몬쟈야키: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위키
(새 문서: もんじゃ焼き。 일본식 부침개의 일종. 간사이 지역을 대표하는 부침개가 오코노미야키라면 간토 지역에는 몬자야키가 있다고 할 정도로, 도쿄를 중심으로 간토 쪽에서는 많이 볼 수 있는 음식이다. 특히 유명한 것은 그 괴이한 모습으로, 딱 생긴 것만 보면 그야말로 토사물 같아 보여서 처음 보는 사람들을 경악하게 만든다. 간토 사람들도 이런 비주얼은 잘...)
 
10번째 줄: 10번째 줄:


몬쟈야키 전문점에 가면 테이블마다 철판이 설치되어 있다. 간사이식 [[오코노미야키]]는 주방에서 다 만들어서 가져다 주고 테이블의 철판은 보온 기능만을 하지만 몬쟈야키는 직원이 재료를 갖다 주면 손님이 직접 만들어 먹어야 한다.<ref>간토 지역의 몬쟈야키 전문점들은 오코노미야키도 같이 하는 경우가 많은데, 여기는 오코노미야키도 손님이 직접 만들어 먹어야 한다.</ref> 아무렇게나 막 만든 것처럼 보이는 비주얼로는 딱히 만드는 방법이랄 것도 없이 그냥 반죽과 재료를 마구 섞어서 철판에 부치면 되는 거 아닌가? 싶지만 막상 만들어 보면 의외로 난이도가 있다. 반죽이 물처럼 아주 묽기 때문에 보통 부침개처럼 부칠 수가 없기 때문. [[오코노미야키]] 부치듯이 그냥 반죽을 철판에 부으면 그냥 흘러 넘쳐버린다.<ref>철판의 한켠에는 긁어낸 찌꺼기를 밀어서 버리기 위한 틈이 있는데, 반죽을 그냥 철판에 부으면 이쪽으로 다 쏟아져 버린다.</ref>
몬쟈야키 전문점에 가면 테이블마다 철판이 설치되어 있다. 간사이식 [[오코노미야키]]는 주방에서 다 만들어서 가져다 주고 테이블의 철판은 보온 기능만을 하지만 몬쟈야키는 직원이 재료를 갖다 주면 손님이 직접 만들어 먹어야 한다.<ref>간토 지역의 몬쟈야키 전문점들은 오코노미야키도 같이 하는 경우가 많은데, 여기는 오코노미야키도 손님이 직접 만들어 먹어야 한다.</ref> 아무렇게나 막 만든 것처럼 보이는 비주얼로는 딱히 만드는 방법이랄 것도 없이 그냥 반죽과 재료를 마구 섞어서 철판에 부치면 되는 거 아닌가? 싶지만 막상 만들어 보면 의외로 난이도가 있다. 반죽이 물처럼 아주 묽기 때문에 보통 부침개처럼 부칠 수가 없기 때문. [[오코노미야키]] 부치듯이 그냥 반죽을 철판에 부으면 그냥 흘러 넘쳐버린다.<ref>철판의 한켠에는 긁어낸 찌꺼기를 밀어서 버리기 위한 틈이 있는데, 반죽을 그냥 철판에 부으면 이쪽으로 다 쏟아져 버린다.</ref>
# 직원이 반죽과 건더기가 수북이 담긴 그릇과, 큰 주걱 두 개, 작은 주걱은 사람 숫자에 맞춰서 가져다 준다. 큰 주걱은 몬쟈야키를 만들기 위한 것이고 작은 주걱은 다 만들어진 몬쟈야키를 떼어서 먹기 위한 것이다. 즉, 몬쟈야키를 먹을 때에는 숟가락이나 젓가락을 쓰지 않는다.
# 먼저 그릇에서 건더기만 철판에 올린다. 그릇에 작은 숟가락이 있으므로 건더기만 떠내서 올리거나, 반죽이 흘러나가지 않도록 막으면서 건더기만 철판에 부어주거나 한다.
# 큰 주걱을 사용해서 건더기를 굽는다. 건더기는 양배추에 더해 주문한 종류에 따라서 여러 가지 재료가 들어 있다. 주걱으로 건더기를 잘게 잘라주는 게 좋은데, 그렇다고 너무 탕탕 소리를 내는 것은 민폐다.
# 어느 정도 건더기가 익었다 싶으면 원반 모양으로 모아준 다음, 가운데를 주걱으로 헤쳐서 가운데가 빈 도넛 모양으로 만들어 준다. 이 단계에서는 건더기를 바짝 익힐 필요는 없고, 양배추가 숨이 좀 죽었다 싶으면 된다.
# 이제 그릇에 남아 있는 묽은 국물을 건더기 한가운데의 빈 공간에 부어준다. 국물이 건더기로 쳐 놓은 벽을 넘어가지 않도록 하는 게 중요하다. 이 부분이 가장 난이도가 높다. 국물을 한꺼번에 다 붓지 말고 2~3 차례로 나눠서 부어주는 게 좋다.
# 국물을 부었으면 가운데를 주걱으로 살살 저어주면서 점성이 생기도록 한다. 여기서 사람마다 만드는 방법이 차이가 나는데, 도넛을 넗혀서 더 많은 국물이 들어갈 수 있도록 한 다음에 남은 국물을 붓는 사람도 있고, 점성이 충분히 생기면 건더기와 함께 한 번 뒤섞은 다음에 다시 도넛 모양을 만들고 남은 국물을 붓는 사람도 있다.
# 그릇에 있는 국물을 모두 부었고, 국물이 끈적하게 점성이 생겼다면 건더기와 함께 잘 뒤섞은 다음 철판에 잘 펼쳐 준다. 그리고 잠시 기다린 다음 각자 작은 주걱으로 조금씩 떼어서 먹는다.


