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키안티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키안티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Chianti. [[이탈리아]]의 [[와인]]으로 [[토스카나]] 중부 키안티 지역에서 생산되는 [[와인]]이다. 이탈리아의 지역 인증 제도인 DOC를 적용하며, 이 가운데 일부 지역은 더욱 엄격한 키안티 클라시코 DOCG를 적용 받는다. [[이탈리아 와인]]에 입문한다면 아마도 이거 아니면 달달한 거 좋아하는 사람들은 [[모스카토]]로 입문할 것이다. [[이탈리아]]를 대표하는 [[포도]] 품종인 [[산죠베제]]를 주종으로 한다. 이탈리아 총리를 역임했던 바론 베티노 리카솔리가 19세기 중반에 산죠베세 70%, 카나이올로 15%, 말바시아 비앙카 15%로 품종 블렌딩을 정립했다. 이 중 말바시아 비앙카는 이 지역의 백포도 품종이자, 아래에 언급하겠지만 한때 키안티의 평판을 나락으로 떨어뜨린 주범이기도 하다. [[이탈리아]]의 지역 인증 제도인 DOC, DOCG에 따르면 [[산죠베제]]를 80% 이상 써야 한다. 나머지 20%는 카나이올로와 같은 지역 품종을 쓰거나 [[메를로]], [[카베르네 소비뇽]]과 같은 [[보르도]] 품종을 사용하기도 한다. 키안티 중에서도 한정된 지역에서 나오는 [[와인]]은 키안티 클라시코로 인증 받을 수 있으며, 숙성 기간이 38개월을 넘으면 리세르바(riserva)를 붙일 수 있다. [[산죠베제]]를 더 포도알이 크도록 품종 개량한 산죠베세 그로소, 다른 말로 몬탈치노를 사용한 [[와인]]은 [[브루넬로 디 몬탈치노]]로 인증 받을 수 있다. 한때는 품질 관리가 영 안 되었던 때도 있었다. [[이탈리아]] 총리를 역임했던 바론 리카솔리<ref>리카솔리는 지금도 키안티 쪽의 메이저 와인 메이커다.</ref>가 자신이 소유하고 있던 땅에서 만드는 와인을 장기 숙성용과 단기 숙성용으로 구분하면서 최대 30%까지 [[산죠베제]]보다 쉽게 기를 수 있는 일부 [[화이트 와인]] 품종을 혼합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관철하다 보니, 업자들이 '질보다 양'을 우선시해서 [[와인]]이 흐리멍텅해졌기 때문. 여기에 반기를 든 일부 [[와이너리]]가 프랑스 [[보르도 와인|보르도]] 스타일을 받아들이면서 만들어진 게 [[수페르 토스카나]]다. 지금은 규정이 강화되어 [[산죠베제]] 이외 품종의 상한선이 20%로 낮아졌고 백포도 사용도 금지되었다. 키안티 지역 와인 메이커들도 [[수페르 토스카나]]의 역습에 위기의식을 느끼면서 품질 개선 노력을 기울이면서 품질이 많이 올라갔다. [[와인]]의 산미가 강하다. 전형적인 [[이탈리아 와인]] 답게 [[파스타]], [[리소토]]를 비롯한 이탈리아음식들과 궁합이 잘 맞는 편이다. 대체로 무겁지 않은 편이고, 대신 오래 놔 두면 향미가 피크를 친 다음 빠르게 내리막길을 걸어서 산미와 구운 고기 냄새가 주로 남는, [[와인]]으로서는 떨떠름한 잔해가 남는다. 좋은 키안티 클라시코는 숙성력도 강하고 잘 버티는 편이지만 [[수페르 토스카나]] 혹은 [[브루넬로 디 몬탈치노]]에 비하면 뒷심이 부족한 문제는 여전히 남는다. ==관련 문서== * [[브루넬로 디 몬탈치노]] * [[산죠베제]] * [[수페르 토스카나]] {{각주}} [[Category:이탈리아 와인]]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원본 보기
)
키안티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