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지진속보

내위키
Dennis (토론 | 기여)님의 2019년 12월 29일 (일) 01:06 판

緊急地震速報(きんきゅうじしんそくほう).

지진이 발생했을 때 신속하게 알려셔 피해를 최소화 하기 위한 재해속보의 일종이다. 특히 지진이 워낙에 잦으며 수시로 큰 피해를 입는 일본, 그 중에서도 NHK에서는 거의 지구방위군 수준으로 발달했다. 그래서 이 내용도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일단 일본 얘기다.

지진의 감지는 진원지로부터 발생하는 두 가지의 지진파인 P파와 S파의 차이를 이용하게 된다. P 파는 초속 6 km, S파는 초속 4 km로 전파되므로 P파가 더 빠르지만 지진 피해를 일으키는 에너지를 뿜어내는 것은 S파다. 따라서 각지에 설치된 지진계에 이 P 파가 잡히면 기상청으로 전달되고, 기상청이 이를 분석해서 최대진도 5약 이상이 예상되면 각 기관으로 긴급지진속보가 나간다. 진도 4 이하일 때에도 일단 지진 사실은 통보가 된다. 그래서 방송사에서는 4 이하의 지진이어도 일단 자막으로 지진이 났다는 사실은 알려준다. 2 정도만 되어도 흔들림을 느낄 수 있으므로 정확한 정보를 알려줘서 불안감을 해소시킬 필요도 있다. 일본 기상청은 이를 위해서 전국 본토 전역은 물론 바다에까지 지진파 감지 장비를 광범위하게 설치해서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고 있다. 특히 동일본대지진의 사례에서처럼 지진보다 오히려 쓰나미 피해가 훨씬 큰 경우가 많으므로 태평양 먼 바다에서 발생하는 지진의 감지 역시도 일본에게는 굉장히 중요하다.

방송의 경우 NHK 기준으로는 긴급지진속보는 5약 이상이면 나가긴 하지만 5약이나 5강 정도라면 상황에 따라서 나가기도, 그렇지 않기도 하다. 다만 긴급지진속보가 아닌 일반 자막 속보로 나가더라도 5약 이상이면 1~20분 후에라도 따로 뉴스 속보를 방송해 준다. 긴급지진속보는 최대한 빠른 통보가 핵심이므로 지진파를 감지해서 일정 정도 이상의 강도를 보이는 지진파가 검출되면 나가는 것인데, 실제 진도를 측정하려면 S파가 오고 실제 땅이 흔들리는 정도를 측정해야 하므로 검출된 지진파와 실제 진도 사이에는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땅속 아주 깊은 곳이 진원지라면 매그니튜드는 강하지만 실제 진도는 그보다 약할 수도 있고, 진원지가 얕다면 그 반대일 수도 있다.

모든 재해는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빠른 속보 전달이 중요하지만 지진일 때에는 특히 중요하다. 예를 들어 폭우나 태풍 같은 것은 최소 몇 시간, 최대 며칠 전부터 예견할 수 있는 반면, 지진은 순식간에 일어나므로 예견할 수 있는 시간이 분초 단위를 다툰다. 예를 들어 진원지로부터 60 킬로미터 거리에 있는 지진계가 P 파를 감지했다면 S파는 단 2초 후에 같은 지점에 도착한다. 지진은 사전 예측이 거의 불가능하고 단시간에 막대한 피해를 일으키기 때문에 단 1초라도 빠른 속보가 생명이다. 속보가 1분만 늦어도 피해 지역은 이미 쑥대밭이 되었을 수도 있다.

지진을 최대한 빨리 감지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를 최대한 빨리 대중들에게 경고하는 것도 중요하므로, 가장 빠른 속보 시스템을 갖춘 (아마 세계에서 가장 빠를 듯) NHK지진을 감지하고 그 강도를 예측한 다음 속보가 전달되어 화면과 자동 음성이 나가기까지의 과정이 거의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일단 속보가 뜨고 나면 아나운서가 원고를 읽으면서 지진의 자세한 현황을 알려주는데, 이 원고도 컴퓨터가 자동 작성해서 출력한다. 그래서 생방송 중에 속보가 뜨면 곧바로 진행자가 원고를 받아서 읽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실제로 지진파가 감지되고 NHK에서 속보가 나가기까지는 1분도 안 걸린다.

