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회
회의 일종으로 영덕을 비롯해서 경상도의 동해안 쪽에서 주로 발전했다. 영덕이 가장 잘 알려져 있다 보니 영덕 이외 지역의 막회 식당 중에 이름에 '영덕' 혹은 영덕의 어항인 강구항의 이름이 들어가는 곳이 많다.
특징
세꼬시와 비슷하게 직각으로 썰어낸다는 공통점이 있으나, 잔가시는 그냥 남기고 썰어내는 세꼬시와는 달리 뼈를 다 발라내고 썰어내는 게 가장 큰 차이다. 다만 생선에 따라서는 완전히 발라내는 게 불가능해서 약간의 잔가시는 남아 있을 수 있다. 세꼬시는 도다리, 장어, 전어와 같이 어종이 어느 정도 정해져 있는데 반해 막회는 광어, 우럭처럼 보통 회로 많이 먹는 생선과 각종 잡어로도 만들 수 있다. 원조격인 영덕군은 물가자미[1]를 많이 쓰는데, 해마다 물가자미·막회축제를 개최한다.[2] 아예 손님이 생선을 마음대로 고르는 게 아니라 그날 그날 들어오는 잡어들을 막회로 썰어내 주는 가게들이 많아서 여러 생선이 섞여 있기도 하는데, 이런 가게들은 생선 이름을 메뉴에 표시하지 않는 막회 가게들도 많이 있다 보니, '아무 생선이나 막 준다'고 해서 막회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많다.
세꼬시처럼 그냥 회처럼 먹기도 하지만, 초고추장 양념을 뿌려서 먹기도 한다. 특히 막회와 함께 채썬 양배추, 깻잎 같은 채소와 초고추장을 내는 곳이 많으며, 단순히 회를 치는 방식만이 아니라 이렇게 채소와 초고추장을 함께 곁들여 먹는 것이 막회의 전형적인 이미지다. 실제 아래에 나오는 막회의 유래를 보아도 영덕 뱃사람들이 그렇게 먹었던 듯하다. 막회와 물회를 같이 하는 식당도 많다 보니 국물이 있는 건 물회, 국물이 없는 건 막회로 생각하기도 한다. 영덕이나 포항에서도 이런 의미로 쓰이는 걸 볼 수 있다.[3]
유래
영덕 물가자미·막회축제 관계자에 따르면 막회의 유래는 이렇다.[4]
알다시피 모두가 배고픈 시대가 있었습니다. 그 시절엔 영덕 어부들이 고기잡이를 나가면 제대로 차려서 밥을 먹을 시간이 없었습니다. 하지만, 어떻게든 허기를 달래야 또 일할 수가 있지 않았겠습니까. 그래서 궁여지책으로 생각해낸 것이 자신들이 잡은 물가자미, 청어, 전어 등을 뼈도 발라내지 않고 썰어서 배에 있는 채소 한두 가지를 넣어 고추장에 비벼 후다닥 먹는 것이었지요. 그게 오늘날의 영덕 막회가 된 것입니다.
이런 유래 때문에 '막'을 '막 잡은'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막 잡은 고기를 배 위에서 바로 회쳐서 먹었다는 뜻.
각주
- ↑ 영덕 일대에서는 '미주구리'라고 부른다. 물가자미는 일본어로 무시가레이(むしがれい, 虫鰈) 또는 미즈가레이(みずがれい, 水鰈)라고 부르는데 미즈가레이가 변해서 미주구리가 되었다는 설이 있다. 미즈(水, 물)+가레이(鰈, 가자미) = 물가자미로 딱 떨어지긴 한다.
- ↑ "제11회 영덕물가자미&막회 축제를 다녀온 후", 영덕군 공식 블로그, 2018년 5월 10일.
- ↑ "그린투어코스: 9미로 음미하는 영덕의 먹을거리", 영덕관광포털.
- ↑ "제철 생선 썰어 초고추장 듬뿍, 영덕 막회 맛보세요", <오마이뉴스>, 2017년 10월 1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