와인을 사용했다고 표시하고 있는데, 싸구려를 썼을 것은 안 봐도 뻔한 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