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발주: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
|||
7번째 줄: | 7번째 줄: | ||
==서양의 신발주== | ==서양의 신발주== | ||
신발주 문화는 우리나라에서는 회식 문화의 변화와 함께 슬슬 자취를 감춰가고 있는데 난데없이 2016년 경부터 서양권에서 화제가 되고 있다. <del>오오 한류 문화</del> 서양에서는 shoey라고 부르는데. 신발주 문화가 유항한 곳이 [[호주]]라서 [[호주]] 냄새 풀풀 나는 단어가 신발주를 뜻하는 영어 단어로 정착된 듯. 특히 이게 [[F1]]에서 대박 화제를 불러 일으키고 있는데 그 주인공은 호주 출신 드라이버인 [[대니얼 리카르도]]. 2016년 [[F1]] [[독일 그랑프리]]에서 포디엄에 올라 신발에 [[샴페인]]을 따라 마시는 퍼포먼스로 팬들에게 충격과 공포를 선사했다. 이 날 [[대니얼 리카르도|리카르도]]는 2위를 차지했을 뿐만 아니라 [[F1]] 데뷔 후 100번째 레이스를 찍는날이어서 나름대로 기념한 것. 2주 전 네덜란드에서 열린 [[모토GP]]에서 역시 호주 출신 라이더인 잭 밀러가 포디엄에서 신발에 [[샴페인]]을 따라 마셨는데 이걸 보고 따라한 듯하다. | |||
[[대니얼 리카르도|리카르도]]는 [[벨기에 그랑프리]]에서 포디엄에 올라서도 신발주를 시전했는데 이 때는 인터뷰를 위해 올라왔던 같은 호주 출신의 전 F1 드라이버 [[마크 웨버]]<ref>사실 [[마크 웨버|웨버]]가 [[F1]]에서 은퇴하면서 [[레드불레이싱]]의 빈 자리를 [[대니얼 리카르도|리카르도]]가 이어 받은 거나 마찬가지다.</ref>도 나눠 마셨다. [[말레이시아 그랑프리]]에서는 데뷔 후 첫 우승을 차지하면서 다시 한번 신발에 [[샴페인]]을 따라 마셨다. 이걸로 끝난 게 아니라 2위를 차지한 팀 동료 [[막스 페르스타펜]]과 3위 [[니코 로즈베르크]], 거기에 컨스트럭터 우승 트로피를 받으러 온 [[레드불레이싱]] 감독 [[크리스천 호너]]까지 줄줄이 신발주를 시전하면서 그야말로 대박 유행 조짐이다. 심지어 포디엄에서 이걸 금지해야 하나 말아야 하냐는 논쟁까지 벌어지는 판. 즉 지저분하게 신발에 술 따라 마시는 게 시상식의 격을 떨어뜨린다는 주장과 이게 뭐 어떠냐 재밌기만 하구먼... 하는 주장에 맞부딪치고 있다. | [[대니얼 리카르도|리카르도]]는 [[벨기에 그랑프리]]에서 포디엄에 올라서도 신발주를 시전했는데 이 때는 인터뷰를 위해 올라왔던 같은 [[호주]] 출신의 전 [[F1]] 드라이버 [[마크 웨버]]<ref>사실 [[마크 웨버|웨버]]가 [[F1]]에서 은퇴하면서 [[레드불레이싱]]의 빈 자리를 [[대니얼 리카르도|리카르도]]가 이어 받은 거나 마찬가지다.</ref>도 나눠 마셨다. [[말레이시아 그랑프리]]에서는 데뷔 후 첫 우승을 차지하면서 다시 한번 신발에 [[샴페인]]을 따라 마셨다. 이걸로 끝난 게 아니라 2위를 차지한 팀 동료 [[막스 페르스타펜]]과 3위 [[니코 로즈베르크]], 거기에 컨스트럭터 우승 트로피를 받으러 온 [[레드불레이싱]] 감독 [[크리스천 호너]]까지 줄줄이 신발주를 시전하면서 그야말로 대박 유행 조짐이다. 심지어 포디엄에서 이걸 금지해야 하나 말아야 하냐는 논쟁까지 벌어지는 판. 즉 지저분하게 신발에 술 따라 마시는 게 시상식의 격을 떨어뜨린다는 주장과 이게 뭐 어떠냐 재밌기만 하구먼... 하는 주장에 맞부딪치고 있다. | ||
서양에서는 신발주가 [[호주]]에서 나온것으로 보고 있다. 1800년경에 [[독일]]에서는 부츠 모양의 [[맥주]]잔을 사용했는데 여기서 힌트를 얻은 거 아닌가 하는 의견도 있다. <del>아마 [[호주]]의 누군가가 한국에서 신발주 마시는 걸 보고 갔겠지.</del> [[F1]]에서 잇달아 신발주를 시전한 [[대니얼 리카르도|리카르도]] 역시 '신발주는 아주 호주스러운 문화'라고 말하고 있다. 그는 신발주를 시전한 이유로 "다른 [[호주]] 사람들이 자랑스러워하는 일을 한 것."이라고 이야기한다.<ref>[http://www.sbs.com.au/news/thefeed/article/2016/08/01/daniel-ricciardo-explaining-his-shoey-most-australian-thing-ever Daniel Ricciardo explaining his ‘shoey’ is the most Australian thing ever], ''SBS'', 1 August 2016.