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통: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위키
(새 문서: Biltong. 소고기를 말려서 만드는 음식. 육포와 비슷하다고 볼 수 있지만 긴 스틱 모양이고 물기가 좀 더 적어서 딱딱하다. 그렇다고 먹다가...)
 
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Biltong.jpg|upright 1.5|섬네일|없음]]
Biltong.
Biltong.


소고기를 말려서 만드는 음식. 육포와 비슷하다고 볼 수 있지만 긴 스틱 모양이고 물기가 좀 더 적어서 딱딱하다. 그렇다고 먹다가 이가 나갈 정도는 아니지만 이가 약한 사람들에게는 아주 힘들다.
[[고기]]를 말려서 만드는 음식. 네 발 짐승과 두 발 짐승에 걸친 다양한 종류의 [[고기]]로 만들 수 있지만 [[소고기]]가 가장 널리 쓰인다. [[육포]]의 한 종류로 볼 수 있지만 시중에서 볼 수 있는 보통의 [[육포]]보다는 물기가 좀 더 적고 딱딱하며, 식감도 푸석푸석하다.<ref>다만 이것은 현대의 [[육포]]가 보존료와 진공포장 기술을 동원해서 좀 더 부드러워졌기 때문에 그런 거지, 이런 기술이 없던 시대의 [[육포]]는 지금과 비교도 할 수 없이 딱딱하며, 오히려 빌통이 더 부드러웠다.</ref> 그렇다고 먹다가 이가 나갈 정도는 아니지만 이가 약한 사람들에게는 좀 도전하기 힘든 녀석. 요즈음 제품으로 팔리는 빌통 중에는 말만 빌통이고 [[육포]]와 식감이 그게 그거인 것도 많다. 맛만 빌통 비슷하게 낸 것일 뿐이다. 쉽게 말해 빌통맛 [[육포]]. 특히 'soft'라는 말이 있으면 제대로 만든 빌통과는 거리가 먼, 그냥 가공식품이라고 보면 된다. 이건 [[육포]]도 마찬가지지만.
 
[[소고기]]를 [[소금]], [[설탕]], [[식초]],<ref>특히 [[식초]]가 다른 [[육포]]와는 구별되는 중요한 차이를 만든다.</ref> [[후추]]를 주원료로 한 소스에 재운 후 말린다. 옛날에는 햇빛과 바람에 며칠씩 걸려서 말렸지만 요즘은 [[오븐]]의 약한 열로 말려서 빨리 만든다. 다만 높은 열로 굽듯이 만들면 안 되고 대략 70~80도 정도로 천천히 말려야 한다. [[고기]]를 굽거나 [[훈제]]해서 익히는 [[육포]]와는 다르다. 방법만 알면 집에서도 만들 수 있고 [[육포]]보다는 만들기 쉽다. 외국에는 실제 집에서 빌통을 만드는 사람들도 꽤 있다. <del>이런 사람들은 대부분 술고래다.</del>
 
여러 모로 [[육포]](저키)와 비슷하므로 자주 비교된다. 주요한 차이점이라면 처음에 [[고기]]를 준비할 때 [[육포]]보다는 조금 두툼하게 자른다는 점, [[식초]]를 사용하기 때문에 신맛이 약간 있다는 점,<ref>하지만 건조 과정에서 대부분 날아가므로 시큼한 맛이 강하지는 않다.</ref> [[육포]]는 [[훈제]]를 하거나 [[숯불]]에 구워서 [[훈제]]향을 내는 경우가 많지만<ref>대량생산하는 건 이렇게도 하지 않고 그냥 훈제향을 사용한다.</ref> 빌통은 굽거나 [[훈제]]를 하지 않으며<ref>다만 육포 역시 굽지 않고 그냥 말려서 만드는 방법으로 만들기도 하며, 오랜 옛날에는 이쪽이 오히려 주류였다. 굽거나 훈제하는 방식은 속성 제조법에 가깝다.</ref> 오븐을 쓰더라도 70~80도 정도에서 말린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아프리카 [[육포]]'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고 세계적으로는 [[남아프리카공화국]] 특산물이라는 인식이 많지만 그 기원은 이 나라를 정복한 보어인, 즉 [[네덜란드]]인들에게 있다고 한다. 빌통이라는 말 자체도 [[네덜란드어]] bil(엉덩이)+ tong(길쭉한 조각 또는 혀)에서 나온 것이다. 왜 엉덩이냐 하면, [[육포]]도 그렇지만 빌통도 기름이 없는 살코기로 만들어야 하는데 이걸 만들기 좋은 분위가 엉덩이살([[영어]]로는 rump)이다. 그러니까 빌통은 '길쭉한 엉덩이살' 쯤 되겠다. [[남아공]]이야 더운 나라이니 웬만한 [[육포]]보다도 수분이 적어야 저장성이 높지만<ref>사실 지금이야 [[육포]]에 보존료를 넣기 때문에 좀더 부드럽게 만들 수 있지만 그런 물질이 개발되기 전에는 저장성을 높이려면 딱딱해지더라도 수분을 많이 많이 줄여야 했다.</ref> 못 먹을 정도로 돌덩이를 만들 수는 없으니, 향신료와 양념을 통해 보존성을 높인 것이 빌통. 특히 [[식초]]가 고기를 부드럽게 만드는 데 큰 작용을 한다.