속보 순서

여기를 클릭하면 2011년 동일본대지진 때의 NHK 긴급지진속보를 볼 수 있다. 국회 참의원 예산위원회 중계 도중에 속보가 나왔으며 38초 정도부터 시작된다. 당시 도쿄도 강한 지진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에 스튜디오가 흔들리고 스태프들이 급박하게 소리치는 것까지 생생하게 들린다. 그 와중에도 꿋꿋이 방송을 이어나가는 아나운서의 모습이 경이로울 따름.

아래는 일본 NHK TV 기준 긴급지진속보 순서다.

자동 속보

기상청으로부터 긴급지진속보가 전달되면 먼저 자동으로 알림음과 함께 긴급지진속보를 알리는 자막이 화면에 나간다. 지도에 진원지와 영향을 받는 곳이 표시되며, 문자로도 영향을 받는 지역이 현 단위로 표시된다. 이와 함께 자동 음성 안내로 "緊急地震速報です。強い揺れにで警戒してください。"라고 '긴급지진속보입니다. 강한 흔들림을 경계하십시오.'가 두 번 반복된다. 다시 알림음이 울리고 자동 음성 안내가 한 번 더 나간다.

Earthquake breaking news nhk initial.png

행동 요령

만약 생방송, 특히 보도 프로그램 중이었다면 곧바로 컴퓨터가 자동 작성한 원고가 진행자에게 전달되어 안내가 이루어지며, 녹화 프로그램 중, 특히 심야시간대라면 잠시 자막만 나간다. 재해 및 속보를 대비해서 당직 아나운서가 24시간 대기하고 있지만 항상 스튜디오에 앉아서 방송 태세를 하고 있을 수는 없기 때문. 그래도 보통 1분 안에 아나운서가 등장해서 속보를 전달한다. 각 지역별 진도 정보가 나오기 전까지는 다음 내용을 되풀이한다.

틀:Quote Box

지역별 최대 진도

최대 진도가 판명되면 다시 각 지역별 최대 진도가 지도로 표시되면서 아나운서의 음성 안내와 자막으로도 함께 나간다. 이 때쯤이면 쓰나미 가능성도 판단할 수 있는데, 가능성이 없다면 쓰나미 우려는 없다는 안내가 나간다. 만약 쓰나미 가능성이 있으면 주의하라는 안내가 나간다.

Earthquake breaking news nhk map.png

쓰나미 경보

만약 쓰나미가 올 것으로 판명되면 알림음과 함께 쓰나미경보가 나간다. 경보의 등급은 대쓰나미경보, 쓰나미경보, 쓰나미주의보로 나뉘며 해당 지역이 표시된다. 이 단계까지 오면 정말로 상황이 급박해지고[1] 아나운서도 목소리 톤이 확 올라가는 것을 들을 수 있다.

Earthquake breaking news nhk tsunami map.png

각 지역별로 쓰나미의 예상 도달 시각과 높이를 보여준다.

Earthquake breaking news nhk tsunami warning.png

동일본대지진 당시 쓰나미로 엄청난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당한 일본은 그 이후에 쓰나미경보가 나왔을 때 경고를 대폭 강화시켰다. 위의 화면을 보면 "すぐ にげて!"(당장 도망가!)라는 무시무시한 경고가 화면에 아주 잘 보이도록 크게 박혀 있다. 존댓말도 아니고 아예 반말로 해버린다. 사실 비상시에는 반말로 명령하듯 지시하는 게 더 효과가 좋다고 한다.[2] 또한 아나운서도 다음과 같이 강력한 경고를 한다.

틀:Quote Box

일부에서는 필요 이상으로 공포심을 자극한다는 비판도 있긴 하지만 그래도 아나운서의 말처럼 동일본대지진 때를 생각한다면...

오보

모든 종류의 기상예보가 그렇지만 지진 예보도 오보가 있을 수 있다. P파를 분석했을 때에는 최대 진도가 5 이상이었는데, 실제 S파가 도착하고 충격이 전달되었을 때에는 진도가 5 이하로 확인되는 경우가 있다. "뭐야? 긴급지진속보라고 하더니 왜 최대 진도가 4야?" 할 수도 있는데, 예상치와 확인치 사이에 오차가 있을 수 있다.