</ref> <del>아니라니까 임마. 원조는 한국이야!</del> | 서양에서는 신발주가 [[호주]]에서 나온것으로 보고 있다. 1800년경에 [[독일]]에서는 부츠 모양의 [[맥주]]잔을 사용했는데 여기서 힌트를 얻은 거 아닌가 하는 의견도 있다. <del>아마 [[호주]]의 누군가가 한국에서 신발주 마시는 걸 보고 갔겠지.</del> [[F1]]에서 잇달아 신발주를 시전한 [[대니얼 리카르도|리카르도]] 역시 '신발주는 아주 호주스러운 문화'라고 말하고 있다. 그는 신발주를 시전한 이유로 "다른 [[호주]] 사람들이 자랑스러워하는 일을 한 것."이라고 이야기한다.<ref>[http://www.sbs.com.au/news/thefeed/article/2016/08/01/daniel-ricciardo-explaining-his-shoey-most-australian-thing-ever Daniel Ricciardo explaining his ‘shoey’ is the most Australian thing ever], ''SBS'', 1 August 2016.</ref> <del>아니라니까 임마. 원조는 한국이야!</del> |
2016년 10월 7일 (금) 20:12 판
말 그대로 신발에 부어 마시는 술을 뜻한다. 하지만 인터넷에서 검색해 보면 신발 관련 주식 얘기만 줄줄이 나온다.
한국의 신발주
우리나라에서는 90년대 초까지는 군대를 중심으로 있던 문화로 알려져 있다. 군화에 술 부어서 벌컥벌컥 원샷 때리는 무대뽀 문화가 나름대로 신발주의 원조였던 셈. 군대 문화가 많이 배어 있는 검사들 사이에서도 신발주가 있었다는 이야기들이 있고, 신입생 환영회 때나 군대 가기 전 술자리에서도 신발주가 있었다.[1]
서양의 신발주
신발주 문화는 우리나라에서는 회식 문화의 변화와 함께 슬슬 자취를 감춰가고 있는데 난데없이 2016년 경부터 서양권에서 화제가 되고 있다. 오오 한류 문화 서양에서는 shoey라고 부르는데. 신발주 문화가 유항한 곳이 호주라서 호주 냄새 풀풀 나는 단어가 신발주를 뜻하는 영어 단어로 정착된 듯. 특히 이게 F1에서 대박 화제를 불러 일으키고 있는데 그 주인공은 호주 출신 드라이버인 대니얼 리카르도. 2016년 F1 독일 그랑프리에서 포디엄에 올라 신발에 샴페인을 따라 마시는 퍼포먼스로 팬들에게 충격과 공포를 선사했다. 이 날 리카르도는 2위를 차지했을 뿐만 아니라 F1 데뷔 후 100번째 레이스를 찍는날이어서 나름대로 기념한 것. 2주 전 네덜란드에서 열린 모토GP에서 역시 호주 출신 라이더인 잭 밀러가 포디엄에서 신발에 샴페인을 따라 마셨는데 이걸 보고 따라한 듯하다.
리카르도는 벨기에 그랑프리에서 포디엄에 올라서도 신발주를 시전했는데 이 때는 인터뷰를 위해 올라왔던 같은 호주 출신의 전 F1 드라이버 마크 웨버[2]도 나눠 마셨다. 말레이시아 그랑프리에서는 데뷔 후 첫 우승을 차지하면서 다시 한번 신발에 샴페인을 따라 마셨다. 이걸로 끝난 게 아니라 2위를 차지한 팀 동료 막스 페르스타펜과 3위 니코 로즈베르크, 거기에 컨스트럭터 우승 트로피를 받으러 온 레드불레이싱 감독 크리스천 호너까지 줄줄이 신발주를 시전하면서 그야말로 대박 유행 조짐이다. 심지어 포디엄에서 이걸 금지해야 하나 말아야 하냐는 논쟁까지 벌어지는 판. 즉 지저분하게 신발에 술 따라 마시는 게 시상식의 격을 떨어뜨린다는 주장과 이게 뭐 어떠냐 재밌기만 하구먼... 하는 주장에 맞부딪치고 있다.
서양에서는 신발주가 호주에서 나온것으로 보고 있다. 1800년경에 독일에서는 부츠 모양의 맥주잔을 사용했는데 여기서 힌트를 얻은 거 아닌가 하는 의견도 있다. 아마 호주의 누군가가 한국에서 신발주 마시는 걸 보고 갔겠지. F1에서 잇달아 신발주를 시전한 리카르도 역시 '신발주는 아주 호주스러운 문화'라고 말하고 있다. 그는 신발주를 시전한 이유로 "다른 호주 사람들이 자랑스러워하는 일을 한 것."이라고 이야기한다.[3] 아니라니까 임마. 원조는 한국이야!
신발주 문화가 이미 한물 간 한국에서는 오히려 '쟤들 지금 뭐 하는 거임?' 하는 분위기도 있다. 이것들아 원조는 한국이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