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사피카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사피카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SAPICA. [[일본]] [[홋카이도]]의 [[삿포로시]] 교통국에서 발매하고 운영하는 [[교통카드]]다. 이름은 「'''サ'''ッと取り出して、'''ピ'''ッと利用できるSAPPORO(さっぽろ)のIC'''カ'''ード」(삭 하고 꺼내서 삑, 하고 이용할 수 있는 [[삿포로]]의 IC 카드)라는 문구에서 따온 것인데, 그냥 알파벳 SAPICA로 쓴다. [[일본]]의 [[교통카드]] 규격인 [[Felica]]를 사용하고 있으면서도 다른 [[교통카드]]와 호환이 안 된다. 따라서 이걸 들고 다른 지역에 가면 먹통이다. 그뿐만이 아니라 [[삿포로]] 안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곳이 [[삿포로시]]의 [[지하철]], [[버스]], [[전차]]로 제한되어 있고 [[JR]] 노선에서는 전혀 쓸 수 없으므로 사용 폭이 좁다. 더 나아가 [[편의점]]과 같이 [[교통카드]]를 [[전자화폐]]로 쓸 수 있는 곳에서조차도 SAPICA로는 결제가 안 된다. 그야말로 오로지 삿포로 지역의 [[교통카드]] 구실밖에는 못 한다. 이렇게 고자가 된 이유는 다른 [[교통카드]]와 호환이 되려면 [[JR동일본]]에 로열티를 내야 하는데 이 비용을 아끼기 위해서다. 여기만이 아니라 지역 기반의 교통카드 중에는 전국호환이 안 되는 것들이 심심치 않게 있다. 그래도 [[센다이시]] 교통국에서 발행하는 [[이쿠스카]]는 [[센다이]] 및 [[미야기현]]의 [[스이카]] 사용지역 한정으로 [[JR]] 역에서도 사용할 수 있지만 사피카는 [[삿포로]] 시내의 [[JR]] 역에서조차 아예 사용할 수가 없다. 단점들만 본다면 이걸 누가 쓰나 싶을 텐데, 장점이라면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10%씩 후하게 포인트가 적립된다. 그러나 이조차도 기명식 카드만 지원되며 [[일본]] 주소가 있어야만 기명식 카드를 신청할 수 있기 때문에 [[일본]]에 사는 사람 아니라면 [[일본]]의 친척이나 친구 주소를 빌려 쓸 수 있고 [[삿포로]]에 자주 온다면 모를까, 보통 여행자라면 정말 쓸모 없는 카드라 할 수 있다. 반대로 SAPICA가 통하는 곳이라면 [[JR홋카이도]]에서 발행하는 [[키타카]]([[Kitaca]])를 사용할 수 있고 충전도 할 수 있다. 다른 지역에 가서도 쓸 수 있기 때문에 [[삿포로]]에 가는 여행자라면 그냥 [[Kitaca]]를 사거나 이미 다른 지역에서 일본 전국호환 교통카드를 샀다면 그걸 들고 오는 편이 훨씬 낫다. [[Category:교통카드]]
사피카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