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내항기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내항기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국내선 항공편이지만 국제선을 이용하는 환승 승객 전용으로 운항되어 국제선처럼 운영되는 항공편. 예를 들어 우리나라의 미주, 유럽, 대양주 노선을 타려면 [[인천국제공항]]으로 가야 한다. 부산에서 이렇게 가려면 [[KTX]]-[[공항철도]]나<ref>한때는 인천공항역 착발 [[KTX]]도 있었지만 2018년 평창올림픽 이후로 [[인천공항]] 직통 [[KTX]]가 운행이 중지되었으며 코레일은 수요 부족을 이유로 아예 운행을 중단할 계획을 내비쳤다. 결국 2018년 9월 1일부터 완전 중단 확정. [[서울역]]에서 [[공항철도]]로 환승해야 한다.</ref> 장거리 공항버스를 타고 [[인천공항]]까지 가야 하는데, 만약 [[김해공항]]에서 [[인천공항]]까지 가는 항공편이 있다면 훨씬 편리할 것이다. 그런데 [[김해공항|김해]]-[[인천공항|인천]]은 국내선이기 때문에<ref>모르는 사람들이 많은데, [[인천공항]]에도 국내선 게이트가 있다 제1터미널 가장 오른편에 체크인 카운터와 보안검색대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ref> 일단 인천에서 짐을 찾고 도착장으로 나온 다음 다시 국제선 체크인을 하고 짐을 부치고 출국수속을 해야 한다. 그 반대도 마찬가지.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서 나온 것이 내항기다. 내항기는 국내선 구간을 운항하지만 국제선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 입출국수속은 첫 출발지 또는 최종 도착지에서 한다. 예를 들어 [[김해공항|김해]]-[[인천공항|인천]]-[[로스엔젤레스]]라면 입출국수속을 [[인천공항]]이 아닌 [[김해공항]]에서 한다. * 따라서 내항기 구간만 이용하려는 승객은 탈 수 없다. 즉 국제선 환승 승객만 이용할 수 있다. * 물론 출도착도 국제선 터미널에서 하며 보안검색도 국제선과 같은 기준을 적용한다. * 내항기와 국제선 사이 환승은 국제선 사이 환승과 같은 방식이다. 즉, 위의 예에서 [[인천공항]]에 내렸다면 환승 통로를 해서 보안검색만 다시 받고 보세구역으로 나가면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아예 탑승 측 통로 쪽으로 나가게 해서 보안검색을 다시 안 받고 바로 보세구역으로 나가게 해 주기도 한다. * 외국에서 들어와서 [[인천공항]]에서 내항기로 갈아탈 경우, 보세구역에 있다고 해도 [[면세점]]에서 물건을 살 수 없다. [[면세점]]에서는 계산을 할 때 항공권을 보여줘야 하기 때문에 내항기 환승 예정인 것이 확인되면 계산 불가. 반대로 내항기로 [[인천공항]]에 도착해서 환승편으로 출국할 때에는 내항기가 출발하는 공항에서나 [[인천공항]]에서나 [[면세점]] 쇼핑에 문제가 없다. * 취소 및 환불 규정도 국내선이 아니라 국제선 규정을 따른다. 발권은 국제선과 함께 연결편으로 함께 발권을 하든가, 이미 발권한 국제선 항공권에 추가로 내항기를 연결시켜서 발권하든가, 그래야 한다. 그러나 [[대한항공]]은 2019년 9월부터 아예 추가로 단독 발권하는 것도 막아버렸다.<ref>[http://www.travelti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8103 "KE 내항기 단독발권 완전 금지"], <여행신문>,2019년 9월 10일.</ref> [[대한항공]] 측은 사용자들의 혼란을 막기 위해서라고 변명하지만 자사 이익을 위한 꼼수라고 비난을 받고 있다. [[아시아나항공]]은 예약센터에 전화하면 이미 발권한 국제선에 내항기를 추가로 연결해서 발권할 수 있다. 내항기를 뜻하는 딱히 적절한 영어 단어는 없고 [[대한항공]]은 transit exclusive domestic flight(환승전용 국내선, TEDF)라고 쓰고 있다.<ref>[https://www.koreanair.com/kr/en/booking/transfer/domestic-transit "Transit Exclusive Domestic Flights"], Korean Air.