2013년 8월 8일 오후 4시 56분에는 대형 지진 오보도 있었다. 당시 긴급지진속보는 규모 M 7.3, 최대 진도 7을 예측했다. 34도부현에 이르는 광범위한 지역이 그 대상이었는데 결론은? 아무 것도 없었다. 알고 보니 지진계의 고장이 원인이었다.

2008년에 미에현 남동쪽 해저에 설치했던 지진계가 오보 당시 알 수 없는 이유로 1.2초 정도 데이터 전송이 끊겼다가 재개되었는데, 이때 노이즈가 끼는 바람에 해저가 1센티미터 정도 움직인 것으로 착각했다. 게다가 그 무렵에 해당 지진계로부터 약 200 km 떨어진 와카야마현에서 M 2.3의 약한 지진이 일어났다. 결국 이 상황들이 결합되어서 M7 규모의 대지진이 일어날 것으로 잘못 예측한 것. 그 바람에 해당 지역의 신칸센 및 열차가 긴급 정차하고 시민들이 잠시나마 큰 불편을 겪는 대소동이 났다.[3]

2018년 1월 5일에는 일본 수도권 일대에 긴급지진속보가 발령되었는데 막상 측정된 진도는 진도 1~3에 불과했다. 원인은 오전 11시2분에 3초 간격으로 동해 인접지역인 이시카와현과 여기서 350㎞ 떨어진 수도권 이바라키현에서 각각 규모 4.4와 3.9의 지진이 발생했는데 이걸 시스템이 1개의 지진으로 잘못 인식하는 바람에 벌어진 일이다. 즉 두 개의 지진은 진앙지가 서로 다른 개별 지진인데 겨우 3초 간격으로 발생했기 때문에 시스템은 이를 이바라키현을 진앙지로 한 지진이 이시카와현까지 전파된 것으로 판단했다. 수백 킬로미터 떨어진 이시카와현에서 규모 3.9가 관측되었으니까 이바라키현 바로 옆 수도권은 강진이 올 것으로 예측하고 긴급지진속보가 나간 것이다. 아베 총리까지도 공식 석상에서 긴급지진속보를 휴대폰 메시지로 받아보고 놀라는 장면이 카메라에 잡혔는데 제대로 오보였던 것이다. 그런데, 그 다음날인 1월 6일에는 수도권에서 진도 4의 지진이 일어났다. 긴급지진속보가 발령될 정도는 아니고 일본에서는 진도 4 정도의 지진은 큰일도 아니긴 하지만 전날의 오보 소동으로 놀란 가슴을 다시 한번 흔들어댄지라... 안 그래도 근시일 안에 수도권 직하지진이 올 가능성이 높다는 학계와 정부의 예측 때문에 불안감을 가지고 있던 사람들은 더더욱 불안감이 커졌다.

알람벨 소리

NHK에서 사용하는 알람벨 소리(차임음チャイム)은 그냥 평범한 벨소리 아닌가 싶을 수도 있지만 NHK에서 특별하게 제작한 것이다. NHK의 설명에 따르면 첫째로 일상생활에서 들을 수 있는 여러 가지 알람음과는 명확하게 구분되며, 청력이 약한 노약자나 청각장애(완전히 안 들리는 경우가 아닌, 청력이 약해진 장애)를 가진 사람도 쉽게 들을 수 있다고 한다.[4] 다른 방송국은 저마다 다른 경보음을 만들어 쓴다. 휴대폰은 제조사에 관계 없이 같은 경보음을 사용한다.

절대로 공공장소에서 임의로 재생하지 말자. 특히 일본에서는 더더욱 하지 말자. 일본 사람들은 정말 이 알람벨 소리만 들으면 충격과 공포에 사로 잡힌다.

그밖에

사람들이 '언제 지진 오나' 하고 항상 TV만 볼 수는 없는 노릇이다. 따라서 휴대폰과 마을 스피커 방송을 비롯한 다양한 재해 속보 루트를 갖추어 놓고 기상청으로부터 긴급지진속보가 날아오면 곧바로 피해 예상 지역 주민들의 통신망으로 속보를 뿌린다.

한국은?

