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보호예수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보호예수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일정 요건에 해당하는 대량의 주식발행, 또는 주식거래에 대해 해당 주식을 일정기간 동안 거래를 금지하고 한국예탁결제원 또는 증권사에 예탁하는 것. 예를 들어, 어떤 기업이 기관투자자에게 주식을 대량으로 매각하는, 즉 [[블록딜]]을 하기로 했다고 치자. 보통 블록딜을 할 때에는 기업이 실제 주가에 비해 어느 정도 할인을 해 준다. 예를 들어 어떤 [[사모펀드]]가 주가가 1만 원인 기업과 [[블록딜]]을 체결하면서 그날 종가 대비 20% 할인해서 주식을 받았다고 가정하면 주당 8천 원에 매입한 것이다. 그런데 한 달 후에 주가가 20% 올라서 12,000원이 되자 이 펀드가 수익을 내겠다고 매수한 주식을 팔아치우면? 만약 12,000원에 전량 매도할 수 있었다면 한 달만에 50% 수익을 낼 수 있다. 설령 30% 하락한 하한가에 팔아도 8,400원에 팔 수 있으니 손해는 아니다. 하지만 시장에 대량의 매도 물랑이 나오면 주가는 폭락할 위험이 크다. 주가가 오를 때 산 투자자, 특히 개인 투자자는 큰 피해를 볼 수 있다. 막강한 자금력을 등에 업은 기관투자자는 우월한 지위를 이용해 유리한 장외 대량거래를 하고 단기간에 큰 이익을 볼 수 있는 반면 소액 투자자는 피해를 보기 쉽다. 이러한 폐해를 줄이기 위해 일정기간 동안은 주식을 매각하지 못하도록 막는 것이 보호예수다. 기업이 상장을 할 때에도 대주주가 상장하자마자 주식을 팔아치우면 주가가 폭락하고 투자자들이 큰 피해를 졸 수 있다. 만약 이에 대한 규제가 없다면 상장 때 공모로 들어오려는 투자자가 있을까? 기업 입장에서도 [[IPO]] 흥행을 위해서는 기존 대주주가 상장 후 일정 기간 동안에는 주식을 팔지 않겠다는 보증이 필요히다. 즉 어떤 경우에는 굳이 규제가 아니더라도 기업이 스스로 보호예수를 필요로 한다. 보호예수 기간이 곧 끝나는 물량이 있다면 이 물랑이 시장에 나올 경우 주가에 강한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물랑을 [[오버행]]이라고 한다. [[Category:주식]]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원본 보기
)
보호예수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