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무침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무침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식재료에 갖은 양념을 하고 잘 뒤섞어서 양념이 잘 배이도록 한 음식. 식재료에 양념을 넣고 잘 뒤섞는 것을 뜻하는 말로는 '무치다'와 '버무리다'가 있는데 사전에는 이 둘의 차이가 제대로 표현되어 있지 않다. 음식을 기준으로 생각해 보면, '무치다'는 손으로 섞으면서 힘을 주어 쥐듯이 섞어 양념이 재료에 잘 배어들게 하는 쪽이라면, '버무리다'는 손을 사용할 수도 있고 [[젓가락]], 포크, 주걱 같은 도구를 쓸 수도 있으며 재료에 양념이 고르게 잘 묻는 쪽이다. [[나물]], 무생채와 같은 음식이 '무치다'에 해당한다면 [[김치]], [[샐러드]]는 '버무리다'에 해당한다. 하지만 이 두 가지 개념이 딱부러지게 구분되는 건 아니라서 예를 들어 무침회는 오히려 '버무리다'에 가깝다. '무치다'의 명사형인 무침은 음식 이름으로도 쓰이지만 '버무림'이란 말은 이 단어 자체가 거의 쓰이지 않는다. '무치다'는 '[[콩나물]]을 무치다', '[[시금치]]를 무치다'처럼 주재료만 가지고도 쓸 수 있지만 '버무리다'는 '무를 [[고츳가루]]에 버무리다', '[[샐러드|채소를 드레싱에 버무리다]]'처럼 주재료와 양념이 같이 나오는 것도 차이다. 재료로는 [[채소]], 해초, [[해산물]], [[고기]]와 같은 광범위한 재료들을 쓸 수 있지만 우리나라는 [[나물]] 요리가 워낙에 발달해 있기 때문에 [[채소]] 또는 해초가 큰 비중을 차지한다. [[채소]]를 무쳐서 만드는 음식인데도 어떤 건 [[나물]]이고 어떤 무침으로 부르는데, 딱 부러지는 기준은 없지만 대체로 [[나물]]은 데치거나 볶거나 한 다음에 무치지만 무침은 날것 상태에서 숨만 죽이거나 해서 무친다. 또한 나물은 [[고춧가루]]를 쓰지 않고<ref>[[콩나물]] 같은 건 고춧가루를 쓰기도 하지만 그건 일종의 변형이고 기본은 [[고춧가루]]를 쓰지 않고 무치는 쪽이다. 게다가 이건 아예 재료의 이름 자체에 '나물'이 들어가는지라...</ref> [[소금]]과 [[참기름]]을 쓰는 쪽이라면 무침으로 부르는 쪽은 대체로 [[고춧가루]]를 써서 매운맛을 준다. [[나물]]로 부르지 않지만 반찬으로 많이 해먹는 채소 무침이라면 앞서 얘기한 무생채, 오이무침 같은 것들이 있다. 봄이 오면 달래무침도 빼놓을 수 없다. 생선도 매운 양념을 넣어 [[무침회]]를 해먹기도 하고, [[골뱅이]]와 길게 채썬 파를 [[고춧가루]], [[간장]], 다진 [[마늘]]과 함께 무친 [[골뱅이]] 파무침은 을지로에 [[골뱅이]] 골목을 만들었다. [[고기]]도 [[육회]]는 [[간장]]과 [[설탕]]을 주로 한 갖은 양념으로 조물조물 무친 [[무침회]]에 가깝다. 양념 역시 다양하다. 대부분의 [[나물]]은 [[소금]], [[참기름]], [[마늘]], 이 세 가지면 충분하다. 봄동처럼 [[된장]]이 주인 것도 있고, [[미역]], 파래와 같은 해초는 [[식초]]를 넣어 초무침으로 많이 해먹는다. [[무생채]]나 [[무침회]]처럼 [[고춧가루]]를 넣어 무치는 것도 있다. {{각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원본 보기
)
무침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