홉: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위키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Hops. [[영어]]에서는 복수로 쓰는 게 기본이다. 외국어 표준표기법으로는 '호프'가 아니라 '홉'이 맞다.
Hops. [[영어]]에서는 복수로 쓰는 게 기본이다. 외국어 표준표기법으로는 '호프'가 아니라 '홉'이 맞다.


[[맥주]] 특유의 쌉싸름한 맛을 내는 주인공. [[맥주]]에 사용하는 것은 밝은 녹색으로 [[솔방울]] 비스무리하게 생겼다. [[열매]]처럼 보일 수 있지만 정확히는 [[꽃]]이다.
[[맥주]] 특유의 쌉싸름한 맛을 내는 주인공. [[맥주]]에 사용하는 것은 밝은 녹색으로 [[솔방울]] 비스무리하게 생겼다. [[열매]]처럼 보일 수 있지만 정확히는 [[꽃]]이다. 양조에 사용할 때에는 운송과 사용이 편리하도록 분쇄와 건조 과정을 거친 펠릿 형태로 만든 것을 쓴다.
 
쌉싸름한 맛을 내는 성분은 알파산(alpha acid)라는 것으로, 물에 녹은 상태에서 열을 가하면 이성질화되어 이소알파산으로 변하고 이게 쓴맛을 낸다. 따라서 [[맥주]]를 양조하는 과정에서 워트를 끓일 때 홉을 넣는 게 보통이다. 이렇게 홉을 넣어서 [[맥주]]의 향미를 만들어가는 과정을 호핑이라고 한다. 물론 홉이 쓴맛만을 내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향미를 내는 오일 성분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홉의 품종과 재배 지역에 따라서, 또한 여러 가지 홉을 어떤 식으로 섞어 쓰느냐에 따라서 [[맥주]]의 스타일을 정말로 다양하게 만들어 낼 수 있다. 미국에서 [[크래프트 비어]]가 꽃핀 것도 미국에서 품종개량을 거친 여러 가지 개성 있고 뛰어난 홉이 등장한 것도 큰 영향을 미쳤다.


홉은 [[맥주]]에서 여러 가지 중요한 구실을 한다. 향미 말고도 보존성을 높이는 데에도 기여한다. 홉을 [[맥주]]에 넣으면서부터 낮은 [[알코올]] 도수에도 불구하고 [[맥주]]의 보관 기간이 크게 늘어났고 <del>마시고 꽐라 될 수 있는</del> 음료로서 [[와인]]과 맞장 뜰 수 있게 되었다. 먼 곳에 수출하는 [[맥주]]는 홉을 왕창 때려넣어서 보존성을 높였는데 그게 아예 스타일로 굳어진 대표 사례가 [[인디아 페일 에일]](IPA). [[영국]]에서 만든 [[에일]]을 적도를 두 번 건너서 [[인도]]까지 보내야 하니 방부제 삼아 홉을 대량으로 때려넣은 게 [[IPA]]는 스타일로 굳어졌다.  
홉은 [[맥주]]에서 여러 가지 중요한 구실을 한다. 향미 말고도 보존성을 높이는 데에도 기여한다. 홉을 [[맥주]]에 넣으면서부터 낮은 [[알코올]] 도수에도 불구하고 [[맥주]]의 보관 기간이 크게 늘어났고 <del>마시고 꽐라 될 수 있는</del> 음료로서 [[와인]]과 맞장 뜰 수 있게 되었다. 먼 곳에 수출하는 [[맥주]]는 홉을 왕창 때려넣어서 보존성을 높였는데 그게 아예 스타일로 굳어진 대표 사례가 [[인디아 페일 에일]](IPA). [[영국]]에서 만든 [[에일]]을 적도를 두 번 건너서 [[인도]]까지 보내야 하니 방부제 삼아 홉을 대량으로 때려넣은 게 [[IPA]]는 스타일로 굳어졌다.  

2019년 10월 25일 (금) 10:54 판

Hops. 영어에서는 복수로 쓰는 게 기본이다. 외국어 표준표기법으로는 '호프'가 아니라 '홉'이 맞다.

