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멜버른국제코미디페스티벌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멜버른국제코미디페스티벌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Melbourne International Comedy Festival (MICF). 해마다 3~4월에 걸쳐 [[호주]] [[멜버른]]에서 개최되는 국제 규모의 코미디 페스티벌. 코미디 페스티벌로는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개최되는 Just for Laugh 다음으로 크다. [[호주]]에서는 가장 큰 규모의 공연 예술 페스티벌이자 가장 많은 티켓 판매 수익을 올리는 이벤트다. 4주 동안 개최되며 2015년 기준으로 93개 극장에서 공연이 펼쳐졌다. 문화 행사와 페스티벌이 많은 [[호주]]에서 유료 기반 공연예술 축제로는 [[호주]]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거의 대부분은 서양답게 [[스탠드업 코미디]] 위주지만 피지컬, [[마임]], [[슬랩스틱]], 키즈, 뮤직, 캬바레를 비롯한 다양한 장르의 코미디들이 선보인다. 오픈 액세스, 즉 공개 모집 방식으로 공연을 선발해서 티켓 판매 수익을 배분하지만 일부 국제 공연은 초청 방식으로도 진행한다. 주로 무료 야외공연 출연자들이 초청 방식으로 섭외된다. [[서커스]] 공연이 열리는 경우도 있는데, 즉 코미디를 사람들에게 즐거움을 주는 예술 장르라고 좀더 넓은 개념으로 본다면 충분히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코미디언]]의 원류라고 할 수있는 [[광대]]가 서커스단 소속이었던 것도 있고. [[오세아니아]]가 코미디 강국임을 느낄 수 있게 해 준다. [[호주]] 인구는 2,600만 명, [[뉴질랜드]] 인구는 400만 명에 불과하지만 뛰어난 [[코미디언]]들이 많이 배출되었고, 유럽 쪽으로 진출해서 활동하는 코미디언도 많다. 반대로 [[미국]]이나 [[캐나다]], [[유럽]] 같은 다른 대륙 출신 코미디언들이 [[호주]]에 둥지를 틀고 활동하는 경우도 많다. 워낙에 공연장이 많이 필요하다 보니, 임시 공연장이 많이 생긴다. [[펍]]이나 [[호텔]]의 연회장에 임시로 무대를 설치하기도 하고, 공공시설도 최대한 활용한다. 1천 석이 넘는 대형공연장부터 50억 남짓에 불과한 소형 공연장까지 공연장 규모도 정말 다양하다. 페스티벌 기간이 아닐 때도 여러 가지 활동을 하는데, [[호주]] 전역은 물론 [[싱가포르]], [[홍콩]], [[인도]]를 비롯한 아시아권 국가들을 돌면서 홍보 차원의 쇼케이스인 로드쇼를 펼친다. 한국 코미디언도 이 페스티벌에 참가한 바가 있다. 옹알스가 2012년에 참가해서 한국 코미디언으로는 첫 테이프를 끊었고, 이어서 이듬해에는 매진 기록까지 세웠다. 드로잉 서커스 팀 크로키키브라더스도 2017년에 야외 공연 무대에 섰고, 영어실력을 나름 무기로 삼아 온 김영철도 코미디 클럽 무대에서 잠깐이지만 영어 스탠드업 코미디를 선보였다. ==경제적 효과== MICF 측에서는 2014년 기준으로 경제 효과를 다음과 같이 발표했다. * [[호주]]에서 티켓 판매량이 가장 많은 문화 이벤트로 2014에는 498,343장의 티켓이 팔렸으며 1,350만 호주달러(약 113억 2천억 원)의 수익을 올렸다. * 무료 공연을 포함한 전체 관객은 70만 명을 넘었으며 전국으로 방송된 텔레비전 특집방송의 시청자 수는 4백만 명이었다. * 천체 공연 수는 469개, 총 공연 횟수는 6,477회였다. * 3,663명의 아티스트 및 스태프가 참여했다. * 빅토리아 주에서 780만 호주달러(약 65억 4천만 원)의 추가 소비를 일으킨 직접 경제 수익을 거둔 것으로 추정된다. <del>우리나라는 G20 정상회의 한 번만 하면 경제효과가 420조라는데 여긴 뭐 껌값도 안 되네?</del>
멜버른국제코미디페스티벌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