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트킷: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위키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s>" 문자열을 "<del>" 문자열로)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악성코드]]의 일종으로 최고 권한인 루트 권한을 획득한 [[악성코드]]가 자신의 존재와 활동을 다른 사용자 및 관리자로부터 숨기기 위한 목적으로 쓰는 또 다른 악성코드다. 물론 [[악성코드]]가 아예 루트킷 기능을 내장할 수도 있고. 그러니까 [[해리포터]]의 투명망토나 [[공각기동대]]의 [[광학미채]]  같은 구실을 하는 셈.
[[악성코드]]의 일종으로 최고 권한인 루트 권한을 획득한 [[악성코드]]가 자신의 존재와 활동을 다른 사용자 및 관리자로부터 숨기기 위한 목적으로 쓰는 또 다른 악성코드다. 물론 [[악성코드]]가 아예 루트킷 기능을 내장할 수도 있고. 그러니까 [[해리포터]]의 투명망토나 [[공각기동대]]의 [[광학미채]]  같은 구실을 하는 셈.


어떤 프로그램이 컴퓨터 안에서 활동하면 실행기록, 로그, 프로세스 뷰를 비롯한 다양한 벙법으로 자신의 흔적을 남기게 된다. [[바이러스]]나 [[웜]] 같은 놈들도 예외는 아니러서 시스템 관리자 또는 보안 프로그램은 이러한 흔적을 분석해서 [[악성코드]]를 찾아낼 수 있다. 루트킷은 이 흔적을 지우고 숨김으로써, 악성코드가 활동하고 있다는 사실을 눈치채지 못하게 한다. 예를 들어 어떤 프로그램의 실행 기록을 로그로 남기는 시스템 프로세스가 있다고 하면 그 프로세스를 가로채서 악성코드의 로그를 날리고, 프로세스 뷰가 프로세스 목록을 작성할 때 이걸 가로채서 프로세스 목록에서 [[악성코드]]를 빼버릴 수도 있다. 루트킷(rootkit)이라는 이름은 한마디로 [[루트]](root)권한을 가진 키트(kti), 즉 도구라는 뜻이다.  루트 권한은 [[유닉스]]에서 쓰는 용어인데,  [[슈퍼 유저]](super user)라고도 하며 한마디로 거의 전지전능한 사용자다. <del>루느님.</del> 루트킷은 사실 무척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실제 루트킷이 처음 등장한 것은 1990년이지만 심지어 [[유닉스]]의 아버지라 할 수 있는 [[켄 톰슨]]을 루트킷의 아버지라고 볼 수 있을 정도다. 이런 시대에 나온 것이니 [[유닉스]]의 최고권한인 루트가 이름에 붙은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
어떤 프로그램이 컴퓨터 안에서 활동하면 실행기록, 로그, 프로세스 뷰를 비롯한 다양한 벙법으로 자신의 흔적을 남기게 된다. [[바이러스]]나 [[웜]] 같은 놈들도 예외는 아니러서 시스템 관리자 또는 보안 프로그램은 이러한 흔적을 분석해서 [[악성코드]]를 찾아낼 수 있다. 루트킷은 이 흔적을 지우고 숨김으로써,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악성코드가 활동하고 있다는 사실을 눈치채지 못하게 한다. 예를 들어 어떤 프로그램의 실행 기록을 로그로 남기는 시스템 프로세스가 있다고 하면 그 프로세스를 가로채서 악성코드의 로그를 날리고, 프로세스 뷰가 프로세스 목록을 작성할 때 이걸 가로채서 프로세스 목록에서 [[악성코드]]를 빼버릴 수도 있다. 루트킷(rootkit)이라는 이름은 한마디로 [[루트]](root)권한을 가진 키트(kti), 즉 도구라는 뜻이다.  루트 권한은 [[유닉스]]에서 쓰는 용어인데,  [[슈퍼 유저]](super user)라고도 하며 한마디로 거의 전지전능한 사용자다. <del>루느님.</del> 루트킷은 사실 무척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실제 루트킷이 처음 등장한 것은 1990년이지만 심지어 [[유닉스]]의 아버지라 할 수 있는 [[켄 톰슨]]을 루트킷의 아버지라고 볼 수 있을 정도다. 이런 시대에 나온 것이니 [[유닉스]]의 최고권한을 뜻하는 '루트'가 이름에 붙은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