{{각주}}
{{각주}}


[[Category:일본음식]]
[[Category:일본음식]]

2024년 9월 22일 (일) 19:41 판

もんじゃ焼き。

일본식 부침개의 일종. 간사이 지역을 대표하는 부침개가 오코노미야키라면 간토 지역에는 몬자야키가 있다고 할 정도로, 도쿄를 중심으로 간토 쪽에서는 많이 볼 수 있는 음식이다.

특히 유명한 것은 그 괴이한 모습으로, 딱 생긴 것만 보면 그야말로 토사물 같아 보여서 처음 보는 사람들을 경악하게 만든다. 간토 사람들도 이런 비주얼은 잘 알고 있으며, 종종 개그 소재로 써먹기도 한다. 하지만 간토 사람들 앞에서 대놓고 토사물 운운하는 것은 실례다. 특히 간사이 쪽 사람들은 간토 사람들은 토사물을 뜻하는 '게로(ゲロ)'를 구워먹나? 하고 놀려먹는다.

걸쭉한 밀가루 반죽을 사용하여 두툼하게 부쳐내는 오코노미야키와는 달리, 몬쟈야키는 아주 묽은 반죽을 사용하기 때문에 다 만들어져서 먹을 때에도 식감이 끈적하고 진득하다. 낫토 같이 끈적한 음식을 좋아하는 간토 쪽 식성과, 이런 식감을 싫어하는 간사이 쪽 식성이 몬쟈야키와 오코노미야키 사에에서도 드러나는 셈이다.

만드는 방법

몬쟈야키 전문점에 가면 테이블마다 철판이 설치되어 있다. 간사이식 오코노미야키는 주방에서 다 만들어서 가져다 주고 테이블의 철판은 보온 기능만을 하지만 몬쟈야키는 직원이 재료를 갖다 주면 손님이 직접 만들어 먹어야 한다.[1] 아무렇게나 막 만든 것처럼 보이는 비주얼로는 딱히 만드는 방법이랄 것도 없이 그냥 반죽과 재료를 마구 섞어서 철판에 부치면 되는 거 아닌가? 싶지만 막상 만들어 보면 의외로 난이도가 있다. 반죽이 물처럼 아주 묽기 때문에 보통 부침개처럼 부칠 수가 없기 때문. 오코노미야키 부치듯이 그냥 반죽을 철판에 부으면 그냥 흘러 넘쳐버린다.[2]

  1. 직원이 반죽과 건더기가 수북이 담긴 그릇과, 큰 주걱 두 개, 작은 주걱은 사람 숫자에 맞춰서 가져다 준다. 큰 주걱은 몬쟈야키를 만들기 위한 것이고 작은 주걱은 다 만들어진 몬쟈야키를 떼어서 먹기 위한 것이다. 즉, 몬쟈야키를 먹을 때에는 숟가락이나 젓가락을 쓰지 않는다.
  2. 먼저 그릇에서 건더기만 철판에 올린다. 그릇에 작은 숟가락이 있으므로 건더기만 떠내서 올리거나, 반죽이 흘러나가지 않도록 막으면서 건더기만 철판에 부어주거나 한다.
  3. 큰 주걱을 사용해서 건더기를 굽는다. 건더기는 양배추에 더해 주문한 종류에 따라서 여러 가지 재료가 들어 있다. 주걱으로 건더기를 잘게 잘라주는 게 좋은데, 그렇다고 너무 탕탕 소리를 내는 것은 민폐다.
  4. 어느 정도 건더기가 익었다 싶으면 원반 모양으로 모아준 다음, 가운데를 주걱으로 헤쳐서 가운데가 빈 도넛 모양으로 만들어 준다. 이 단계에서는 건더기를 바짝 익힐 필요는 없고, 양배추가 숨이 좀 죽었다 싶으면 된다.
  5. 이제 그릇에 남아 있는 묽은 국물을 건더기 한가운데의 빈 공간에 부어준다. 국물이 건더기로 쳐 놓은 벽을 넘어가지 않도록 하는 게 중요하다. 이 부분이 가장 난이도가 높다. 국물을 한꺼번에 다 붓지 말고 2~3 차례로 나눠서 부어주는 게 좋다.
  6. 국물을 부었으면 가운데를 주걱으로 살살 저어주면서 점성이 생기도록 한다. 여기서 사람마다 만드는 방법이 차이가 나는데, 도넛을 넗혀서 더 많은 국물이 들어갈 수 있도록 한 다음에 남은 국물을 붓는 사람도 있고, 점성이 충분히 생기면 건더기와 함께 한 번 뒤섞은 다음에 다시 도넛 모양을 만들고 남은 국물을 붓는 사람도 있다.
  7. 그릇에 있는 국물을 모두 부었고, 국물이 끈적하게 점성이 생겼다면 건더기와 함께 잘 뒤섞은 다음 철판에 잘 펼쳐 준다. 그리고 잠시 기다린 다음 각자 작은 주걱으로 조금씩 떼어서 먹는다.

각주

  1. 간토 지역의 몬쟈야키 전문점들은 오코노미야키도 같이 하는 경우가 많은데, 여기는 오코노미야키도 손님이 직접 만들어 먹어야 한다.
  2. 철판의 한켠에는 긁어낸 찌꺼기를 밀어서 버리기 위한 틈이 있는데, 반죽을 그냥 철판에 부으면 이쪽으로 다 쏟아져 버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