</ref> 2018년 여름 기준으로 [[인천공항|인천]]-[[김해공항|부산]]에는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 [[인천공항|인천]]-[[대구]] 구간에는 [[대한항공]]이 내항기를 운항하고 있다. 그밖에 [[인천공항|인천]]-[[제주공항|제주]] 구간도 있긴 하지만 이건 내항기가 아니라 그냥 국내선으로 운영하고 있다. 대체로 자기네 항공사 혹은 자기네 [[항공동맹체]] 승객을 위주로 운항하는 거라 그렇지 않은 환승객은 예약이 안 되거나 예약이 되어도 운임이 비싸다든가<ref>예를 들어 자기네 환승객에게는 국내선 운임을 받지만 그밖에는 국제선 기준으로 운임을 받는다든가 하는 식이다. 같은 거리라도 국제선은 운임이 비싼 편이고 편도 운임이 왕복 운임의 절반보다 훨씬 비싸다.</ref>, 수하물 이전이 안 되거나 하는 문제가 있다. 기내 서비스는 국내선과 같다. [[비즈니스 클래스]] 그런 거 물론 없고 [[기내식]]? 그런 거 없다! 국내선처럼 음료 제공만 한다.<ref>어차피 비행시간이 한 시간도 안 되니 [[기내식]]이 필요하지는 않다.</ref> 내항기에 익숙하지 않은 승객, 특히 외국인 승객들은 정확한 이용법을 설명 받지 못하면 낭패를 볼 수 있다. 가장 저지르기 쉬운 실수가 내항기를 타기 전에 입국심사를 해 버리는 것이다. 예를 들어 [[런던]]-[[인천공항|인천]]-[[김해공항|부산]]을 이용하는 승객이 인천공항에서 입국심사를 해 버리면 예정했던 [[인천공항|인천]]-[[김해공항|부산]] 내항기 환승편을 절대 탈 수 없다. 입국심사장에서는 승객이 내항기를 이용하는지 여부를 알 수 없기 때문에 여권을 내면 그냥 입국심사를 진행한다. 만약 짐까지 있다면 일이 더 꼬인다. 물론 출국할 때에도 [[인천공항]]에서는 국제선 환승을 이용해야 하지만 이 경우는 이미 내항기를 타기 전에 출국심사를 하고 출발하기 때문에 혼란이 적은 편이다. 내항기와는 다르지만 비슷한 면이 있는 항공편도 있는데, 국제선이지만 한 국가 안에서 두 곳 이상 들르는 항공편이 있다. [[루프트한자]]는 예전에 [[김해공항|김해]]-[[인천공항|인천]]-[[김해공항|부산]]-뮌헨 항공편을 굴린 적이 있다. [[김해공항]]에 있던 유일한 장거리 노선이었는데, 다만 [[김해공항|김해]]-[[인천공항|인천]] 구간만 이용할 수는 없었다. 지금은 [[인천공항|인천]]-[[김해공항|부산]]-[[뮌헨]]으로 단축된 상태. <del>지못미 김해.</del> 지방공항, 특히 내항기가 다니고 있는 [[김해공항]]으로서는 편리하긴 하지만 한편으로는 영 좋지 않은 노선인데, 내항기를 통해 지역의 국제항공 수요가 [[인천공항|인천]]으로 빨려 나가기 때문에 지방공항발 외국 중장거리 직항 노선 개척에는 장애물이 되기 때문이다. 내항기가 다니고 나서 [[루프트한자]]가 [[김해공항|김해]]-[[인천공항|인천]]-뮌헨 노선을 인천발로 단축시킨 게 대표 사례다. 다른 항공사들도 [[김해공항|김해]]발 장거리 노선을 뚫는 걸 주저하는 원인이 되고 있기도 하다. 내항기는 외국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독특한 항공편이다. 외국의 경우, 앞서 언급한 [[루프트한자]]의 [[김해공항|김해]]-[[인천공항|인천]]-[[뮌헨]] 노선처럼 국제선과 국내선을 결합해서 운항하는 경우는 있다. 예를 들어 [[콴타스]]의 [[멜버른]]-[[퍼스]]-[[런던]] 노선이 그런 예인데, [[루프트한자]]는 자사의 관점에서 보기에 [[김해공항|김해]]-[[인천공항|인천]] 구간은 외국이므로 한국에서 허가를 받지 못해서 이 구간을 국내선으로 운항할 수 없었지만 [[콴타스]]는 [[멜버른]]-[[퍼스]] 구간이 자기네 나라이므로 이 구간을 국내선으로 굴린다. 즉 우리나라의 내항기와는 달리 [[멜버른]]-[[퍼스]]만 탈 수도 있다. 그러나 출도착은 국제선 터미널에서 이루어지며 체크인 마감 및 보안 검색도 국제선 기준으로 한다. 또한 [[호주]]의 국내선은 신분증 검사를 철저하게 하지 않는 편이지만 이 노선만큼은 여권은 아니더라도 운전면허증과 같은 신분증이 반드시 필요하다. 물론 이러한 사례는 같은 비행기로 국제선과 국내선을 연결해서 운항하는 것이고 내항기는 오로지 국제선 환승용으로 국내 구간만 운항하는 항공편이다. {{각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원본 보기
)
내항기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