소고기를 소금, 설탕, 식초를 주원료로 한 소스에 재운 후 오븐에 구워 익히면서 수분도 날린다. 방법만 알면 집에서도 만들 수 있고 실제 그렇게 만드는 사람들도 많다. <del>이런 사람들은 대부분 술고래다.</del>
옛날에는 [[고기]]를 오래 보관할 수 있는 방법으로 여행용 또는 전투용 식량으로 썼지만 요즘에야 간식 아니면 [[술안주]]. [[육포]]와 비슷한 점이 많아서 [[맥주]] [[안주]]로 잘 어울린다. 하지만 [[육포]]보다 딱딱하다 보니 인기가 적은 편이고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보기 힘들다.


남아프리카공화국 특산물로 잘 알려져 있지만 그 기원은 이 나라를 정복한 보어인들에게 있다고 한다. 더운 나라이니 수분이 적어야 저장성이 높고 그렇다고 돌덩이를 만들 수는 없으니 대략 빌통 정도의 굳기로 만든다.
{{각주}}

2024년 9월 9일 (월) 02:54 기준 최신판

Biltong.jpg

Biltong.

고기를 말려서 만드는 음식. 네 발 짐승과 두 발 짐승에 걸친 다양한 종류의 고기로 만들 수 있지만 소고기가 가장 널리 쓰인다. 육포의 한 종류로 볼 수 있지만 시중에서 볼 수 있는 보통의 육포보다는 물기가 좀 더 적고 딱딱하며, 식감도 푸석푸석하다.[1] 그렇다고 먹다가 이가 나갈 정도는 아니지만 이가 약한 사람들에게는 좀 도전하기 힘든 녀석. 요즈음 제품으로 팔리는 빌통 중에는 말만 빌통이고 육포와 식감이 그게 그거인 것도 많다. 맛만 빌통 비슷하게 낸 것일 뿐이다. 쉽게 말해 빌통맛 육포. 특히 'soft'라는 말이 있으면 제대로 만든 빌통과는 거리가 먼, 그냥 가공식품이라고 보면 된다. 이건 육포도 마찬가지지만.

소고기소금, 설탕, 식초,[2] 후추를 주원료로 한 소스에 재운 후 말린다. 옛날에는 햇빛과 바람에 며칠씩 걸려서 말렸지만 요즘은 오븐의 약한 열로 말려서 빨리 만든다. 다만 높은 열로 굽듯이 만들면 안 되고 대략 70~80도 정도로 천천히 말려야 한다. 고기를 굽거나 훈제해서 익히는 육포와는 다르다. 방법만 알면 집에서도 만들 수 있고 육포보다는 만들기 쉽다. 외국에는 실제 집에서 빌통을 만드는 사람들도 꽤 있다. 이런 사람들은 대부분 술고래다.

여러 모로 육포(저키)와 비슷하므로 자주 비교된다. 주요한 차이점이라면 처음에 고기를 준비할 때 육포보다는 조금 두툼하게 자른다는 점, 식초를 사용하기 때문에 신맛이 약간 있다는 점,[3] 육포훈제를 하거나 숯불에 구워서 훈제향을 내는 경우가 많지만[4] 빌통은 굽거나 훈제를 하지 않으며[5] 오븐을 쓰더라도 70~80도 정도에서 말린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아프리카 육포'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고 세계적으로는 남아프리카공화국 특산물이라는 인식이 많지만 그 기원은 이 나라를 정복한 보어인, 즉 네덜란드인들에게 있다고 한다. 빌통이라는 말 자체도 네덜란드어 bil(엉덩이)+ tong(길쭉한 조각 또는 혀)에서 나온 것이다. 왜 엉덩이냐 하면, 육포도 그렇지만 빌통도 기름이 없는 살코기로 만들어야 하는데 이걸 만들기 좋은 분위가 엉덩이살(영어로는 rump)이다. 그러니까 빌통은 '길쭉한 엉덩이살' 쯤 되겠다. 남아공이야 더운 나라이니 웬만한 육포보다도 수분이 적어야 저장성이 높지만[6] 못 먹을 정도로 돌덩이를 만들 수는 없으니, 향신료와 양념을 통해 보존성을 높인 것이 빌통. 특히 식초가 고기를 부드럽게 만드는 데 큰 작용을 한다.

옛날에는 고기를 오래 보관할 수 있는 방법으로 여행용 또는 전투용 식량으로 썼지만 요즘에야 간식 아니면 술안주. 육포와 비슷한 점이 많아서 맥주 안주로 잘 어울린다. 하지만 육포보다 딱딱하다 보니 인기가 적은 편이고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보기 힘들다.

각주

  1. 다만 이것은 현대의 육포가 보존료와 진공포장 기술을 동원해서 좀 더 부드러워졌기 때문에 그런 거지, 이런 기술이 없던 시대의 육포는 지금과 비교도 할 수 없이 딱딱하며, 오히려 빌통이 더 부드러웠다.
  2. 특히 식초가 다른 육포와는 구별되는 중요한 차이를 만든다.
  3. 하지만 건조 과정에서 대부분 날아가므로 시큼한 맛이 강하지는 않다.
  4. 대량생산하는 건 이렇게도 하지 않고 그냥 훈제향을 사용한다.
  5. 다만 육포 역시 굽지 않고 그냥 말려서 만드는 방법으로 만들기도 하며, 오랜 옛날에는 이쪽이 오히려 주류였다. 굽거나 훈제하는 방식은 속성 제조법에 가깝다.
  6. 사실 지금이야 육포에 보존료를 넣기 때문에 좀더 부드럽게 만들 수 있지만 그런 물질이 개발되기 전에는 저장성을 높이려면 딱딱해지더라도 수분을 많이 많이 줄여야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