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시드니공항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시드니공항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킹스포드-스미스공항(Kingsford-smith Airport)이라고도 한다. IATA 식별 기호는 SYD. [[시드니]] 항공교통의 중심이자 [[호주]] 항공교통의 중심이자 [[오세아니아]] 항공교통의 중심이라 할 수 있다. <del>[[오클랜드공항]]이 들으면 빡칠 일이려나.</del> 땅덩어리가 작아서 [[인천국제공항]]에 국제선이 거의 집중되어 있다시피 한 [[한국]]과는 달리, 인구가 한국의 반밖에 안 되지만 땅덩어리는 10배 이상 큰 [[호주]]는 [[멜버른]], [[브리스번]], [[퍼스]]를 비롯하여 [[애들레이드]], [[케언스]]에도 어느 정도 국제선 항공편이 분산되어 있다. 그래도 시드니공항에 가장 많은 국제선 운항편이 있는 것만은 사실. [[활주로]]가 [[바다]]를 매립해서 육지로부터 길게 나와 있는 모습이다. 착륙할 때 거의 다 내려왔는데도 땅은 안 보이고 바다만 보여서 이러다가 바다에 착륙하는 건가 싶을 정도인데 착륙 직전에야 땅이 보인다. <del>나름대로 스릴 만점.</del> 여객터미널은 크게 세 개로 1 터미널은 국제선이, 2 터미널은 [[버진 오스트레일리아]]와 [[제트스타]] 국내선이, 3 터미널은 [[콴타스]] 국내선이 사용한다. 한때는 세계에서 제일 긴 직항편을 운영했다. [[콴타스항공]]이 운항하는 [[시드니]]-[[댈러스]] 구간으로 16시간 50분이나 된다. 거리로는 13,804 km (8,578 마일). 한국에서는 직항으로 가장 긴 곳이 [[인천공항|인천]]-[[뉴욕]]인데 11,114 km(6,906 마일)이니까 그보다도 2,700 km 가까이를 더 가야 한다. 하지만 2016년 3월부터 [[에미레이트항공]]이 [[두바이]]-[[오클랜드]] 직항을 운영하면서 (14,200 km / 8,824 마일) 1위 자리를 내주게 되었다. UAE의 맞수인 [[에미레이트항공]]과 [[에티하드항공]]이 초장거리 노선을 더 개설할 예정이고 [[싱가포르항공]]이 [[싱가포르]]-[[뉴욕]] 직항을 다시 운항할 계획이라서 순위는 더 밀리겠지만 직항으로 16시간 50분을 [[이코노미 클래스]]로 간다면... {{관용구:이하생략}} ==공항 내 시설== [[호주]]를 대표하는 공항답게 상당한 규모의 [[면세점]]이 꽤 있긴 한데, 가격으로 보내 구색으로 보나 확실히 [[인천국제공항]]보다는 떨어진다. Made in Australia 상품이나 특산물을 파는 상점들이 있어서 기념품을 사기 위해서는 들러볼 만한데, 그조차도 차라리 시내에서 사는 게 싸다. [[인천국제공항]]은 통로가 널찍하고 매장이 좌우로 딱 붙어 있어서 통행에 불편을 느끼지 않지만 시드니공항은 게이트로 가는 통로에 [[면세점]] 매대가 좌우로 펼쳐져 있다. 통로가 [[면세점]]을 따라 좌우로 이리저리 꼬여 있고 해서 게이트 찾기가 만만치 않다. <del>뭐 하나 사면 길 가르쳐 줄게.</del> 이정표 잘 보고 따라가지 않으면 의외로 헤메기 쉽다. [[면세점]] 미로를 헤치고 나가면 그나마 게이트 찾기는 쉬운 편. ==접근성== [[시드니]] 시내에서 그리 멀지 않으므로 접근성은 좋은 편이다. [[시드니 센트럴역|센트럴역]] 기준으로 열차로 역 세 개 거리밖에 안 된다. 규모가 있는 공항으로 이만큼 도심 접근성이 좋은 곳은 굉장히 드물어서 [[일본]]의 [[후쿠오카공항]] 정도인데<ref>공항에서 지하철로 세 정거장만에 [[하카타]]역까지 갈 수 있다.