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그리시니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그리시니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파일:Grissini.jpg|upright 1.5|섬네일|없음]] Grissini.<ref>단수로는 grissino지만 원래 단수형으로는 spaghetto인 [[스파게티]]가 그렇듯이 복수형이 더 널리 알려져 있다. 스파게티든 그리시니든 상품 포장에 달란 한 개만 들어 있을 리가 없기 때문에 제품명은 모두 복수로 되어 있게 마련이다. 이탈리아어 위키백과는 둘 다 단수형을 표제로 사용한다.</ref> [[이탈리아]]의 과자빵으로 길쭉한 대롱처럼 모양을 만들어 [[발효]]시킨 [[밀가루]] 반죽을 바삭하게 구워낸 것. 바삭하면서도 [[발효]]를 통해 공기구멍이 많기 때문에 딱딱하지 않고 잘 부스러진다. [[이탈리아]] 피에몬테 지역에서 17세기 경에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미국으로 넘어가서는 좀 더 굵고 각진 스타일에 바삭하지 않고 부드러운 식감의 브레드스틱이 나타났다. <del>하여간 [[이탈리아음식]]은 미국만 가면 이상해진다.</del> 기본 재료는 [[밀가루]]<ref>제빵용으로 쓰이는 강력분 밀가루만으로도 만들지만 [[이탈리아]]의 가정에서는 [[파스타]]에 주로 쓰이는 듀럼 세몰리나 밀가루를 섞기도 한다.</ref>, 물, [[효모]], [[올리브유]], [[소금]]으로, 이것만으로도 기본적인 그리시니를 만들 수 있다. 여기에 추가로 로즈마리, 파르미치아노-레치아노 치즈, [[올리브]]와 같은 재료를 넣어서 반죽하기도 하고, 반죽에 [[참깨]]를 듬뿍 묻힌 그리시니도 있어서 다양하게 변형을 줄 수 있다. 길이는 대략 25cm 남짓이 주류를 이루고 있지만 굵기는 아이 손가락 굵기만한 것부터 얇은 빨대 정도 굵기까지 정말로 다양하다. 유럽에서는 에피타이저로 정말 흔히 볼 수 있다. 슈퍼마켓에 가면 한두 가지 정도가 아니라 다양한 그리시니 제품들을 볼 수 있다. [[이탈리아]] 레스토랑은 식전 빵처럼 그리시니를 주는 곳을 종종 볼 수 있다. 또한 [[이탈리아]]의 [[생햄]]인 [[프로슈토]]를 먹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 육절기로 얇게 저민 [[프로슈토]]를 그리시니에 칭칭 감아서 먹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잘 알려져 있지는 않다. 이탈리아 수입품이 백화점이나 마트에서 퐐리고는 있지만 이탈리아음식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 아니면 대체로 잘 모른다. 다만 이런 형태의 과자는 우리나라에도 꽤 오래 전부터 있었는데, 해태 사루비아가 그것으로 1982년에 출시해서 지금까지도 명백을 잇고 있다. 다만 단면이 둥글지 않고 납작한 데다가 울퉁불퉁한 모양을 하고 있고, [[설탕]]을 넣어서 단맛을 냈기 때문에 과자에 가깝다. {{각주}} [[Category:이탈리아음식]]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원본 보기
)
그리시니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