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이코노미 클래스 증후군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이코노미 클래스 증후군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Economy class syndrome. 공식 의학 용어로는 심정맥 혈전증(deep vein thrombosis, DVT), 또는 심부정맥 혈전증, 심부정맥 색전증과 같은 용어를 쓰고 있는데, 장시간 비행기 여행을 하는 사람들 가운데 이 증상을 보이는 사람들이 발견되면서 [[이코노미 클래스]] 증후군이라는 말이 널리 쓰이게 되었다. 1977년 "비행후 폐혈전색전증"이라는 제목의 논문에서 이 용어가 처음 쓰였다고 한다. 심정맥(深靜脈)이란 심장(心)에 있는 정맥이 아니라 몸속 깊숙한(深) 곳에 자리 잡고 있는 정맥을 뜻한다. 이 정맥에 피가 뭉쳐서 혈전이 생겨서 혈관을 막음으로써 증상이 나타난다. 종아리 쪽의 심정맥은 종아리 근육에 있다. 누워 있을 때에는 심장과 다리의 높이가 비슷하므로 심장 펌프로 다리까지 혈액을 보내는 게 큰 문제가 없지만 서 있을 때에는 심장과 다리의 높이 차이가 커진다. 심장에서 다리로 가는 혈액은 아래로 내려가는 거니까 그나마 괜찮지만 다리에서 심장 쪽으로 돌아가는 혈류, 즉 정맥의 혈류는 [[연어|중력을 거꾸로 거슬러 올라가야 하므로]] 심장의 힘만으로는 멀리 떨어진 종아리 심정맥의 충분한 혈액순환이 어렵기 때문에 종아리 근육의 도움을 받는다. 근육이 수축하면 정맥이 눌리고 이 힘으로 피가 심장으로 돌아갈 수 있게 된다. 이를 근육 펌프라고 하는데, 같은 자세로 오랜 시간 앉아 있다 보면 정맥이 눌리는 데다가 종아리 근육의 움직임도 줄어들기 때문에 정맥의 혈액 흐름이 줄어들어서 평소보다 혈전이 생기기 쉽게 된다. 만약 이 혈전이 혈관을 막을 정도로 커지게 되면 심각한 문제를 일으킨다. ==비행기 바깥의 이코노미 클래스 증후군== 그런데 [[이코노미 클래스]] 증후군이라는 말은 사실 부정확하다. 언뜻 생각하기에는 좁고 등받이도 별로 안 넘어가는 [[이코노미 클래스]]가 편안한 [[비즈니스 클래스]]보다 발병 확률이 높을 것 같지만, 2012년 미국흉부학회가 빌표한 이코노미 클래스 증후군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심정맥 혈전증은 [[비즈니스 클래스]]에서도 비슷한 확률로 발생한다고 한다.<ref name="afterrain">[http://aftertherain.kr/?p=14638 "의학전문기자 홍혜걸이 말하는 이코노미클래스 증후군"], <비온뒤>, 2015년 9월 4일.</ref> 영국 상원 보고서에서는 "여행자 혈전증”이라고 부르도록 권고하고 있다.<ref>[https://www.cathaypacific.com/cx/ko_KR/travel-information/travel-preparation/am-i-fit-to-travel/dvt.html "심부 정맥 혈전증 (DVT)"], ''Cathay Pacific''.</ref> 좌석이 좁든 넓든 같은 자세로 오래 앉아 있으면 위험성이 커진다. [[비즈니스 클래스]]라고 너무 안심하지 말고 풀 플랫이면 확실하게 180도로 젖힌 다음 누워서 자거나 풀 플랫이 아니면 다리를 자주 움직여 주자. 가끔씩 화장실을 다녀오거나 복도를 돌아다는 것도 추천하는 방법이다. 비행기의 고도나 압력도 근육 운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이 병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는 견해도 있다. 비행기 안은 습도도 20% 정도로 매우 낮으며 산소 양도 지상의 80% 수준이므로 피의 점성이 높아지기 쉽다는 것. 그러나 이후 연구에 따르면 별다른 관계는 없다고 한다. 중요한 원인은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같은 자세로 오래 있을 때다. [[비행기]] 여행만이 아니라 자동차에서 장시간 같은 자세로 앉아서 운전이나 여행을 하는 사람들에게서도 이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쿠마모토 지진 (2016년)|쿠마모토 지진]]이 일어난 후, [[이코노미 클래스]] 증후군에 따른 사망자가 나오면서 [[일본]] 안에서 이 병이 다시 주목을 받았다. 