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실크에어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실크에어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SilkAir<ref>띄어쓰기 없이 대소문자를 섞어 쓴다.</ref>. [[싱가포르항공]]의 자회사로, [[저가항공사]]로 오해를 많이 받지만 절대로 [[저가항공사]]가 아니다.<ref>[[싱가포르항공]] 산하의 [[저가항공사]]로는 스쿠트항공이 있다.</ref> 엄연한 풀서비스 캐리어였다. 2021년 초에 모회사인 [[싱가포르항공]]과 합병이 결정되었다. 코로나-19 감염증 사태로 전 세계 항공업계가 큰 위기에 빠지면서 구조조정도 대대적으로 벌어지는 분위기 속에서 [[싱가포르항공]]도 자회사 합병을 통한 구조조정을 선택했다. 실크에어는 원래 [[저가항공사]]도 아니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쉬운 측면도 있다. 따라서 지금은 [[싱가포르항공]]으로 흡수되어 사라졌다. 모회사와는 달리 [[항공동맹체]]에 속해 있지 않았기 때문에 [[마일리지]] 적립에는 주의가 필요했다. [[싱가포르항공]]의 [[공동운항]]편으로 실크에어에 탔다면 이 구간은 [[싱가포르항공]]의 실버크리스 [[마일리지]] 프로그램으로는 적립할 수 있지만 다른 [[스타얼라이언스]] 멤버십 쪽으로는 적립할 수 없는 식이었다. 항공권을 샀는데 [[인천공항|인천]]-[[싱가포르]]까지는 [[싱가포르항공]]이고 [[싱가포르]]에서 최종 목적지까지는 실크에어에서 운항하는 [[공동운항]]편인 경우, 실버크리스로 적립하면 전 구간 다 되지만 아시아나클럽 같은 다른 [[스타얼라이언스]] 항공사 [[마일리지]]로 적립하면 [[인천공항|인천]]-[[싱가포르]] 구간만 적립되므로, 필요하다면 체크인 때 실크에어 구간만 실버크리스로 적립하는 식으로 좀 귀찮게 처리해야 했다. [[협동체]] 항공기인 보잉 [[737]]과 [[에어버스]] [[A320]]만으로 구성하여 [[싱가포르]]를 중심으로 중단거리 노선을 주력으로 했다. 반대로 [[싱가포르항공]]은 [[협동체]] 항공기가 한 대도 없었다. 즉 [[싱가포르항공]]은 [[광동체]] 항공기로 중장거리 노선을 중심으로 운항하며 실크에어는 협동체로 중단거리를 운항하는 식으로 분업이 이루어져 있었다. [[타이항공]]과 [[타이스마일]]의 관계와 비슷하지만 [[타이항공]]은 협동체도 가지고 있다는 차이 정도가 있다. 이제는 합병에 따라 [[싱가포르항공]]도 [[협동체]] 항공기를 보유하게 되었다. 기내 서비스는 중단거리 노선에 특화되어 있는만큼 약간 간소한 편이지만 명성이 자자한 [[싱가포르항공]]의 자회사 답게 실크에어의 서비스 역시 친절하고 높은 수준이었다. 앞서 언급했지만 [[협동체]] 항공기로 단거리 위주의 노선을 굴리는 항공사였지 절대 [[저가항공사]]가 아니었다. 기내에는 개인 화면이 없다. 대신 실크에어 스튜디오(Silkair Studio)라는 앱을 깔고 와이파이로 기내 네트워크에 연결하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으로 [[기내 엔터테인먼트]]를 즐길 수 있다. 단 [[기내 와이파이]]는 [[기내 엔터테인먼트]]만 제공하고 [[기내 인터넷|인터넷]] 접속은 못 한다. {{각주}} [[Category:항공사]]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원본 보기
)
실크에어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