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기네스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기네스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파일:Guinness draught.jpg|upright 1|섬네일|없음]] Guinness. [[아일랜드]]의 [[스타우트]] [[흑맥주]]. 모든 [[스타우트]]의 대표주자이자 세상 모든 [[흑맥주]]의 대표주자라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기네스북]]을 만든 곳도 여기다. 1759년 아서 기네스(Arthur Guinness)가 세인트 제임스 게이트 브루어리에서 [[에일]]을 만들기 시작한 게 역사의 기원이다. 엠블렘인 하프의 왼쪽에도 'EST 1759'라고 쓰여 있다. 그 해 말, 아서 기네스는 해마다 45 파운드를 내는 조건으로 9,000년 동안 (900년이 아니다) 이 양조장을 빌리기로 계약한다. 처음부터 [[스타우트]]를 만들었던 건 아니고 초기에는 [[에일]]을 만들다가 1778년부터 [[포터 (맥주)|포터]]를 만들기 시작했고, '[[스타우트]]'라는 말이 들어간 것은 1840년대에 들어서였다. [[흑맥주]]가 가질 수 있는 특유의 캐릭터를 극한까지 끌어올려서 마치 잘 내린 [[드립커피]]와 같은 풍부하고 휘발성 있는 아로마를 자랑한다. 눈으로 보기에도 독특한데 막 잔에 따른 기네스는 마치 폭포가 쏟아지듯이 미세한 거품의 구름이 위에서 아래로 용솟음친다. 보고 있으면 신기하다. 특히 [[펍]]에서 [[생맥주]]를 따를 때 잔을 보면 뭔가 무섭기까지 하다. 이는 질소의 작용으로 일어나며 서징(surging)이라고 부르는데, 이 상태에서 마시는 것보다는 가만히 둬서 용솟음이 잦아들고 기네스 특유의 검은 색으로 돌아왔을 때 마시는 게 더 제대로 맛을 느낄 수 있다. 캔맥주에도 초음파를 이용해 [[맥주]]를 미세하게 진동시키는 서저(surger)라는 것도 만들었는데, 캔맥주를 서저 위에 올려놓은 다음 잠시 두었다가 잔에 따른다. 처음 잔에 따를 때에는 헤드, 즉 위를 덮는 거품이 별로 없고 입자도 거친데 서징을 시키면 점점 헤드가 두툼해지고 입자도 고와져서 딱 마시기 좋은 정도의 헤드가 생긴다. [[병맥주]]나 [[캔맥주]]로도 [[생맥주]]의 서징 효과와 크리미한 거품을 느낄 수 있도록 고안된 위젯으로도 유명하다. 다 마시고 나서 병이나 캔을 흔드니 덜그럭거리는 소리가 나서 이물질이 들어간 줄 알고 식겁했다는 사람도 <del>그리고 아싸 회사한테 돈 좀 뜯어낼 수 있겠구나 하고 만세를 부른 사람도</del> 많았다. 위젯 안은 비어 있고 작은 구멍이 있는데, 병이나 캔에 [[맥주]]를 넣으면서 [[질소]]를 주입하면 위젯 안으로 [[맥주]]와 [[질소]]가 들어갔다가, 캔이나 병을 열면 압력이 낮아지면서 위젯 안에 있던 [[맥주]]와 [[질소]]가 뿜어져 나오는 식으로 [[생맥주]]만큼은 아니지만 서징을 만들어내고 미세한 거품도 만들어 낸다. <del>질소과자는 싫지만 질소맥주는 좋아요!</del> 모든 종류의 캔이나 병에 위젯이 들어가는 것은 아니고 드래프트(Draught, [[생맥주]])에만 들어간다. 이 회사에 속해 있는 아이리시 [[에일]] 맥주 [[킬케니]]에도 들어가 있다. 케그를 쓸 정도로 판매량이 많지 않은 바를 대상으로 캔맥주를 [[생맥주]]처럼 탭으로 글래스에 따를 수 있는 기기를 공급하기도 하는데, 관리만 잘 되어 있다면 [[생맥주]] 부럽지 않은 품질을 보여준다. 