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된장국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된장국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말 그대로 [[된장]]을 넣어서 끓인 국물 요리. 자매품으로 [[된장찌개]]가 있다. 둘의 차이는 이름 그대로 국과 [[찌개]]의 차이. 즉 된장국은 국물이 주가 되는 음식이고 [[된장찌개]]는 건더기를 먹는 게 주가 된다. 우리나라에서 [[된장]]을 먹는 가장 널리 퍼져 있는 방식이고 된장하면 그냥 된장국이나 [[된장찌개]]를 생각하게 마련이다. 그 다음으로는 [[쌈장]] 점도. 한국의 집밥이라면 가장 기본으로 떠올리는 게 밥, [[김치]], 된장국이다. 이 중 밥하고 [[김치]]는 대체할 게 없는 필수 요소고, 된장국은 상대적으로 [[콩나물국]]이나 [[미역국]] 같은 것들이 있기 때문에 앞의 두 가지보다는 덜하지만 그래도 '국'이라고 하면 가장 먼저 생각나는 음식이다. [[멸치국물]]을 내서 끓이는 게 보통. 쌀뜨물로 끓이기도 하는데 이렇게 하면 국물이 좀 더 걸쭉해진다. 건더기로는 [[배추]], [[우거지]], [[시래기]], [[시금치]], 근대, 아욱<ref>사실 근대나 아욱은 된장국 건더기 아니면 밥상에서 별로 볼 일이 없는 채소다.</ref> 같은 것들이 많이 쓰이고 [[양파]]와 [[마늘]]은 단골 부재료. [[애호박]]이나 [[두부]]도 종종 들어간다. [[시래기]]를 넣어 끓인 된장국은 부산 및 경상남도에서는 시락국이라고 하는데, 부산 일대에는 시락국 전문점이 꽤 많다. 여기에 [[들깨]]를 갈아 넣어 걸쭉하게 만들어 먹기도 한다. 학생식당 된장국에는 무가 들어간다든가, [[오징어]]가 들어가는 좀 괴랄한 된장국이 나오기도 한다. 국물 요리에 무는 잘 어울리는 편이지만 [[된장]]은 구수한 맛인지라 시원한 맛이 나오는 무와는 궁합이 묘하게 안 맞고, [[오징어]]도 된장과는 별로... 물론 싼맛에 넣는 재료들. 학생식당 아니면 구경할 일 별로 없는 된장국이다. [[조개]] 종류는 종종 쓰이지만 그밖의 해산물은 잘 안 쓰이는 편이다. 당연히 장맛이 절대적이다. 다른 재료는 맛을 좀더 돋워주거나 건더기 역할을 하는 정도이고 장맛이 좋으면 뭘 넣어도 맛있고 반대로 장맛이 나쁘면 뭘 넣어도 맛이 꽝이다. [[된장찌개]]도 장맛이 중요하지만 건더기의 종류나 양이 많기 때문에 [[된장]]이 차지하는 비중에 조금 적지만 된장국은 정말로 오로지 장맛이다. 대량생산하는 제품 [[된장]]은 전통방식 [[된장]]과는 달리 제조방법이나 빛깔도 맛도 일본식 [[된장]]에 가까운 느낌이다 보니, 대다수 음식점의 된장국은 집된장으로 끓인 것과는 거리가 있다. 집된장으로 끓인 된장국은 색깔도 짙고 맛도 진하다. 직접 [[된장]]을 담거나 산지에서 계약해서 나오는 [[된장]]을 쓰는 전문 식당을 가야 그나마 제대로 된 것을 맛볼 수 있다. [[일본]]의 음식문화에서도 된장국, 즉 미소시루는 중요하다. [[일본]]의 국물문화는 [[가쓰오부시]] 아니면 미소라고 해도 지나치지 않을 정도. 다만 우리나라처럼 큼직한 대접에 나오는 게 아니라 작은 그릇에 담겨 나오고 홀짝홀짝 목을 축이는 정도라 우리나라 사람에게는 감질나는 양이다. 건더기도 우리의 [[된장찌개]]는 물론 된장국보다도 별거 없어서 [[미역]]이나 잘게 썬 쪽파가 들어가는 정도다. 하지만 [[돼지고기]]와 [[채소]]를 넉넉히 넣어 찌개에 가깝게 건더기가 푸짐한 [[톤지루]]라는 것도 있다. 이건 오히려 찌개에 가까울 정도. [[재첩]]이나 [[바지락]], [[모시조개]]를 사용한 된장국도 즐겨 먹는다. {{각주}} [[Category:한국음식]]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원본 보기
)
된장국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