</ref>, 물론 [[호주]]의 관문인 시드니공항이 훨씬 크고 국제 노선망도 비교가 안 된다.<del>그런데 차비는 역 30개 분은 된다. [[후쿠오카공항]]은 그냥 딱 지하철 요금인데.</del> [[도시철도]]로 가려면 [[에어포트링크]](AirportLink)로 가면 된다. 따로 존재하는 [[공항철도]]선이 아니라 그냥 중간에 공항을 경유하는 노선이다. 문제는 공항에서 내리고 탈 때만 짧은 구간도 더럽게 비싸다. [[인천공항]]까지 가는 리무진 버스와 맞먹는 요금을 내고 달랑 서너 정거장 지하철 타고 가는 꼴이다. 심지어 국내선과 국제선을 오가는 딱 한 정거장 구간도 무려 6 호주 달러를 받아처먹는다.<ref>비싸기로 악명 높은 [[영국]]의 [[히드로익스프레스]]도 터미널간 이동만큼은 공짜다.</ref> 하지만 시내 방향에서 올 때 공항 바로 앞 역인 마스콧역에서 출발해서 공항역 두 개를 지나 올리크릭역에서 내리면 그냥 일반 [[지하철]] 요금이다. 즉, 공항역 이용 할증료가 있는 것이다. 그 이유는 이 두 개 역만 시드니공항주식회사가 소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del>공항 민영화의 정말 나쁜 예.</del> [[인천국제공항]] 민영화 얘기가 나올 때마다 민영화의 나쁜 예로 종종 거론 되는 곳이 바로 시드니공항으로, 민영화 이후에 각종 사용료는 폭등한 반면 각종 수속은 더욱 오래 걸리는 결과를 낳았다. 자세한 내용은 [[에어포트링크]] 항목 참조. [[콴타스]]와 [[버진 오스트레일리아]] 항공편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좀 사정이 나은데, 국내선과 국제선 터미널 사이에 각자 무료 셔틀버스를 운행한다. 자세한 내용은 각각 [[콴타스#환승|콴타스]] 및 [[버진오스트레일리아#환승|버진오스트레일리아]] 항목 참조. [[타이거에어]]나 다른 [[저가항공사]]라면 그냥 닥치고 지하철역 가서 바가지 써야 한다. == 한국에서== 우리나라에서 [[호주]]로 항공편이 매일 들어가는 곳은 [[시드니]]밖에 없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 하루 1편씩 운항하는데, [[아시아나항공]]은 비수기에는 주 5편 정도로 조절하는 반면 성수기에는 매일 운항은 물론 평소의 [[777]]이나 [[A330]] 대신 [[A380]]이나 [[747]]를 넣기도 한다. 둘 다 시간대가 비슷해서 이른 아침에 시드니공항에 도착해서 아침에 출발한다. [[대한항공]]이 조금 빨리 도착하고 출발한다. 그나마 [[시드니]]에서 출발할 때야 낫지만 [[멜버른]]이나 [[애들레이드]] 같이 한국 직항이 없는 [[호주]]의 다른 도시에서 출발해서 이 항공편 타려면 거의 아침에 죽어난다. 차라리 밤새는 게 나을지도. <del>[[퍼스]] 출발이라면 그냥 닥치고 [[시드니]] 1박이다. [[호텔]]에 돈 쓰느니 차라리 [[캐세이퍼시픽]]이나 [[싱가포르항공]] 타고 말지.</del> 과거에는 [[콴타스]]가 [[시드니]]-[[김포공항|김포]] 직항을 운항한 적이 있었지만 접은지 오래 됐고 [[아시아나항공]]의 [[인천공항|인천]]-[[시드니]] 편에 [[코드쉐어]]만 걸어 놓았다. {{각주}} [[Category:공항]]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원본 보기
)
틀:관용구:이하생략
(
원본 보기
)
시드니공항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