2005년에 [[소니]] BMG는 자기네 CD 무단 복제방지 기술에 [[윈도우]]용 루트킷을 쓴 것이 들통나면서 여론의 거센 비난은 물론이고 거액의 소송에 휘말렸는데, 류트킷이라는 이름을 널리 알리는 데에는 큰 공헌을 했다. 그런데 이 정도까지는 아니어도 당시 여러 가지 복제방지 기술이 이상한 짓을 많이 하긴 했다. <del>감히 내 음반을 복제해? 니 컴퓨터를 개판 만들어 주겠어! 이쯤 되면 복제 방지가 아니라 복제 보복 기술.</del>
2005년에 [[소니]] BMG는 자기네 CD 무단 복제방지 기술에 [[윈도우]]용 루트킷을 쓴 것이 들통나면서 여론의 거센 비난은 물론이고 거액의 소송에 휘말렸는데, 루트킷이라는 이름을 널리 알리는 데에는 큰 공헌을 했다. 그런데 이 정도까지는 아니어도 당시 여러 가지 복제방지 기술이 이상한 짓을 많이 하긴 했다. <del>감히 내 음반을 복제해? 니 컴퓨터를 개판 만들어 주겠어! 이쯤 되면 복제 방지가 아니라 복제 보복 기술.</del>


[[Category:컴퓨터 보안]]
[[Category:컴퓨터 보안]]
[[Category:악성코드]]
[[Category:악성코드]]

2017년 9월 16일 (토) 18:33 기준 최신판

악성코드의 일종으로 최고 권한인 루트 권한을 획득한 악성코드가 자신의 존재와 활동을 다른 사용자 및 관리자로부터 숨기기 위한 목적으로 쓰는 또 다른 악성코드다. 물론 악성코드가 아예 루트킷 기능을 내장할 수도 있고. 그러니까 해리포터의 투명망토나 공각기동대광학미채 같은 구실을 하는 셈.

어떤 프로그램이 컴퓨터 안에서 활동하면 실행기록, 로그, 프로세스 뷰를 비롯한 다양한 벙법으로 자신의 흔적을 남기게 된다. 바이러스 같은 놈들도 예외는 아니러서 시스템 관리자 또는 보안 프로그램은 이러한 흔적을 분석해서 악성코드를 찾아낼 수 있다. 루트킷은 이 흔적을 지우고 숨김으로써,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악성코드가 활동하고 있다는 사실을 눈치채지 못하게 한다. 예를 들어 어떤 프로그램의 실행 기록을 로그로 남기는 시스템 프로세스가 있다고 하면 그 프로세스를 가로채서 악성코드의 로그를 날리고, 프로세스 뷰가 프로세스 목록을 작성할 때 이걸 가로채서 프로세스 목록에서 악성코드를 빼버릴 수도 있다. 루트킷(rootkit)이라는 이름은 한마디로 루트(root)권한을 가진 키트(kti), 즉 도구라는 뜻이다. 루트 권한은 유닉스에서 쓰는 용어인데, 슈퍼 유저(super user)라고도 하며 한마디로 거의 전지전능한 사용자다. 루느님. 루트킷은 사실 무척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실제 루트킷이 처음 등장한 것은 1990년이지만 심지어 유닉스의 아버지라 할 수 있는 켄 톰슨을 루트킷의 아버지라고 볼 수 있을 정도다. 이런 시대에 나온 것이니 유닉스의 최고권한을 뜻하는 '루트'가 이름에 붙은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

2005년에 소니 BMG는 자기네 CD 무단 복제방지 기술에 윈도우용 루트킷을 쓴 것이 들통나면서 여론의 거센 비난은 물론이고 거액의 소송에 휘말렸는데, 루트킷이라는 이름을 널리 알리는 데에는 큰 공헌을 했다. 그런데 이 정도까지는 아니어도 당시 여러 가지 복제방지 기술이 이상한 짓을 많이 하긴 했다. 감히 내 음반을 복제해? 니 컴퓨터를 개판 만들어 주겠어! 이쯤 되면 복제 방지가 아니라 복제 보복 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