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나물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나물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채소]]를 데치거나 볶아서 만드는 한국의 전통 음식. 볶는 나물은 볶을 때 양념을 하는 것이 보통이고, 데치는 나물은 차게 식힌 뒤 물기를 짜내고 [[참기름]] 또는 [[들기름]], 그리고 양념을 더해서 버무려 만든다. 주로 밥반찬으로 먹으며 [[비빔밥]]에도 들어간다. 익히지 않고 날것 그대로 버무려서 만드는 것은 보통 나물이라고 하지 않고 [[무침]]이라고 한다. <del>예를 들어 [[골뱅이]] 파무침.</del> 데치는 경우에도 된장으로 간을 하는 것은 무침이라고 부른다. 예를 들어 [[봄동]][[된장]]무침. [[콩나물]] 같은 경우에는 [[고춧가루]]를 넣기도 하지만 보통은 매운 양념을 하지 않는다. 거의 [[소금]]으로만 간을 한다. [[간장]]도 쓰는 경우가 드물다. [[채소]]라면 거의 다 나물로 만들 수 있다. [[잎채소]]나 [[줄기채소]]는 데쳐서 무치는 방법으로, [[뿌리채소]] 또는 [[열매채소]]는 볶는 방법으로 만드는 것이 보통이다. 물론 볶아서 만드는 [[고사리나물]]처럼 예외도 있다. [[애호박]], [[고사리]], [[시래기]]와 같은 것들을 말려서 나물을 만들기도 하는데 [[묵은 나물]]이라고 부르며 [[정월대보름]]에 [[오곡밥]]과 함께 먹는 것이 풍습이다. 큰 양푼에 오곡밥과 묵은 나물을 넣고 [[고추장]] 넣고 비비면 최고! 데치면 영양소 파괴가 별로 없이 식감을 부드럽게 하고 부피를 크게 줄일 수 있다. [[샐러드]]보다도 채소를 많이 먹을 수 있는 방법으로는 데친 나물 만한 게 없다. 소금도 많이 들어갈 필요가 없으니 가장 건강한 [[한식]] 중에 하나라 할 수 있다. 단, 버무릴 때 [[참기름]]이 들어가므로 칼로리에는 주의할 필요가 있다. 고소하다고 너무 들이붓지 말자. [[칼로리]]도 그렇지만 텁텁해서 정말 더럽게 맛없어진다. 또한 간을 하는 과정에서 [[소금]]이나 [[간장]]이 들어가므로 많이 먹으면 역시 염분 과다 섭취 문제가 있다. 듬뿍 먹을 거라면 좀 심심하더라도 간은 싱겁게 하자. 또한 여러 채소가 들어가는 [[샐러드]]와는 달리 나물은 보통 한 가지 채소로 만들기 때문에 여러 가지 나물을 만들어서 골고루 먹는 게 건강에는 좋다. 아예 풀 이름에 나물이 들어가는 것도 있다. [[취나물]], [[돌나물]] 같은 것들이 그 예.<ref>그런데 곰취는 그냥 곰취라고 하지만 곰취나물이라고는 잘 안 한다.</ref> 꼭 나물로 해먹지 않더라도 녹색 이파리를 따서 먹는 것들 중에 나물로 부르는 것들이 종종 있다. 그럼 [[배추]]나 [[상추]]는 왜 나물로 안 부르느냐는 반론이 있을 텐데, 이 녀석들은 아예 통째로 먹는데 반해 취나물 같은 것들은 줄기와 이파리의 구분이 분명하며, 잎만 따서 먹거나 어린 순을 먹거나 하는 차이는 존재한다. [[명이나물]]은 '나물'이라는 이름이 붙었는데도 주로 [[장아찌]]로 만들어서 먹는다. 어차피 이런 이름들은 관습에 따라 내려오는 거라서 과학적으로 딱딱 구분되는 건 아니다. ==만드는 방법== 손맛 때문에 어려워 보이지만 의외로 만들기 쉽다. 