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잉 777: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미국 보잉사의 민간 여객기. 트리플 세븐이라는 이름으로도 종종 부른다. | 미국 보잉사의 민간 여객기. 트리플 세븐이라는 이름으로도 종종 부른다. | ||
보잉사를 대표하는 항공기라면 [[A380]]이 나오기 전까지 가장 덩치 큰 여객기였던 [[747]]이지만 사실 최대 히트작은 777이라고 봐도 될 정도로 중장거리용 여객기로는 압도적인 판매고를 자랑하면서 롱런하고 있고, 지금도 많은 항공사들이 중장거리에 열심히 투입하고 있다. [[에어버스]]의 [[A340]]은 그야말로 떡실신을 당했고, 심지어는 보잉사의 21세기 야심작이라 할 수 있는 [[787]] 드림라이너가 자꾸 사고를 쳐대는 바람에 [[787]] 수요가 [[A350]]이나 | 보잉사를 대표하는 항공기라면 [[A380]]이 나오기 전까지 가장 덩치 큰 여객기였던 [[747]]이지만 사실 최대 히트작은 777이라고 봐도 될 정도로 중장거리용 여객기로는 압도적인 판매고를 자랑하면서 롱런하고 있고, 지금도 많은 항공사들이 중장거리에 열심히 투입하고 있다. [[에어버스]]의 [[A340]]은 그야말로 떡실신을 당했고, 심지어는 보잉사의 21세기 야심작이라 할 수 있는 [[787]] 드림라이너가 자꾸 사고를 쳐대는 바람에 [[787]] 수요가 [[A350]]이나 개량형 777-X로 역류하는 일까지도 벌어졌다. | ||
777의 최대 강점이라면 쌍발기임에도 4발기를 무색하게 하는 항속거리와 ETOPS다. 쌍발 항공가는 엔진 하나가 고장났을 때 나머지 한 개의 엔진으로 운항 가능한 시간을 정한 ETOPS 규정이 있다. [[A340]]은 엔진을 4개 장착함으로써 ETOPS 규정 적용을 안 받는 중형 광동체 여객기를 만들었는데, 777은 쌍발로 180분 이상의 ETOPS를 받아버렸다. 즉 엔진 한 개로 세 시간 이상 운행이 가능하므로 항로 제한이 상당 부분 풀리는 것. 연료 효율이나 소음 문제에서는 쌍발이 월등히 유리한지라 [[A340]]은 그야말로 낙동강 오리알 신세가 되어 버렸고 결국 오래 못 가고 단종. | 777의 최대 강점이라면 쌍발기임에도 4발기를 무색하게 하는 항속거리와 ETOPS다. 쌍발 항공가는 엔진 하나가 고장났을 때 나머지 한 개의 엔진으로 운항 가능한 시간을 정한 ETOPS 규정이 있다. 여객기의 항로를 정할 때에는 이 ETOPS가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항로 중 어디서든지 엔진 하나가 고장났을 때, ETOPS 범위 안에 비상착륙할 수 있는 공항이 있어야 한다. 특히 대양을 건너는 항로, 예를 들어 태평양을 횡단하는 한국-미국 노선과 같은 항로에서는 이 ETOPS 규정 때문에 최단거리로 못 가는 상황이 생길 수 있다. [[A340]]은 엔진을 4개 장착함으로써 ETOPS 규정 적용을 안 받는 중형 광동체 여객기를 만들었는데, 777은 쌍발로 180분 이상의 ETOPS를 받아버렸다. 즉 엔진 한 개로 세 시간 이상 운행이 가능하므로 항로 제한이 상당 부분 풀리는 것. 777-200ER은 무려 330분의 ETOPS를 받았다. 330분이면 5시간 반이다. 즉 엔진 하나로 서울에서 [[방콕]] 정도의 거리까지도 버틸 수 있다는 뜻이 된다. 태평양을 건너더라도 [[괌]]이나 [[하와이]] [[호놀룰루]]와 같이 777 이착륙이 되는 공항들을 감안하면 얼마든지 횡단 항로로 날아갈 수 있다. 연료 효율이나 소음 문제에서는 쌍발이 월등히 유리한지라 [[A340]]은 그야말로 낙동강 오리알 신세가 되어 버렸고 결국 오래 못 가고 단종. | ||
좌석 배열은 [[이코노미 클래스]] 기준으로 3-3-3, 즉 1열 9 좌석이다. 그런데 객실 공간의 폭이 9 좌석으로는 약간 널럴한데 이걸 어떻게든 써먹으려고 유럽과 중동 항공사들을 중심으로 3-4-3 배열을 우겨넣는 추세다. 이 배열의 777을 타면 정말 비좁다는 느낌이 든다. 다행히 한국의 플래그십 항공사들은 아직까지는 3-3-3 배열을 유지하고 있다. 다만 [[저가항공사]]인 [[진에어]]는 3-4-3 배열이다. | 좌석 배열은 [[이코노미 클래스]] 기준으로 3-3-3, 즉 1열 9 좌석이다. 그런데 객실 공간의 폭이 9 좌석으로는 약간 널럴한데 이걸 어떻게든 써먹으려고 유럽과 중동 항공사들을 중심으로 3-4-3 배열을 우겨넣는 추세다. 이 배열의 777을 타면 정말 비좁다는 느낌이 든다. 다행히 한국의 플래그십 항공사들은 아직까지는 3-3-3 배열을 유지하고 있다. 다만 [[저가항공사]]인 [[진에어]]는 3-4-3 배열이다. | ||
