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카시와우동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카시와우동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파일:Kashiwa udon tosu eki chyuouken.jpg|upright 1.5|섬네일|없음|토스역 5~6번 플랫폼 <츄오켄>의 카시와우동.]] かしわうどん. '카시와'는 [[닭고기]]를 뜻하는데, [[하카타]] 일대 북[[큐슈]] 쪽에서는 [[닭고기]]를 잘게 찢어 놓은 것을 쓰이는 말이다.<ref>일반적으로는 '토리니쿠(鳥肉, とりにく)', 또는 줄여서 '토리'를 쓴다.</ref> 잘게 썰거나 찢어서 조린 [[닭고기]]를 고명으로 얹어 주는 [[우동]]으로, 고기가 들어간 우동이기 때문에 일종의 [[니쿠우동]]이라고 할 수 있다.<ref>다만 [[니쿠우동]]은 보통은 [[소고기]] 조린 것을 고명으로 올린 우동을 뜻한다.</ref> 먹어 보면 [[닭고기]]라기보다는 꼭 [[참치]] [[통조림]]과 식감이 비슷한데, 닭가슴살을 쓰기 때문으로 보인다. [[파일:Tusu station platform chuoken.jpg|upright 1.5|섬네일|없음|토스역 5~6번 플랫폼의 카시와우동 판매점 <츄오켄>.]] 재미있는 것은 이 카시와우동은 기차역 플랫폼에서 유명하다는 것. [[일본]]은 지금도 역 플랫폼에서 [[우동]]이나 [[소바]]를 많이 파는데 [[키타큐슈]]의 [[고쿠라역]]에서부터 해서 [[큐슈]]의 몇몇 기차역 플랫폼에는 카시와우동 명물로 알려진 가게들이 있다. 특히 [[JR]]로 [[하카타]]에서 [[쿠루메]] 쪽으로 갈 때 거치는 토스역(鳥栖駅) 플랫폼에 있는 츄오켄(中央軒)이 유명하다. 토스역은 이 구간의 재래선 주요 환승역으로<ref>[[큐슈 신칸센|신칸센]]은 신토스역에 정차한다. 신토스역에도 츄오켄이 있긴 한데 개찰구 앞에 있고 플랫폼에는 없다. 아무래도 이용객이 적다 보니.</ref> 플랫폼에서 갈아탈 열차를 기다리는 사람들이 꽤 있는데 각 플랫폼마다 가게가 있다. 1956년에 문을 열었고, [[큐슈]]에서는 처음으로 플랫폼에서 서서먹는 [[우동]] 가게로 문을 열었다는 게 츄오켄 쪽의 설명이다.<ref name="chuoken">[https://chuohken.com/udon/ "鳥栖駅のうどん"], 中央軒。</ref> 이곳에서 환승을 할 예정이라면 한 번쯤 먹어볼 만하다. 특히 5~6번 플랫폼에 있는 츄오켄이 제일 낫다는 소문도 퍼져 있는데<ref name="chuoken"/> 그래서인지 토스역 플랫폼의 다른 가게는 저녁 6시 반까지만 영업하는데 반해 5~6번 플랫폼의 츄오켄만은 오후 9시까지 영업한다. 다른 플랫폼의 츄오켄은 다른 가게들이 코로나-19 사태의 여파로 휴업하는 상황에서 역사 안, 그리고 5~6번 플랫폼에 있는 츄오켄만 영업을 할 정도다. 기본인 카시와우동 말고도 모든 [[우동]]에 [[닭고기]] 고명이 기본으로 올라가기 때문에<ref>즉 여기서 '카시와우동'은 카시와만 들어가는 딱 기본 [[우동]], 즉 [[카케우동]] + 카시와라고 보면 된다.</ref> 이게 싫다면 카시와는 빼달라고 따로 얘기해야 한다. 다만 막상 먹어보면 실망할 수도 있는데, 역 플랫폼에 있는 가게들이 대체로 그렇지만 차 시간이 얼마 안 남은 사람들이 후딱 먹고 가는 곳이라 주문하면 빨리 내 줘야 한다. 냉동하지 않은 생면을 뜨거운 물에 데워서 주는데, 면발이 부드럽긴 하지만 쫄깃한 식감을 좋아하는 사람들에게는 별로일 수도 있다. 카시와 역시 대단한 맛을 기대한다면 실망할 수도 있다. [[키타큐슈시]]의 중심 기차역인 [[코쿠라역]]도 이걸로 유명하다. 다만 [[큐슈]] 최대 역인 [[하카타역]]은 별볼일 없다. {{각주}} [[Category:우동]]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원본 보기
)
카시와우동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