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주: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위키
(새 문서: 술지게미 혹은 [[막걸리]<ref>지금은 처음부터 막걸리를 만들기 위해 술을 담지만 원래는 약주를 만들고 난 술지게미에 물을 넣어서...)
 
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술지게미 혹은 [[막걸리]<ref>지금은 처음부터 [[막걸리]]를 만들기 위해 술을 담지만 원래는 약주를 만들고 난 [[술지게미]]에 물을 넣어서 걸러 만들었다.</ref>]에 [[계피]], [[생강]], [[대추]], [[설탕]]을 비롯한 재료를 넣어 끓인 [[술]]. 끓이는 과정에서 [[알코올]]이 대부분 날아가기 때문에 술 가운데는 도수가 아주 낮다. 만드는 곳에 따라, 특히 얼마나 끓여서 알코올을 날리느냐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알코올 함량이 1% 혹은 그 미만이다. 국내에서는 [[알코올]] 함량이 1% 미만인 음료는 주류가 아닌 음료류로 간주하므로<ref>[https://www.mfds.go.kr/brd/m_99/view.do?seq=39208&srchFr=&srchTo=&srchWord=&srchTp=&itm_seq_1=0&itm_seq_2=0&multi_itm_seq=0&company_cd=&company_nm=&page=198 "우리가 마시는 음료, 현명하게 선택하세요!"], 식품의약품안전처, 2017년 10월 26일.</ref> 온라인 통신판매도 할 수 있다. 실제로 인터넷 오픈마켓에 가서 '모주'로 검색해 보면 여러 가지 모주 제품을 볼 수 있다. 단, 술을 가지고 만든 것이며 술을 연상하게 하는 이름이 붙어 있기 때문에 청소년에게는 팔 수 없다.
술지게미 혹은 [[막걸리]]<ref>지금은 처음부터 [[막걸리]]를 만들기 위해 술을 담지만 원래는 약주를 만들고 난 [[술지게미]]에 물을 넣어서 걸러 만들었다.</ref>에 [[계피]], [[생강]], [[대추]], [[설탕]]을 비롯한 재료를 넣어 끓인 [[술]]. 끓이는 과정에서 [[알코올]]이 대부분 날아가기 때문에 술 가운데는 도수가 아주 낮다. 만드는 곳에 따라, 특히 얼마나 끓여서 알코올을 날리느냐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알코올 함량이 1% 혹은 그 미만이다. 국내에서는 [[알코올]] 함량이 1% 미만인 음료는 주류가 아닌 음료류로 간주하므로<ref>[https://www.mfds.go.kr/brd/m_99/view.do?seq=39208&srchFr=&srchTo=&srchWord=&srchTp=&itm_seq_1=0&itm_seq_2=0&multi_itm_seq=0&company_cd=&company_nm=&page=198 "우리가 마시는 음료, 현명하게 선택하세요!"], 식품의약품안전처, 2017년 10월 26일.</ref> 온라인 통신판매도 할 수 있다. 실제로 인터넷 오픈마켓에 가서 '모주'로 검색해 보면 여러 가지 모주 제품을 볼 수 있다. 단, 술을 가지고 만든 것이며 술을 연상하게 하는 이름이 붙어 있기 때문에 청소년에게는 팔 수 없다.


한자로는 '어머니 모' 자를 써서 '母酒'라고 표기한다. '어머니'라는 이름이 붙은 것에는 크게 세 가지 설이 있는데, 하나는 날마다 과음해서 만취한 상태로 집에 오는 아들을 걱정한 어머니가 [[막걸리]]에 여러 약재를 달여서 달달하면서도 잘 취하지 않는 술을 만든 게 유래라는 설이 있고, 조선시대 야사 모음집인 &lt;대동야승&gt;에 따르면 광해군 때 계축옥사로 인목대비가 서궁에 유폐되자 그 어머니인 노씨 부인은 제주도로 귀양을 갔는데, 여기서 생계를 위해 [[술지게미]]를 거른 [[막걸리]]에 약재를 넣어 끓여 팔았던 것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원래는 대비의 어머니가 만든 술이라는 뜻으로 대비모주(大妃母酒)라고 했다가 '대비'는 빠지고 모주로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마지막으로 원래는 묘시, 즉 아침 5~7시 언저리에 [[해장술]]로 마시는 술이라는 뜻으로 묘주(卯酒)라고 불렀던 게 변해서 모주가 되었다는 설이 있다.<ref>[http://www.jjan.kr/news/articleView.html?idxno=305503 오목대 : 전주 모주(母酒) - 조상진], 전북일보, 2009년 4월 3일.</ref>
한자로는 '어머니 모' 자를 써서 '母酒'라고 표기한다. '어머니'라는 이름이 붙은 것에는 크게 세 가지 설이 있는데, 하나는 날마다 과음해서 만취한 상태로 집에 오는 아들을 걱정한 어머니가 [[막걸리]]에 여러 약재를 달여서 달달하면서도 잘 취하지 않는 술을 만든 게 유래라는 설이 있고, 조선시대 야사 모음집인 &lt;대동야승&gt;에 따르면 광해군 때 계축옥사로 인목대비가 서궁에 유폐되자 그 어머니인 노씨 부인은 제주도로 귀양을 갔는데, 여기서 생계를 위해 [[술지게미]]를 거른 [[막걸리]]팔았던 것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이러한 유래 때문에 제주도에서는 막걸리를 모주라고도 부른다고 한다. 원래는 대비의 어머니가 만든 술이라는 뜻으로 대비모주(大妃母酒)라고 했다가 '대비'는 빠지고 모주로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다만 이 설은 막걸리에 관한 것으로, 여기에 약재를 넣어 끓이는 모주와는 거리가 있다.<ref>대신 [[제주도]]에서는 남은 밥을 [[발효]]시킨 다음 끓여서 알코올을 날린 '[[쉰다리]]'라는 음료를 해먹었다.</ref> 마지막으로 원래는 묘시, 즉 아침 5~7시 언저리에 [[해장술]]로 마시는 술이라는 뜻으로 묘주(卯酒)라고 불렀던 게 변해서 모주가 되었다는 설이 있다.<ref>[http://www.jjan.kr/news/articleView.html?idxno=305503 오목대 : 전주 모주(母酒) - 조상진], 전북일보, 2009년 4월 3일.</ref>
 