차 안에서 피난 생활을 하는 사람들 중 차 안에 앉아서 오랜 시간을 보내다 이 증상이 나타나서 사망자까지 나온 것. [[일본]] 정부 당국과 방송사에서는 [[이코노미 클래스]] 증후군의 위험성과 예방 요령을 홍보하고 있다. 당연히 장시간 오래 앉아서 일하는 사람들 역시 같은 문제가 생길 수 있으니 아무리 일에 열중해 있어도 가끔씩 일어나서 화장실이라도 다녀오고 스트레칭도 하는 게 여러 모로 좋다. 오랜 시간 누워 있는 입원 환자들 역시도 비슷한 문제를 겪을 수 있다. 이를 막기 위해서 압박 스타킹을 신거나 공기 펌프로 종아리를 조였다 풀어주었다 하는 장치를 착용하도록 한다. 아무튼 [[이코노미 클래스]]가 아니더라도 오랜 시간 동안 종아리 근육을 거의 움직이지 않고 하체가 같은 자세로 계속 있는 경우에는 혈전이 생길 위험이 있으니 주의하자. ==현실은 시궁창== 좌석을 최대한 촘촘하게 때려박는 [[저가항공사]]는 말할 것도 없고 최근 들어서 미국이나 유럽의 풀 서비스 항공사들이 좌석 간 앞뒤 간격을 줄여서 [[이코노미 클래스]] 좌석을 더 많이 때려박으려고 하고 있는데, 이때문에 [[이코노미 클래스]] 증후군 위험이 더 높아질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항공사들로서는 수익성으로는 [[퍼스트 클래스]]나 [[비즈니스 클래스]]의 수익성이 훨씬 낫기 때문에 '이래도 탈거면 타고 싫으면 비즈니스 타' 하는 배짱 장사로 [[이코노미 클래스]]는 점점 찬밥이 되어 가고 있는 분위기인데, 최근에는 [[프리미엄 이코노미 클래스]]까지 등장하다 보니 한 항공기에 3 클래스 혹은 4 클래스까지도 들어가는지라 이코노미에 좌석을 더욱 욱여넣다시피 하고 있어서 건강까지 위협할 판이다. 예를 들어 [[아메리칸항공]]은 새로 주문하는 737 MAX의 [[이코노미 클래스]] 좌석 간격을 29인치로 2 인치나 줄이기로 했다. 항공사 쪽 말로는 "좌석 디자인의 효율적 설계로 승객들은 거의 체감하지 못할 것"이라고 한다.<del>항공사에서 이런 말 할 직위라면 최소 [[비즈니스 클래스]] 타고 다닌다. 이것들부터 먼저 태워서 20시간쯤 돌려야 한다.</del><ref>[http://v.media.daum.net/v/20170504113504501 "세계 최대 아메리칸항공, 이코노미석 좌석 간격 바짝 줄인다"], <SBS>, 2017년 5월 4일.</ref><ref>요즈음은 좌석 등받이의 소재를 바꿔 좀 더 얇게 만들어서 추가 공간을 만드는 추세다.</ref> 유럽 항공사들은 이미 30인치 안팎으로 좌석간 간격을 좁혔다. 한국 항공사들의 좌석 간격이 33인치 정도인 것과 비교하면 정말 좁다. <del>평균 덩치는 미국인들이 더 클 텐데 한국보다 4인치나 간격이 좁으면 대체 어떻게 몸뚱아리를 욱여넣으라고!</del> 앞서 이야기한 것처럼 [[비즈니스 클래스]]라고 해도 위험이 없는 것은 아니므로 몸을, 특히 다리를 자주 움직이는 게 중요하다. 다만 [[이코노미 클래스]]의 비좁은 좌석이 스트레스를 가중시키는 것만큼은 어쩔 수 없다. ==예방하려면== 장시간 움직이지 않고 같은 자세로 앉아 있으면 생길 수 있는 병이므로 일단은 자주 움직이는 것만으로도 예방할 수 있다. * 난기류가 없고 안전한 상태라면 가끔 일어나서 복도를 돌아다닌다. 창가쪽 좌석인 데다가 옆좌석 사람들이 자고 있어서 복도로 나가기가 뭐하다면 <del>한 대 쥐어 박아서 깨운다.</del> 제자리에서 앉았다 일어나든가 다리와 발을 자주 움직여서 종아리 근육의 펌프 기능을 유지시켜 준다. 발가락을 꼼지락거린다든가, 앉은 상태로 종아리를 들었다 놨다 하는 것만으로도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이코노미 클래스]]에서 잠을 청해야 한다면 그 전에 다리를 좀 움직여 주도록 하자. * 남에게 폐를 안끼치는 한에서 스트레칭을 자주 해주자. * [[아스피린]]은 혈전 용해에 도움이 된다. * 의료용 압박 스타킹도 종아리 부분을 전반적으로 압박해서 혈액순환을 돕는다. 일반 스타킹이 아니라 의료용 압박 스타킹이어야 효과가 있다.<ref name="afterrain" /> * 하지만 꽉 끼는 옷은 좋지 않다. 편안하고 품이 좀 넉넉한 옷을 입자. {{각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원본 보기
)
이코노미 클래스 증후군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