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펍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펍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파일:Pub the blue posts.jpg|upright 1.5|없음|섬네일|[[영국]] [[런던]]에 있는 펍 <더 블루 포스트>의 카운터.]] Pub. [[영국]]의 대중적인 [[선술집]]으로 퍼블릭 하우스(public house)가 줄어서 펍(pub)이 됐다. [[미국]]에서는 바(bar)라는 말을 더 많이 쓴다. [[호주]], [[뉴질랜드]]와 같은 [[영연방]]권에서도 펍이란 말을 주로 쓴다. [[맥주]]를 위주로 하지만 [[위스키]], [[브랜디]], [[와인]], 간단한 [[칵테일]]도 판다. 여러 가지 음식 메뉴도 있다. [[파일:Pub outside of duke of york.jpg|upright 1.5|없음|섬네일|영국의 대도시 시내 펍에서는 가게 바깥에서 술 마시는 사람들의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종종 [[선술집]]으로 번역하는데, 실제로 옛날 펍에는 의자가 아예 없거나 별로 없는 곳이 많았고, 지금도 [[영국]]의 펍에서는 바 앞에 서서 [[술]]을 마시는 사람들을 많이 볼 수 있다. 사람이 많이 몰리는 대도시 시내의 펍은 가게 바깥에서도 삼삼오오 모여서 한잔 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외국인 상대로 장사하는 [[이태원]]에서는 펍이라는 말을 많이 썼고, 요즈음은 아이리시 펍이니, 브리티시 펍이란 말 쓰는 술집이 여기저기에 늘어나고 있다. 그리고 [[영국]] 스타일에 가까운 펍도 점점 늘어나는 추세. <del>심지어는 [[영국요리|요리]]마저도!</del> 이제는 한국에서도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낯익은 용어가 됐다. [[영국]]에서는 밥도 [[술]]도 [[차]]도 펍에서 해결하는 사람들이 많다. 아침부터 문을 열어서 [[영국]]식의 [[풀 브렉퍼스트]]를 파는 펍도 꽤 많다. 우리나라에 사방에 [[카페]] 천지듯이 [[영국]]은 펍 천지다. 점심시간부터 [[낮술]] 마시는 사람들을 쉽게 볼 수 있다. 학교 쉬는 시간에 선생들이 잠깐 펍에 가서 한잔 하고 온다고 할 정도니 뭐. 시골에도 웬만한 마을에는 펍 하나쯤은 있게 마련이라 마을의 사랑방 구실을 톡톡히 한다. ==종류== ===타이드 하우스=== 타이드 하우스(tied house)란 특정한 [[맥주]] 회사와 계약이 되어 있어서 그 회사의 [[맥주]]만 파는 펍을 뜻한다. <del>쉽게 말해서 노예 펍.</del> 펍 간판에 [[맥주]] 브랜드가 딱 박혀있는 곳이라면 타이드 하우스. 가장 많이 알려진 회사는 [[영국]] 안에서 가장 많은 펍과 계약을 맺고 있는 [[그리니 킹]](Greene King)과 [[런던 프라이드]]로 유명한 풀러스(Fuller's). 하지만 이는 [[캐스크 에일]] 한정. 타이드 하우스 계약을 하는 곳이 주로 [[에일]] 회사이므로 타이드 하우스라도 [[에일]]을 싫어하는 사람을 위해 다른 회사의 [[라거]]는 몇 가지 갖추어 놓고 있다. ===프리 하우스=== 프리 하우스(free house)란 특정 [[맥주]] 회사와 계약을 맺고 있지 않으며 팔고 싶은 회사의 [[맥주]]를 자유롭게 파는 펍을 뜻한다. [[영국]]에서는 [[맥주]] 회사가 대형화되면서 소규모 펍을 상대로 돈 꽂아주면서 타이드 하우스로 끌어들이는 경쟁이 가속화됐는데, 그에 따라서 프리 하우스가 많이 줄어들었다고 한다. 당연히 소규모 회사나 양조장이 위축될 수밖에. 이 때문에 프리 하우스 살리기를 위한 시민운동까지 벌어져서 최근에는 프리 하우스가 좀 늘어났다고 한다. 그리니 킹에 이어 가장 많은 펍을 보유하고 있는 체인인 [[J D 웨더스푼]] 역시 프리 하우스를 표방하고 있다. ==음식== 펍에서는 식사 또는 [[안주]]로 먹을 수 있는 음식들을 판매한다. [[영국]]에서는 저렴하고 푸짐하게 <del>[[정크푸드]]를</del> 먹을 수 있는 곳이 펍이다. 