모주로 유명한 지역은 단연 전라북도 전주시로, 특히 전주식 [[콩나물국밥]]집은 대부분 모주를 팔고 있다. 탁배기 단위로 파는데, [[콩나물국밥]]과 함께 모주 한 탁배기는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술꾼들도 많다. 알코올이 거의 없으므로 해장을 위해 국밥을 먹으면서 한 사발 하는 것정도야 부담이 없다. 전주를 제외하면 [[콩나물국밥]]집 말고는 모주를 파는 곳을 보기 힘들다.


{{각주}}
{{각주}}


[[Category:술]]
[[Category:술]]

2023년 9월 8일 (금) 14:00 기준 최신판

술지게미 혹은 막걸리[1]계피, 생강, 대추, 설탕을 비롯한 재료를 넣어 끓인 . 끓이는 과정에서 알코올이 대부분 날아가기 때문에 술 가운데는 도수가 아주 낮다. 만드는 곳에 따라, 특히 얼마나 끓여서 알코올을 날리느냐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알코올 함량이 1% 혹은 그 미만이다. 국내에서는 알코올 함량이 1% 미만인 음료는 주류가 아닌 음료류로 간주하므로[2] 온라인 통신판매도 할 수 있다. 실제로 인터넷 오픈마켓에 가서 '모주'로 검색해 보면 여러 가지 모주 제품을 볼 수 있다. 단, 술을 가지고 만든 것이며 술을 연상하게 하는 이름이 붙어 있기 때문에 청소년에게는 팔 수 없다.

한자로는 '어머니 모' 자를 써서 '母酒'라고 표기한다. '어머니'라는 이름이 붙은 것에는 크게 세 가지 설이 있는데, 하나는 날마다 과음해서 만취한 상태로 집에 오는 아들을 걱정한 어머니가 막걸리에 여러 약재를 달여서 달달하면서도 잘 취하지 않는 술을 만든 게 유래라는 설이 있고, 조선시대 야사 모음집인 <대동야승>에 따르면 광해군 때 계축옥사로 인목대비가 서궁에 유폐되자 그 어머니인 노씨 부인은 제주도로 귀양을 갔는데, 여기서 생계를 위해 술지게미를 거른 막걸리를 팔았던 것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이러한 유래 때문에 제주도에서는 막걸리를 모주라고도 부른다고 한다. 원래는 대비의 어머니가 만든 술이라는 뜻으로 대비모주(大妃母酒)라고 했다가 '대비'는 빠지고 모주로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다만 이 설은 막걸리에 관한 것으로, 여기에 약재를 넣어 끓이는 모주와는 거리가 있다.[3] 마지막으로 원래는 묘시, 즉 아침 5~7시 언저리에 해장술로 마시는 술이라는 뜻으로 묘주(卯酒)라고 불렀던 게 변해서 모주가 되었다는 설이 있다.[4]

모주로 유명한 지역은 단연 전라북도 전주시로, 특히 전주식 콩나물국밥집은 대부분 모주를 팔고 있다. 탁배기 단위로 파는데, 콩나물국밥과 함께 모주 한 탁배기는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술꾼들도 많다. 알코올이 거의 없으므로 해장을 위해 국밥을 먹으면서 한 사발 하는 것정도야 부담이 없다. 전주를 제외하면 콩나물국밥집 말고는 모주를 파는 곳을 보기 힘들다.

각주

  1. 지금은 처음부터 막걸리를 만들기 위해 술을 담지만 원래는 약주를 만들고 난 술지게미에 물을 넣어서 걸러 만들었다.
  2. "우리가 마시는 음료, 현명하게 선택하세요!", 식품의약품안전처, 2017년 10월 26일.
  3. 대신 제주도에서는 남은 밥을 발효시킨 다음 끓여서 알코올을 날린 '쉰다리'라는 음료를 해먹었다.
  4. 오목대 : 전주 모주(母酒) - 조상진, 전북일보, 2009년 4월 3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