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대
음료를 마시기 위해서 쓰는 신 튜브 모양의 도구. '대롱'이라는 말도 있지만 잘 안 쓰인다. 대롱은 안이 뚫린 긴 막대를 뜻하는 좀 더 넓은 의미를 가진 말이라면 빨대는 '빠는 대'라는 의미이므로 빨아먹을 때 쓰는 도구라는 좀 더 확실한 의미가 있다. 빨대로 음료를 빨아들일 때 빨대와 이어진 몸 안의 공기밀도가 낮아지면서 음료를 누르는 공기의 압력을 통해 음료가 밀려 올라온다. 근본적으로는 주사기로 액체를 빨아올리는 것과 비슷하다.
영어로는 straw라고 하고 우리도 종종 '스트로'로 부른다. straw는 원래 밀짚을 뜻하는 단어로[1], 말처럼 플라스틱 빨대가 쓰이기 전에는 밀이나 호밀을 비롯한 속이 빈 식물 줄기를 많이 사용했다. 아래에 나올 플라스틱 빨대 환경오염 문제가 불거지면서 식물 빨대를 쓰려는 움직임이 다시 일고 있다.
빨대를 사용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다.
- 음료가 입, 특히 입술에 닿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입술에 립스틱을 발랐을 때에는 컵에 직접 입을 대고 마시면 컵에 립스틱 자국이 남기도 하고 음료에 조금씩이나마 립스틱이 녹아 나온다. 빨대를 사용하면 입술에 음료가 거의 안 닿고도 음료를 마실 수 있다. 컵에 립스틱 같은 기름기가 안 묻으므로 씻기도 편하다.
- 음료를 마시는 양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갑자기 많이 마시거나 하는 일을 막을 수 있다. 컵을 들지 않고 바닥에 놓은 상태에서 음료를 마실 수 있다. 어린이나 노약자, 장애인들에게는 필요한 기능 중 하나.
빨대도 크기, 지름, 길이에 따라서 많이 세분화되어 있다. 아메리카노를 비롯한 커피 음료 컵에 꽂아주는 빨대인지 아닌지 모호한 납작한 sip stick[2]에서부터 큼직한 알갱이가 들어 있는 버블티 컵에 꽂아주는 굵은 빨대, 그리고 가운데에 주름이 있어서 꺾어서 쓸 수 있는 빨대까지, 음료의 특성이나 컵의 길이에 맞춘 다양한 빨대들이 있다.
최근 들어서는 플라스틱 빨대 퇴출 움직임이 전 세계에서 벌어지고 있다. 많은 플라스틱을 소모하지만 재활용도 거의 안 되기 때문이다.[3] 맥도날드를 비롯한 패스트푸드점, 스타벅스를 비롯한 커피전문점과 같이 빨대를 많이 사용하는 체인점들도 동참하고 있거나 동참할 예정이다. 빨대의 대안으로는 다양한 것들이 등장하고 있다. 종이빨대나 전분빨대, 대나무빨대처럼 쉽게 분해되는 재질을 사용하거나, 반영구적으로 쓸 수 있는 금속빨대, 또는 아예 컵이나 뚜껑 구조 자체를 빨대 없이도 입에 닿는 부분을 최소화해서 마실 수 있도록 하는 방법도 나오고 있다. 다만 대부분 방법은 플라스틱 빨대보다는 아무래도 비쌀 수밖에 없다.
어딘가에 꽂아서 빨아먹는 도구이다 보니 뭔가를 착취한다는 의미로 종종 쓰인다. 예를 들어 대가를 제대로 안 주면서 남의 노력을 착취하는 것을 두고 속어로 '빨대 꽂는다'고 표현하며, 속어가 아닌 사회학 용어로 빨대현상이라는 용어도 있다. 내부 정보를 밖으로 빼돌리거나 유출시키는 사람을 가리켜 '빨대'라고 부르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