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내 엔터테인먼트: 두 판 사이의 차이
(→PTV) |
(→오버헤드) |
||
8번째 줄: | 8번째 줄: | ||
===오버헤드=== | ===오버헤드=== | ||
Overhead screens. | |||
현재 운영되고 있는 기내 엔터테인먼트 중에는 가장 오래되고 가장 기능이 뒤떨어진 것으로, 천장에 설치되어 있는 화면으로 영상을 틀어주는 방식이다. 음향은 좌석에 설치된 오디오 잭을 통해 이어폰이나 헤드폰으로 듣는다. 모든 승객들은 똑같은 영상을 보아야 하며, TV가 몇 줄에 하나 정도 꼴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좌석에 따라 잘 안 보이는 것도 문제다. | 현재 운영되고 있는 기내 엔터테인먼트 중에는 가장 오래되고 가장 기능이 뒤떨어진 것으로, 천장에 설치되어 있는 화면으로 영상을 틀어주는 방식이다. 음향은 좌석에 설치된 오디오 잭을 통해 이어폰이나 헤드폰으로 듣는다. 모든 승객들은 똑같은 영상을 보아야 하며, TV가 몇 줄에 하나 정도 꼴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좌석에 따라 잘 안 보이는 것도 문제다. | ||
아직도 오버헤드 방식은 꽤 많이 쓰이는 편이다. 운항시간이 짧은 단거리 구간이나 소형 항공기는 기내 엔터테인먼트가 아예 없거나 오버헤드 화면을 설치해 놓은 모습을 | 아직도 오버헤드 방식은 꽤 많이 쓰이는 편이다. 현재 운영되고 있는 기내 엔터테인먼트 중에는 가장 뒤떨어지는 방식이긴 하지만 비용 절감 효과는 확실하고, 우리나라 국내선처럼 기내 엔터테인먼트의 효용성이 떨어지는 한 시간 정도의 단거리 구간을 주로 뛰는 항공기라면 이륙 때 안전 안내 영상이나 짧은 영상 정도만 틀어주면 되기 때문에 좌석마다 화면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운항시간이 짧은 단거리 구간이나 소형 항공기는 기내 엔터테인먼트가 아예 없거나 오버헤드 화면을 설치해 놓은 모습을 볼 수 있다. 서비스 투자를 최소화하는 [[저가항공사]] 역시 기내 엔터테인먼트가 아예 없거나 오버헤드 방식으로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 ||
KTX에도 객실에 오버헤드 TV를 설치하고 영상을 틀어준다. | KTX에도 객실에 오버헤드 TV를 설치하고 영상을 틀어준다. |
2022년 3월 31일 (목) 20:13 판
In-flight entertainment (IFE).
항공기 승객들에게 기내에서 영화, 음악, 비행정보를 비롯한 각종 오락거리를 음향이나 영상으로 제공해 주는 시스템. 여객기의 기내 서비스를 평가할 때, 좌석, 승무원의 서비스, 기내식과 함께 주요한 평가 요소이며 항공사들이 많은 투자를 하는 부분이기도 하다.
운영체제로는 과거에는 리눅스 또는 윈도우 임베디드를 주로 썼으나, 최근에는 안드로이드를 쓰는 추세다. 최신 기내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을 보면 안드로이드 태블릿과 비슷한 느낌을 많이 받으며, 심지어 안드로이드 태블릿과 비슷한 홈 버튼이나 뒤로 가기 버튼이 있는 것도 볼 수 있다.
종류
오버헤드
Overhead screens.
현재 운영되고 있는 기내 엔터테인먼트 중에는 가장 오래되고 가장 기능이 뒤떨어진 것으로, 천장에 설치되어 있는 화면으로 영상을 틀어주는 방식이다. 음향은 좌석에 설치된 오디오 잭을 통해 이어폰이나 헤드폰으로 듣는다. 모든 승객들은 똑같은 영상을 보아야 하며, TV가 몇 줄에 하나 정도 꼴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좌석에 따라 잘 안 보이는 것도 문제다.
아직도 오버헤드 방식은 꽤 많이 쓰이는 편이다. 현재 운영되고 있는 기내 엔터테인먼트 중에는 가장 뒤떨어지는 방식이긴 하지만 비용 절감 효과는 확실하고, 우리나라 국내선처럼 기내 엔터테인먼트의 효용성이 떨어지는 한 시간 정도의 단거리 구간을 주로 뛰는 항공기라면 이륙 때 안전 안내 영상이나 짧은 영상 정도만 틀어주면 되기 때문에 좌석마다 화면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운항시간이 짧은 단거리 구간이나 소형 항공기는 기내 엔터테인먼트가 아예 없거나 오버헤드 화면을 설치해 놓은 모습을 볼 수 있다. 서비스 투자를 최소화하는 저가항공사 역시 기내 엔터테인먼트가 아예 없거나 오버헤드 방식으로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KTX에도 객실에 오버헤드 TV를 설치하고 영상을 틀어준다.
PTV
Personal Televisions.
각 좌석에 화면을 설치하고 영상과 음향을 제공하는 방식. PTV 방식부터는 각 승객별로 보고 싶은 것을 볼 수 있다. 화면은 보통 좌석의 뒤에 설치해서 그 뒷자리 승객이 볼 수 있도록 한다. 앞에 좌석이 없이 격벽만 있는 가장 앞자리라면 이착륙이나 비상 상황 때 접어 넣을 수 있는 화면을 설치해 둔다. 비즈니스 클래스나 퍼스트 클래스는 보통 이코노미 클래스보다 더 큰 화면을 설치한다.
운영 방식은 일반 TV와 비슷하다. 즉 각 승객은 터치 스크린이나 컨트롤러로 여러 개의 채널 중 원하는 채널을 선택할 수는 있지만 각자 보고 싶은 영화나 음악까지 선택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기내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의 발전으로 아래에 나올 AVOD가 대세가 되고 있기 때문에 PTV는 사장되는 추세다. 만약 PTV가 설치되어 있는 항공기라면 연식이 오래됐다고 보면 된다.
AVOD
스트리밍
좌석에 스크린이나 컨트롤러를 설치하지 않는 대신, 기내 와이파이[1]를 이용해서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로 기내 엔터테인먼트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요즈음은 거의 대부분 스마트폰이든 태블릿이든 모바일 기기를 가지고 다니고 있으므로 이를 이용해서 기내 엔터테인먼트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항공사에 따라서는 좌석마다 태블릿을 하나씩 꽂아놓고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곳도 있다. 콴타스의 경우 일부 기종에 아이패드를 하나씩 꽂아 놓았다. 물론 들고 튀는 손님을 막기 위해 보안장치를 하거나 줄로 매달아 놓거나 하는데, 아무래도 관리가 쉽지 않고 시간이 지나면 업그레이드도 해야 하므로 많이 쓰이는 방식은 아니다. 스트리밍 방식으로 기내 엔터테인먼트를 제공하는 항공기라고 해도 퍼스트 클래스 또는 비즈니스 클래스에는 별도로 AVOD를 설치하거나, 태블릿을 대여해 주거나 하는 항공사도 있다.
주로 저가항공사들이 비용 절감 차원에서 많이 이용하지만 풀 서비스 캐리어도 점점 스트리밍 방식을 채택하는 항공사가 늘고 있다. 한국의 풀 서비스 캐리어 중에는 아시아나항공이 A320Neo에 이 시스템을 전면 도입했다. 대한항공은 C220에 이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