맥주 특유의 쌉싸름한 맛을 내는 주인공. 맥주에 사용하는 것은 밝은 녹색으로 솔방울 비스무리하게 생겼다. 열매처럼 보일 수 있지만 정확히는 이다. 양조에 사용할 때에는 운송과 사용이 편리하도록 분쇄와 건조 과정을 거친 펠릿 형태로 만든 것을 쓴다.

쌉싸름한 맛을 내는 성분은 알파산(alpha acid)라는 것으로, 물에 녹은 상태에서 열을 가하면 이성질화되어 이소알파산으로 변하고 이게 쓴맛을 낸다. 따라서 맥주를 양조하는 과정에서 워트를 끓일 때 홉을 넣는 게 보통이다. 이렇게 홉을 넣어서 맥주의 향미를 만들어가는 과정을 호핑이라고 한다. 물론 홉이 쓴맛만을 내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향미를 내는 오일 성분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홉의 품종과 재배 지역에 따라서, 또한 여러 가지 홉을 어떤 식으로 섞어 쓰느냐에 따라서 맥주의 스타일을 정말로 다양하게 만들어 낼 수 있다. 미국에서 크래프트 비어가 꽃핀 것도 미국에서 품종개량을 거친 여러 가지 개성 있고 뛰어난 홉이 등장한 것도 큰 영향을 미쳤다.

홉은 맥주에서 여러 가지 중요한 구실을 한다. 향미 말고도 보존성을 높이는 데에도 기여한다. 홉을 맥주에 넣으면서부터 낮은 알코올 도수에도 불구하고 맥주의 보관 기간이 크게 늘어났고 마시고 꽐라 될 수 있는 음료로서 와인과 맞장 뜰 수 있게 되었다. 먼 곳에 수출하는 맥주는 홉을 왕창 때려넣어서 보존성을 높였는데 그게 아예 스타일로 굳어진 대표 사례가 인디아 페일 에일(IPA). 영국에서 만든 에일을 적도를 두 번 건너서 인도까지 보내야 하니 방부제 삼아 홉을 대량으로 때려넣은 게 IPA는 스타일로 굳어졌다.

맥주 자체가 나온 것은 기원전까지 거슬러 올라가지만 맥주에 홉이 들어가기 시작한 것은 한참 뒤의 일로, 11세기 말에 가서야 양조에 쓴 기록이 나온다. 그 전까지는 맥주에 향미를 주는 방법으로 그루트(gruit)라는 허브 혼합물을 썼는데 홉이 맥주와 만나면서 그루트의 자리를 대체하게 된다. 하지만 그 속도는 느렸는데, 13세기가 지나서야 본격적으로 그루트의 지위를 건드리기 시작했고, 필수요소로 등극한 것은 16세기 이후 쯤이다.

맥주 하면 가장 먼저 독일을 떠올리고, 실제로 홉의 역사를 만든 곳도 독일할러타우지만 홉의 진짜 강자는 체코다. 그 이유는 뭐니뭐니해도 재료의 품질인데 체코산 홉, 그 중에서도 사츠 지역 홉은 세계 최고로 인정 받는다. 체코라거 맥주 필스너가 괜히 잘나가는 게 아니다. 일본산토리 더 프리미엄 몰츠가 자랑하는 것 중 하나가 체코 사츠 지역의 홉을 썼다는 것. 물론 독일에서 나오는 홉도 고품질로 높은 평가를 받는다.

우리나라의 말오줌 맥주는 주로 미국산 캐스케이드 홉을 쓴다. 호주 타즈매니아 섬에서 나는 홉도 품질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가끔 하이트 맥스타즈매니아 홉 한정판을 내놓는다. 요즘은 오비골든라거클라우드 같은 국산 맥주 들이 독일 할러타우산 홉을 썼다고 광고한다. 이 동네는 처음으로 홉에 관한 기록이 나오는 원조급 지역이기도 하고, 독일 필스너용 노블 홉을 공급하는 곳으로 유명하다.

종류

  • 노블 홉 : 쓴맛이 적은 대신 향이 강한 홉. 독일의 할러타우, 체코의 사츠 지방 홉이 특히 유명하며 필스너를 비롯해서 체코독일라거가 가진 특유의 향미를 내는데 중요한 구실을 한다.
  • 캐스케이드 홉 : 주로 북미 지역에서 많이 쓰는 홉.
  • 아로마 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