펍에서 파는 음식들은 물론 제대로 된 [[레스토랑]]의 음식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간편한 조리를 한다. 일단 튀기는 게 많은 편이고, [[스테이크]]도 많이 판다. [[피시 앤드 칩스]] 역시 펍의 인기 품목. 요즈음은 [[커리]] 같은 아시아 음식을 내놓는 펍들도 적지 않다. <del>하긴 영국인들은 [[커리]]가 지들 음식이라고 우기거든.</del> 제일 싸고 양 많은 [[안주]]는 뭐니뭐니해도 [[감자튀김]](칩스). 펍마다 많은 차이가 있지만 어느 지역에서든 흔하게 볼 수 있는 것들은 다음과 같다. * [[피시 앤드 칩스]] * [[뱅거 앤드 매쉬]]: 소시지 앤드 매쉬라고도 한다. * [[스코치 에그]] * [[감자튀김]] * [[어니언링]] 아침부터 문을 여는 펍에서는 [[잉글리시 브렉퍼스트]] 같은 아침 메뉴도 판다. 그렇다고 [[술]]을 굳이 달라면 안 파는 것도 아니니 아침 식사를 [[커피]]나 차 대신 [[에일]]과 함께 해 보는 모험도 가능하다. 실제로 큰 역이나 공항에 있는 펍에서는 아침식사를 [[맥주]]와 함께 먹어도 그닥 이상하지 않다. [[파일:English breakfast with guiness.jpg|upright 1.5|섬네일|없음|런던 유스턴역에 있는 [[펍]] <The Signal Box>는 오전 8시부터 문을 여는데 [[잉글리시 브렉퍼스트]]도 팔고 [[맥주]]도 판다. 철도역 안에 있다 보니 가능한 일인 듯.]] ==이름== [[파일:Shepherds tavern sign.jpg|upright 1|섬네일|없음|[[영국]] [[런던]]에 있는 펍 Shepherds Tavern의 간판.]] [[영국]]의 펍 중에는 그림이나 초상화를 간판에 그려 넣은 곳이 많은데 옛날에는 문맹들이 많다 보니까 그림으로 쉽게 가게를 알아볼 수 있게 하기 위해서라고 한다. ==그밖에== 펍은 기본이 선불이다. 주문은 바에 가서 직접 해야 하고 주문할 때마다 돈을 내야 한다. 술은 곧바로 받아오고 음식은 테이블로 가져다 준다. 우리나라의 펍은 보통 후불제지만 [[이태원]]에 있는 펍 중에는 이렇게 선불제인 곳이 많다. 현금이 없으면 그때그때 카드 결제 하거나 신용카드를 맡겨놓고 나중에 한꺼번에 결제하든가 해야 한다. 팁은 필요 없다. 최근 [[영국]]의 펍들 상당수는 체인화 되어 있다. [[J D 웨더스푼]]이나 그레이트 브리티시 펍 푸드와 같은 곳들이 이에 해당한다. 그런데 흔히 생각하는 체인점과는 많이 달라서 자유도가 상당히 높다. 메뉴를 보기 전에는 체인점이라는 걸 쉽게 알기 어려울 정도. 음식은 공통 메뉴를 사용하므로 비슷비슷한데 [[술]]은 가게에 따라 제각각 차이가 꽤 나는 편으로, 체인점이긴 하지만 타이드 하우스는 아니다. 대중들에게 잘 알려진 유명한 [[맥주]] 몇 가지와 지역의 소규모 양조장에서 나오는 [[캐스크 에일]] 여러 가지를 갖다 놓는다. [[파일:Pub melbourne lion hotel.jpg|upright 1.5|섬네일|없음|[[호주]] [[멜버른]]의 펍 라이온호텔.]] [[호주]]에서는 펍에 [[호텔]]이라는 말을 많이 쓴다. 이름은 '무슨무슨 호텔'이라고 되어 있는데 숙박 기능은 없고 그냥 펍인 곳이 많다. 물론 숙박 시설도 [[호텔]]이라는 말을 쓰니까 처음에는 헷갈릴 수 있다. 익숙해지면 분위기 보면 안다. 이렇게 '호텔' 이름이 붙어 있는 펍은 실제로 옛날에는 호텔 영업도 했는데, 호텔은 접었지만 호텔과 함께 가지고 있던 주류 판매 허가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펍 영업은 했고, 이 허가를 유지하기 위해서 상호도 그대로 유지한 것. [[호주]]는 예나 지금이나 주류 판매 허가 조건이 까다롭기 때문에 기존 허가를 유지하는 게 여러 모로 낫다. [[중국]]에는 거꾸로 [[주점]](酒店)이라는 말을 [[호텔]]이란 뜻으로 널리 쓰는 걸 보면 역시 먹고 마시고 자는 건 밀접한 관계가 있다. <del>노리는 상대방을 [[술]]로 떡실신시켜서 [[호텔]]로 데리고 가는 짓거리는 동서양 공통인 건가.</del> 펍 문화가 발달한 나라에 있다면 어느 지역을 갔을 때 그 동네 펍을 순회하는 [[펍 크롤]]을 해 보자. 자세한 것은 해당 항목 참조.
펍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