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X: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위키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조판 프로그램. <s>이공계 대학원생, 특히 수학 전공 대학원생들의 공공의 적.</s>
조판 프로그램. <s>이공계 대학원생, 특히 수학 전공 대학원생들의 공공의 적.</s>


스탠프드대학교의 컴퓨터 과학자 도널드 커누스(Donald Knuth) 교수가 자기 책 내려다가 출판사가 보내 온 교정본의 조판 품질에 빡쳐서  당시 초창기 단계였던 디지털 조판 장비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조판 시스템을 직접 만들었다. 가끔 휴대폰 가게에 "싼 휴대폰 찾다가 빡쳐서 직접 차린 집"이라는 문구가 붙어 있는 걸 볼 수 있는데, TeX은 "좋은 조판 시스템 찾다가 빡쳐서 직접 만든 시스템"이 되시겠다. <s>그리고 수많은 이공계 대학원생들이 빡치고 있다.</s>
[[스탠포드대학교]]의 컴퓨터 과학자 [[도널드 커누스]](Donald Knuth) 교수가 자기 책 내려다가 출판사가 보내 온 교정본의 조판 품질에 빡쳐서  당시 초창기 단계였던 디지털 조판 장비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조판 시스템을 직접 만들었다. 가끔 [[휴대폰]] 가게에 "싼 [[휴대폰]] 찾다가 빡쳐서 직접 차린 집"이라는 문구가 붙어 있는 걸 볼 수 있는데, TeX은 "좋은 조판 시스템 찾다가 빡쳐서 직접 만든 시스템"이 되시겠다. <s>그리고 수많은 이공계 대학원생들이 빡치고 있다.</s>


수식 조판에 대단한 강점을 가지고 있다. TeX의 난이도에 빡치더라도 수식 편집에 오는 순간 왜 TeX을 그렇게 쓰라고 하는지 절절하게 느끼게 된다. 굉장히 복잡한 수식도 상당히 논리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수학과 교수 쯤 되면 몇 페이지에 걸친 수식도 TeX으로 척척 만들어 낸다. <s>그러니까 수학 잘하는 사람보다 TeX 잘하는 사람이 교수되는 건가?</s>
수식 조판에 대단한 강점을 가지고 있다. TeX의 난이도에 빡치더라도 수식 편집에 오는 순간 왜 TeX을 그렇게 쓰라고 하는지 절절하게 느끼게 된다. 굉장히 복잡한 수식도 상당히 논리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수학과 교수 쯤 되면 몇 페이지에 걸친 수식도 TeX으로 척척 만들어 낸다. <s>그러니까 수학 잘하는 사람보다 TeX 잘하는 사람이 교수되는 건가?</s>
7번째 줄: 7번째 줄:
텍스트에 마치 프로그래밍을 하듯이 명령어를 넣어서 문서의 구성이나 모양을 만든다. 이 점이 TeX을 어렵게 만드는 가장 큰 원인이다. HTML에 익숙해 있다면 생각보다는 어렵지 않다.
텍스트에 마치 프로그래밍을 하듯이 명령어를 넣어서 문서의 구성이나 모양을 만든다. 이 점이 TeX을 어렵게 만드는 가장 큰 원인이다. HTML에 익숙해 있다면 생각보다는 어렵지 않다.


TeX이 하도 쓰기 어렵다 보니, TeX을 기반으로 해서 좀 더 쓰기 쉽게 만든 LaTeX이 나왔다. 오늘날 TeX을 쓰는 대다수 사람들은 LaTeX으로 작업한다. LaTeX이 TeX보다는 훨씬 쉽지만 어디까지나 'TeX보다'다. TeX이 박사 과정이라면 LaTeX은 석사 과정 쯤으로 생각하면 된다.
TeX이 하도 쓰기 어렵다 보니, TeX을 기반으로 해서 좀 더 쓰기 쉽게 만든 [[LaTeX]]이 나왔다. 오늘날 TeX을 쓰는 대다수 사람들은 [[LaTeX]]으로 작업한다. [[LaTeX]]이 TeX보다는 훨씬 쉽지만 어디까지나 'TeX보다'다. TeX이 박사 과정이라면 [[LaTeX]]은 석사 과정 쯤으로 생각하면 된다.

2015년 5월 22일 (금) 13:33 판

조판 프로그램. 이공계 대학원생, 특히 수학 전공 대학원생들의 공공의 적.

스탠포드대학교의 컴퓨터 과학자 도널드 커누스(Donald Knuth) 교수가 자기 책 내려다가 출판사가 보내 온 교정본의 조판 품질에 빡쳐서 당시 초창기 단계였던 디지털 조판 장비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조판 시스템을 직접 만들었다. 가끔 휴대폰 가게에 "싼 휴대폰 찾다가 빡쳐서 직접 차린 집"이라는 문구가 붙어 있는 걸 볼 수 있는데, TeX은 "좋은 조판 시스템 찾다가 빡쳐서 직접 만든 시스템"이 되시겠다. 그리고 수많은 이공계 대학원생들이 빡치고 있다.

수식 조판에 대단한 강점을 가지고 있다. TeX의 난이도에 빡치더라도 수식 편집에 오는 순간 왜 TeX을 그렇게 쓰라고 하는지 절절하게 느끼게 된다. 굉장히 복잡한 수식도 상당히 논리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수학과 교수 쯤 되면 몇 페이지에 걸친 수식도 TeX으로 척척 만들어 낸다. 그러니까 수학 잘하는 사람보다 TeX 잘하는 사람이 교수되는 건가?

텍스트에 마치 프로그래밍을 하듯이 명령어를 넣어서 문서의 구성이나 모양을 만든다. 이 점이 TeX을 어렵게 만드는 가장 큰 원인이다. HTML에 익숙해 있다면 생각보다는 어렵지 않다.

TeX이 하도 쓰기 어렵다 보니, TeX을 기반으로 해서 좀 더 쓰기 쉽게 만든 LaTeX이 나왔다. 오늘날 TeX을 쓰는 대다수 사람들은 LaTeX으로 작업한다. LaTeX이 TeX보다는 훨씬 쉽지만 어디까지나 'TeX보다'다. TeX이 박사 과정이라면 LaTeX은 석사 과정 쯤으로 생각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