물론 한국도 긴급재난경보 체제가 갖추어져 있다. 기상경보가 발령되면 방송은 물론 해당지역에 있는 사람들의 휴대폰으로 긴급재난경보 문자 메시지가 간다. 2016년 7월 5일에 울산 지역에 진도 5.0 규모의 지진이 일어났는데, 이때에도 역시 긴급재난경보 문자가 발송되었다.

문제는 속보 능력이 심하게 떨어진다는 것. 일본의 경우 지진이 발생하면 수 초에서 길어야 1, 20초 안에 각종 경로를 통해서 긴급지진속보가 나가는데 반해, 한국은 긴급재난경보 문자가 수 분에서 길게는 거의 20분 가까이 되어서야 나갈 정도로 속보성이 떨어진다. 지진이라는 게 예고 없이 순식간에 벌어지고 그 피해도 수 분 안에 일어난다는 점을 생각한다면 사실상 제구실을 못하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물론 일본 전역에 걸쳐서 수시로 크고 작은 지진이 일어나고, 세계 최고 수준의 지진경보 시스템에도 불구하고 큰 지진과 쓰나미로 사상자가 발생하는 일본이야 정말로 미친 듯이 투자하고 시스템을 발전시키고 있지만, 한국은 M 4.0 이상 규모의 지진도 1년에 한 번 날까 말까 한 정도이 때문에 일본만큼 투자하기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그러니 무조건 일본과 비교해서 까는 건 무리인 측면이 있다

문제는 우리나라의 지층, 특히 양산단층대가 최근 들어 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2011년 토호쿠 대지진과 2016년 쿠마모토 지진을 거치면서 양산단층대가 자극을 받아 활성화된 것으로 보이고, 그에 따라 2016년에만 M5.0 이상 규모 지진이 세 번이나 일어났다. 학자들은 앞으로 최대 M6.5 규모 지진이 일어날 가능성이 상당히 있는 것으로 점치고 있는데, 그럴 경우 오래된 건물들은 내진 대비가 제대로 안 된 곳이 많은 데다가 지진경보 시스템도 지금과 같은 수준이라면 같은 규모의 지진이라고 해도 일본과는 비교가 안 될 정도의 재앙이 될 수도 있다. 그에 따라 2017년부터는 긴급지진속보의 속도 개선에 착수해서 행정자치부 소관이었던 것을 기상청으로 이관시켰다. 그 결과 2017년 포항지진 때에는 지진 발생 후 1분도 안 되어 속보 메시지가 뜰 정도로 속도가 빠르게 개선되어 호평을 받았으나... 2018년 2월에 터진 여진 때에는 지진 발생 후 7분이 되어서야 긴급지진속보가 나가는 바람에 여론의 질타를 받았다. 기상청 말로는 아직 시스템 자체는 행정자치부에 있는데 방화벽 때문에 메시지 발송이 막혔다나... 불 막으려다가[5] 지진 피해 터지게 생긴 꼴. 이러한 해명이 맞다면 해결 방법도 별로 어렵지 않고, 향후 예정대로 기상청으로 시스템이 완전 이관될 예정이기 때문이 이런 문제는 반복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각주

  1. 지진으로 대량 인명피해가 나는 경우를 보면 지진보다 쓰나미 피해가 훨씬 더 큰 경우가 많다. 특히 일본은 내진설계가 굉장히 잘 되어 있어서 옛날 건물이나 집 말고는 극단적인 직하형 지진이 아니라면 의외로 피해가 적지만 쓰나미는 그야말로 해안 지역을 초토화시켜버린다.
  2. 예를 들어 우리나라 비행기가 비상착륙을 했을 때, 승무원들이 반말로 대피 지시를 한 것을 두고 일각에서 논란이 있었는데 매뉴얼에 그렇게 되어 있다. 비상사태 때 승무원은 더 이상 미소가 아름다운 당신의 서비스 직원이 아니다. 승객들의 안전을 책임지고 최대한 빨리, 규정에 따라 대피하게 하는 안전 요원이다. 따라서 "머리 숙여!" "짐 버려!" 와 같이 단호한 반말로 승객들에게 '명령'을 해야 한다.
  3. "(월드리포트) 일본 지진 대형 오보…원인은?", SBS, 2013월 8월 9일.
  4. "チャイム音の利用について", NHK.
  5. 여기서 방화벽이란 물론 화재 얘기가 아니라 불법적인 데이터 전송을 막아주는 시스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