징기스칸: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위키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4번째 줄: 14번째 줄:
# 고기가 구워지면 소스에 찍어먹으면 된다. 생고기라면 너무 익힐 필요 없이 [[소고기]] 정도의 취향으로 익혀 먹는다. 냉동 고기라면 좀 더 익혀준다.
# 고기가 구워지면 소스에 찍어먹으면 된다. 생고기라면 너무 익힐 필요 없이 [[소고기]] 정도의 취향으로 익혀 먹는다. 냉동 고기라면 좀 더 익혀준다.


물론 지금이야 머튼을 쓸 리는 없고, [[홋카이도]]산이나 수입산 램을 쓴다. 아무래도 싸니까 수입산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지만 [[홋카이도]] 쪽으로 가보면 같은 [[홋카이도]]산을 사용한 징기스칸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물론 지금이야 머튼을 쓸 리는 없고, [[홋카이도]]산이나 수입산 램을 쓴다. 아무래도 싸니까 호주나 뉴질랜드 쪽 수입산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지만 [[홋카이도]] 쪽으로 가보면 같은 [[홋카이도]]산을 사용한 징기스칸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del>물론 국내산은 당연히 더 비싸다.</del>
 
우리나라는 예전에 신세계 계열의 까르네스테이션이라는 체인점에서 '징기스칸'이라는 걸 했는데 [[일본]]의 징기스칸과는 거리가 멀었다. 일단 고기도 [[소고기]]였고, [[일본]]에서 쓰는 두툼한 철판도 아니었고, 고기도 얇았다. 그냥 얇은 [[소고기]]를 무한리필로 마음껏 구워먹을 수 있는 곳이었다. 요즈음은 우리나라에도 대도시를 중심으로 [[홋카이도]]식 징기스칸 전문점들이 늘어가는 추세다.


{{각주}}
{{각주}}


[[Category:일본음식]]
[[Category:일본음식]]

2017년 10월 28일 (토) 04:26 판

ジンギスカン(成吉思汗)。

Jingisukan cooking.jpg

몽골의 황제 이름은 표준 표기법으로는 '칭기즈칸'이 되지만 여기서 다루는 일본 요리는 '징기스칸'이 맞다.[1] 물론 이름은 칭기즈칸에서 따온 거지만.

일본양고기 요리. 이름과 재료 때문에 몽골 요리가 아닐까 생각하는 사람들도 많지만 전혀 관계가 없다. 이 요리가 징기스칸이라는 이름을 갖게 된 건 그저 몽골 사람들이 양고기를 많이 먹으니까,. 일본에는 '칭기즈칸이 열심히 정복을 다닐 때 군사들이 야외에서 양고기를 이렇게 구워 먹었다...' 는 속설이 있어서지만 그냥 속설일 뿐이다. 일본이 침략전쟁에 한창 열을 올렸을 때 특히 만주와 같은 추운 곳에서 전쟁을 하는 군인들을 위해 특히 홋카이도 쪽에서 양털을 얻기 위해 양을 많이 키웠다. 그 때에는 고기보다는 양털이 더 중요했으므로 양털 제조기로 더 이상 이용가치가 없는 늙은 양을 그냥 버리긴 그러니까 고기로 활용했다. 당연히 머튼인지라 누린내가 심했는데 어쨌거나 아까우니 어떻게든 먹으려고 요리를 하다 보니까 발전해 나간 게 징기스칸. 이와 같은 요리는 만주에 쳐들어간 일본군들로부터 구워 먹는 방법이 전해졌고, 일본 나름대로의 방식으로 발전해 나갔다.

사진에서 보는 것처럼 가운데가 불룩하게 솟아나온 두툼한 철판을 달군 다음 양고기채소를 구워서 먹는다. 채소로는 양파, 양배추, 숙주나물을 기본으로 단호박, 마늘, 피망이나 파프리카와 같은 것들도 올라간다.

  1. 철판을 뜨겁게 달군다.
  2. 충분히 달구어졌으면 같이 나오는 양고기 기름을 철판에 발라 준다.
  3. 채소를 먼저 철판의 가장자리를 둘러 올린 다음, 고기는 가운데에 올린다.
  4. 고기가 구워지면 소스에 찍어먹으면 된다. 생고기라면 너무 익힐 필요 없이 소고기 정도의 취향으로 익혀 먹는다. 냉동 고기라면 좀 더 익혀준다.

물론 지금이야 머튼을 쓸 리는 없고, 홋카이도산이나 수입산 램을 쓴다. 아무래도 싸니까 호주나 뉴질랜드 쪽 수입산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지만 홋카이도 쪽으로 가보면 같은 홋카이도산을 사용한 징기스칸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물론 국내산은 당연히 더 비싸다.

우리나라는 예전에 신세계 계열의 까르네스테이션이라는 체인점에서 '징기스칸'이라는 걸 했는데 일본의 징기스칸과는 거리가 멀었다. 일단 고기도 소고기였고, 일본에서 쓰는 두툼한 철판도 아니었고, 고기도 얇았다. 그냥 얇은 소고기를 무한리필로 마음껏 구워먹을 수 있는 곳이었다. 요즈음은 우리나라에도 대도시를 중심으로 홋카이도식 징기스칸 전문점들이 늘어가는 추세다.

각주

  1. 일본에서도 지금은 칭기즈칸을 チンギス・カン으로 표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