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깨소금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깨소금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말 그대로 깨 + [[소금]]이다... 라고 생각하면 편한데 의외로 논쟁이 있다. 그 논쟁의 쟁점은 소금이 들어가냐 아니냐다. 아니 깨소금인데 [[소금]]이 안 들어가? 할 수 있지만 정말로 [[소금]]은 옵션이다. 깨소금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깨]]를 찧어서 [[소금]]처럼 만들었다는 것. 즉 [[참깨]]를 찧어서 볶거나 반대로 볶아서 찧으면 일단 깨소금의 요건은 충족되는 거고 [[소금]]을 넣을지는 옵션이다. 그런데 [[소금]]과 깨를 미리 섞어버리면 간을 할 때 불편하다. 음식마다 들어가야 하는 깨의 양과 [[소금]]의 양은 차이가 있을 것이기 때문. 따라서 [[소금]] 안 넣고 [[참깨]]만 빻아서 깨소금을 만드는 게 정답. [[참깨]]가 고소함의 끝판왕이긴 하지만 고소함의 핵심인 기름은 껍질 안에 갇혀 있다. 이놈을 빻으면 고소함이 대폭발을 일으킨다. 즉 깨소금은 [[참깨]]의 고소함을 극대화 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미리 왕창 만들어 놓는 것은 사실 좋지 않은데 껍질은 한편으로는 기름이 공기와 직접 닿는 걸 막아주고 있기 때문이다. 기름이 공기에 노출되면 [[산패]]가 일어난다. 즉 깨소금을 만들어 놓으면 쓸 때마다 찧는 것보다는 편하지만 기름의 질은 나빠진다. 건강을 생각하면 귀찮아도 통깨로 볶아두고 그때 그때 찧는 게 낫다. [[남의 불행은 나의 행복|남이 잘못되는 걸 보면서 고소함을 느낄 때]] '깨소금 맛이다'란 표현을 쓴다. 얼굴에 주근깨가 퍼져 있는 모습을 뜻하는표현으로도 쓰인다. 피너츠의 [[페퍼민트]] 패티를 한국에서 깨소금 패티라고 번역하기도 했다. <del>[[페퍼민트]]와 깨소금은 너무 먼데... </del>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원본 보기
)
깨소금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