전 세계 거의 모든 플래그십 항공사들이 가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 특이하게 가지고 있을 법한데 안 가지고 있는 항공사가 둘 있다. 바로 [[루프트한자]]와 [[콴타스]]. | 전 세계 거의 모든 플래그십 항공사들이 가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 특이하게 가지고 있을 법한데 안 가지고 있는 항공사가 둘 있다. 바로 [[루프트한자]]와 [[콴타스]]. [[루프트한자]]야 에어버스빠니까 그렇다고 치고<ref>777은 없고 777한테 발린 [[A340]]은 제일 많이 가지고 있다. 그렇다고 보잉 기체가 아주 없는 건 아니고, [[747]]-8은 런치 커스토머로 주문했다.</ref>, 심지어 [[콴타스]]는 777 개발 당시 보잉과 협력 관계를 가지고 개발 프로그램에 참여까지 했는데도 777이 없다. [[747]]이나 [[737]]은 잘만 굴렸으면서도 중형 광동체는 [[A330]] 일색... | ||
{{각주}} | {{각주}} |
2017년 7월 28일 (금) 12:05 판
미국 보잉사의 민간 여객기. 트리플 세븐이라는 이름으로도 종종 부른다.
보잉사를 대표하는 항공기라면 A380이 나오기 전까지 가장 덩치 큰 여객기였던 747이지만 사실 최대 히트작은 777이라고 봐도 될 정도로 중장거리용 여객기로는 압도적인 판매고를 자랑하면서 롱런하고 있고, 지금도 많은 항공사들이 중장거리에 열심히 투입하고 있다. 에어버스의 A340은 그야말로 떡실신을 당했고, 심지어는 보잉사의 21세기 야심작이라 할 수 있는 787 드림라이너가 자꾸 사고를 쳐대는 바람에 787 수요가 A350이나 개량형 777-X로 역류하는 일까지도 벌어졌다.
777의 최대 강점이라면 쌍발기임에도 4발기를 무색하게 하는 항속거리와 ETOPS다. 쌍발 항공가는 엔진 하나가 고장났을 때 나머지 한 개의 엔진으로 운항 가능한 시간을 정한 ETOPS 규정이 있다. 여객기의 항로를 정할 때에는 이 ETOPS가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항로 중 어디서든지 엔진 하나가 고장났을 때, ETOPS 범위 안에 비상착륙할 수 있는 공항이 있어야 한다. 특히 대양을 건너는 항로, 예를 들어 태평양을 횡단하는 한국-미국 노선과 같은 항로에서는 이 ETOPS 규정 때문에 최단거리로 못 가는 상황이 생길 수 있다. A340은 엔진을 4개 장착함으로써 ETOPS 규정 적용을 안 받는 중형 광동체 여객기를 만들었는데, 777은 쌍발로 180분 이상의 ETOPS를 받아버렸다. 즉 엔진 한 개로 세 시간 이상 운행이 가능하므로 항로 제한이 상당 부분 풀리는 것. 777-200ER은 무려 330분의 ETOPS를 받았다. 330분이면 5시간 반이다. 즉 엔진 하나로 서울에서 방콕 정도의 거리까지도 버틸 수 있다는 뜻이 된다. 태평양을 건너더라도 괌이나 하와이 호놀룰루와 같이 777 이착륙이 되는 공항들을 감안하면 얼마든지 횡단 항로로 날아갈 수 있다. 연료 효율이나 소음 문제에서는 쌍발이 월등히 유리한지라 A340은 그야말로 낙동강 오리알 신세가 되어 버렸고 결국 오래 못 가고 단종.
좌석 배열은 이코노미 클래스 기준으로 3-3-3, 즉 1열 9 좌석이다. 그런데 객실 공간의 폭이 9 좌석으로는 약간 널럴한데 이걸 어떻게든 써먹으려고 유럽과 중동 항공사들을 중심으로 3-4-3 배열을 우겨넣는 추세다. 이 배열의 777을 타면 정말 비좁다는 느낌이 든다. 다행히 한국의 플래그십 항공사들은 아직까지는 3-3-3 배열을 유지하고 있다. 다만 저가항공사인 진에어는 3-4-3 배열이다.
전 세계 거의 모든 플래그십 항공사들이 가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 특이하게 가지고 있을 법한데 안 가지고 있는 항공사가 둘 있다. 바로 루프트한자와 콴타스. 루프트한자야 에어버스빠니까 그렇다고 치고[1], 심지어 콴타스는 777 개발 당시 보잉과 협력 관계를 가지고 개발 프로그램에 참여까지 했는데도 777이 없다. 747이나 737은 잘만 굴렸으면서도 중형 광동체는 A330 일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