자취생도 만들 수 있다. 만날 [[라면]] 같은 것만 먹지 말고 가끔 나물도 해 먹고 그러자. ===데치거나 삶아서 만들기=== 데쳐서 만드는 방법은 주로 [[잎채소]]와 [[줄기채소]]에 쓰이는 방법이다. 나물로 많이 쓰이는 [[채소]]들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시금치]] * [[미나리]] * [[취나물]] [[콩나물]]이나 [[숙주나물]]은 [[뿌리채소]]지만 볶지 않고 삶아서 만든다. 오래 푹 삶지는 말고, 데치는 것보다 좀 길게 3~4분 정도면 된다. # 물을 끓이는 동안 [[채소]]를 깨끗이 씻는다. 너무 크다 싶으면 좀 잘라 주는 것도 방법. # 물이 끓으면 [[채소]]를 넣고 데친다. 주걱 같은 것으로 잘 뒤적여 주면서 [[채소]]가 뜨거운 물에서 숨이 죽도록 만들어 준다. # [[채소]]가 좀 흐느적대고 부피가 줄어들었다 싶으면 불을 끄고 물을 버린다. 데치는 시간은 보통 30초 정도면 된다. # 차가운 물에 씻어준다. 빨리 씻어주면 더 아삭해지고 영양소 파괴도 적다. # 물기를 짜준다. 너무 꽉꽉 짜주지는 말고, 손에 쥐고 한두번 꾹 눌러주는 느낌이면 된다. # 양푼에 담고 [[소금]], [[참기름]], 다진 [[마늘]]을 넣는다. [[콩나물]]에는 파가 들어간다. [[참깨]]를 넣어도 된다. [[시금치]]는 반드시 [[참깨]]를 넣을 것. # 조몰조물 잘 버무려 준다. [[채소]] 구석구석에 [[양념]]이 잘 배어들도록 버무려 준다. # 끝. 먹으면 된다. 참 쉽죠? 간 맞추는 것만 신경 쓰면 된다. 처음에는 싱겁다 싶을 정도로 적게 넣고, 그 결과를 보아가면서 다음 번에는 양을 조금 늘리는 식으로 자기에게 맞는 간을 찾아보자. [[참기름]]은 조금만 넣자. 많이 넣으면 [[칼로리]]만 올라가고 텁텁해진다. [[콩나물]]이나 [[숙주나물]]을 빼고는 [[파]]는 넣지 않는 게 오히려 좋다. [[깨]]와 [[마늘]]이면 충분하다. ===볶아서 만들기=== [[뿌리채소]]나 [[열매채소]], 묵은 나물은 주로 볶아서 만든다. 다음과 같은 [[채소]]를 많이 쓴다. * [[가지]] * [[고사리]] * [[도라지]] * [[애호박]] # 말려서 만든 묵은 나물이라면 먼저 물에 불려야 한다. # 먹기 좋은 크기로 썬다. [[애호박]]은 세로로 썰어서 동글동글한 모양으로, [[가지]]는 고기집에서 나오는 생[[오이]]나 [[당근]] 스틱 같은 정도 크기로 썰어준다. # [[프라이팬]]에 식용유를 넉넉히 두르고 달군다. # 달구어졌으면 [[채소]]를 투하하고 [[소금]]과 다진 [[마늘]]을 넣는다. # 중불에서 볶는다. 타지 않게 3~4분 정도 주걱으로 잘 뒤적여가면서 볶아준다. # 불을 끄고 [[참깨]]를 뿌린다. 참 쉽죠? [[열매채소]]라면 [[양파]]를 채썰어서 함께 볶아주면 좋지만 [[도라지]] 같은 [[뿌리채소]], [[고사리]] 같은 일부 줄기 채소와는 잘 안 맞는다. {{각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원본 보기
)
나물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