우리나라에는 [[생맥주]], [[캔맥주]], 그리고 [[병맥주]]로는 오리지널, 드래프트 정도가 소개되어 있지만 실제 기네스의 종류는 10종 이상으로 훨씬 많다. 액스트라 포린(Extra Foriegn)은 알코올 도수가 7.5%로 일반 맥주보다 높지만 오리지널은 4.2%로 오히려 좀 얌전한 편. 너무 차게 마시는 것은 오히려 기네스의 풍성한 향미를 죽이는 것. 오리지널은 [[에일]]처럼 상온보다 좀 낮은 선선한 온도면 충분하다. 드래프트는 좀 차게 마셔도 된다. 그래도 기네스의 향미를 제대로 즐기려면 너무 찬 온도는 금물. [[스타우트]]도 [[에일]] 계열인데 원래 [[에일]]은 아주 차게 마시는 맥주가 아니다. 위젯이 들어 있는 녀석들은 좀 차게 마시면 좋고 엑스트라 콜드(Extra Cold)는 라거만큼 차게 마신다. 반면 위젯이 들어 있지 않은 오리지널이나 엑스트라 포린 같은 건 온도를 좀 높여서 마시는 쪽이 좋다. [[영화]] <[[킹스맨]]>의 해리(콜린 퍼스)도 기네스 덕후 인증 캐릭터다. 기네스 [[파인트]] 잔을 놓고 에그시와 얘기를 나누던 중 양아치들이 들이닥치자, {{Quotation|quoted=1|quote= Um, listen, boys. I've had a rather emotional day, so whatever your beef with Eggsy is - and I'm sure it's well founded - I'd appreciate it enormously if you could just leave us in peace, until I can finish this lovely pint of Guinness.<br/><br/> 음, 이보게들, 오늘 기분이 영 그런 날이어서 말인데, 에그시하고 뭔 일이 있었는지는 모르겠지만, 분명히 뭔가 있었겠지만, 이 멋진 기네스 파인트 잔을 다 비울 때까지 우릴 조용히 놔뒀으면 진심으로 감사하겠네.}} 그래도 양아치들이 <del>사람 잘못보고</del> 꺼지라고 외치자, 밖으로 나가는 척하더니 문을 걸어 잠그면서 바로 그 명대사, "Manners, maketh, man!"을 외친 후 [[펍]]을 쑥대밭으로 만들고 동네 양아치들을 모조리 때려눕힌다. 그리고는 아무 일 없다는 듯 다시 앉아서 기네스를 비우신다. [[파일:Burger king guiness whopper.jpg|upright 1.5|섬네일|없음]] 2020년에는 버거킹이 난데없이 '기네스 와퍼'라는 것을 내놓았다. [[빵]]과 바비큐 소스에 기네스를 사용했다고 하는데, [[빵]]의 색깔이 검다. 그러나 이 정도로 [[빵]]의 색깔을 검게 하려면 정말로 기네스를 농축해서 때려 넣어야 한다. 즉 반죽에 기네스를 조금 넣고 오징어먹물이나 [[카라멜색소]]를 써서 검게 만들었을 확률이 높다. 소스에도 기네스를 썼다고는 하지만 딱히 기네스 특유의 느낌이 잘 나지는 않는다. 출시 당시 단품이 무려 8,500원이나 할 정도로 비싸다. <del>차라리 수제버거가 낫겠다.</del> [[베이컨]]을 2장 넣어주기 때문에 푸짐하긴 하지만 [[치즈]]는 기본으로 넣어주지 않는다. '기네스' 이름을 쓰긴 했지만 얼코올을 함유하고 있지는 않아서 미성년자 판매제한 같은 것도 걸려 있지 않다. [[Category:흑맥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Main other
(
원본 보기
)
틀:Quotation
(
원본 보기
)
틀:Quotation/styles.css
(
원본 보기
)
기네스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