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가래떡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가래떡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떡]]의 일종. 멥쌀로 밥을 짓고 찧어서 둥글고 길게, 파이프 모양으로 뽑아내는 [[떡]]. 지금은 기계를 가지고 구멍으로 밀어내는 방식으로 만들지만 옛날에는 반죽을 굴려서 늘려가면서 만들었다. 재료는 멥쌀과 [[소금]], 물, 이게 전부다. [[떡]] 중에서는 가장 단촐하다고 할 수 있지만 담백하면서도 쫄깃한 맛으로 많은 팬들을 거느리고 있다. 갓 뽑은 떡은 부드럽고 따끈따끈해서 [[조청]]이고 [[꿀]]이고 없이 그냥 먹어도 맛있다. '가래떡'이라는 말 때문에 입에서 나오는 점액질의 그 무엇인가와 대체 무슨 관련이 있나 싶은 생각이 들 수도 있는데, <del>가래처럼 길게 늘어진다고 해서가 아닐까</del> '가래'에는 '떡이나 엿 따위를 둥글고 길게 늘여 만든 토막'이라는 의미도 있다.<ref>[https://ko.dict.naver.com/#/entry/koko/e17e508cf6bb45b18a1afb0e8d259c15 "가래"], 네이버 국어사전.</ref> 일단 가래떡 하면 가장 먼저 생각나는 건 설날에는 꼭 먹게 되는 [[떡국]]. [[떡국]]을 먹어야 나이 한 살을 더 먹는다고 해서 아이들은 열심히 먹는다. 아이들에게 나이를 묻는 뜻으로 '떡국 몇 그릇이나 먹었니?'라는 표현도 있다. [[떡국]]과 나이가 연결되는 이유는 가래떡 때문일 것으로 보이는데 옛날부터 [[국수]]처럼 길게 뽑아내는 것은 장수를 상징해서 생일잔치 때 먹었다. 비슷한 맥락으로 길게 뽑아내는 가래떡 역시 [[국수]]와 비슷한 의미를 가졌던 것으로 보인다. <del>그런데 [[떡국]]에 넣을 때 목숨줄을 그렇게 난도질을 치면...</del> 또한 [[떡국]]에 넣을 때에는 약간 도톰하게 썰어서 넣는데, 이것이 엽전 모양을 연상하게 해서 새해의 재물운을 기원하는 의미도 가지고 있다. 아무튼 연말연시 풍경으로 TV에 꼭 등장하는 장면이 방앗간에서 가래떡 뽑아내는 장면일만큼, 가래떡은 설날을 상징하는 아이콘과도 같은 존재다. 지금이야 안 그렇지만 예전에는 집에서 쌀을 씻어다가 불려서 방앗간에 갖다주고 가래떡을 뽑아달라는 사람들이 많았다. 특히 직접 쌀농사를 짓는 농가에서는 지금도 직접 기른 쌀로 가래떡을 뽑는다. 떡국에 넣을 때에는 비스듬히 3~4 mm 두께 정도로 썰어서 쓰는데 막 뽑아낸 가래떡은 잘 썰어지지도 않고 모양도 예쁘게 안 나온다. 떡국에 넣을 때에는 겉이 딱딱해질 때까지 말려서 썰어내기 쉽게 한다. 썰은 다음에도 다시 좀 더 말려서 조금 딱딱한 상태에서 사용하는 게 보통. 아예 썰어서 굳힌 가래떡도 슈퍼마켓 같은 곳에서도 쉽게 살 수 있다. [[떡국]]에 넣기 전에는 한번 물에 씻은 다음 불려서 쓰는 게 좋다. [[떡국]]이나 자매품 떡만두국 말고도 가래떡이 쓰이는 곳은 여기저기 은근히 있다. 떡[[라면]]은 수십 년 전부터 사랑 받아 왔던 [[라면]] 메뉴의 스탠다드이고 [[부대찌개]]를 비롯한 각종 [[전골]]에도 단골로 들어간다. 말리지 않고 말랑말랑한 상태로 쓰기도 하는데 일단 갓 뽑아낸 가래떡은 그냥 먹어도 정말 맛있고, 가래떡으로 쌀[[떡볶이]]를 만들기도 한다. [[간장]] 양념으로 만드는 이른바 궁중떡볶이는 무조건 가래떡이고, [[길거리 음식]]으로 파는 쌀떡볶이 중에도 가래떡을 큼직하게 썰어서 조린 다음 세로로 반을 거르거나 그냥 주는 곳도 있다. 가래떡을 써서 만드는 쌀떡볶이는 [[물엿]]이나 황설탕을 거의 들이붓다시피해서 아주 달짝지근하고 끈적한 맛을 낸다. 가래떡을 불에 굽는 떡구이도 맛있다. [[꿀]]이나 [[조청]]에 찍어 먹으면 정말 맛있다. 캠핑 갈 때 바베큐를 할 생각이라면 거의 비장의 무기로 통한다. 가끔 노점에서 할머니가 떡을 연탄불에 구워 파는 것을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왠지 불쌍해서 하나 사먹다가도 막상 맛을 보면 이게 또 맛있다. 한국의 몇몇 [[야키토리]] 전문점에서도 떡구이를 판다. 떡구이용으로 쓸 때는 겉만 좀 마른 것을 쓰는 게 가장 좋다. 부산에 가면 '물떡'이라는 게 있다. 가래떡을 부드러운 상태에서 길게 [[꼬치]]에 꿰어서 [[오뎅]] 국물에 담갔다가 먹는 음식인데<ref>국물에 계속 담가놓지 않는다. 계속 담가만 놓은 놈은 결국은 붇기 때문에 바깥에 꺼내놨다가 마르지 않도록 국물에 담갔다가 하는 식으로 관리하고 있다가 주문이 들어오면 잠시 담갔다가 주는 게 가장 맛있다.</ref>, 별 거 아닌 것 같은데도 은근히 중독성이 있어서 [[길거리 음식]]으로 인기가 많다. 부산권 밖에서는 거의 보기 힘들었지만 방송에 몇 번 소개되고 인터넷으로도 알음알음 소문이 나서 이제는 나름 부산의 명물 중 하나로 대접 받고 있고 서울에도 [[물떡]] 파는 곳이 몇 군데 생겼다. 몇몇 [[오뎅]] 주점에서도 비슷한 것을 볼 수 있다. [[Category:떡]] {{각주}} [[Category:떡]]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원본 보기
)
가래떡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