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한펜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한펜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はんぺん(半片・半弁・半平)。 [[어묵]]의 일종. [[명태]]<ref>[[일본]]에서는 [[명란젓]] 말고 그냥 [[명태]]는 거의 안 먹기 때문에 [[어묵]] 재료로 많이 쓰인다.</ref>를 비롯한 생선살에 마, [[소금]], 조미료를 섞어<ref>대략 생선살 4에 마 1 비율로 섞는다.</ref>서 반죽을 만든 다음 나무틀에 채워서 사각형이나 반원형으로 모양을 잡고 찌거나 삶아서 만든다. [[명태]] 말고도 [[상어]]도 쓰이지만 신선한 재료를 구하기가 점점 어려워져서 [[상어]]를 쓴 한펜은 고급품 대접을 받는다고. 마를 사용하면 안에 공기거품이 많이 생기기 때문에 한펜 특유의 푹신한 식감이 만들어진다. 이름의 유래는 에도시대에 [[시즈오카현]]에서 이 음식을 고안한 사람의 이름이 한페이(半平)였는데, 세월이 지나면서 한펜으로 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반달 모양 뚜껑에 반죽을 채워서 모양을 잡은 데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고<ref>한펜의 한자 표기인 '半片'은 '반쪽'이라는 뜻이다.</ref>, 그밖에도 여러 가지 설이 있다. 지역에 따라 재료나 가공 방법에 상당한 차이가 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펜의 원조라 할 수 있는 [[시즈오카현]]에서는 [[고등어]], [[전갱이]], [[정어리]] 같은 등푸른 생선을 껍질째 갈아서 쓰기 때문에 색깔이 칙칙한 한펜을 볼 수 있다. 어두운 색깔 때문에 검은색을 뜻하는 쿠로(黒)를 붙여서 쿠로한펜(黒はんぺん)으로 구별해서 부르기도 한다.<ref>[[시즈오카현]]은 이것 말고도 진한 [[간장]]을 써서 [[오뎅]]의 색깔이 진한 쿠로오뎅이 명물이다. 물론 쿠로오뎅에 [[시즈오카]]식 한펜은 필수 요소.</ref> 맛도 흰살 생선을 쓴 한펜과는 차이가 나서 담백한 맛은 덜하고 기름진 감칠맛이 강하다. 등푸른 생선 특유의 약간 비린 듯한 느낌까지도 있다. [[파일:Nama hanpen.jpg|upright 1.5|섬네일|없음|생한펜. 오른쪽에 와사비를 넣는 오로시 소스가 있다.]] [[오뎅]] 말고도 [[튀김옷]]과 [[빵가루]]를 입혀서 후라이로 해먹기도 하고, 심지어 [[시즈오카]] 쪽에서는 생한펜도 먹는다. 물론 한번 삶거나 쪄낸 것은 아니므로 [[회]]처럼 날생선을 먹는 것은 아니지만 [[오뎅]]처럼 다시 익히거나 하지 않고 차가운 상태에서 와사비를 갈아 넣은 오로시 소스를 찍어서 먹는다. 식감은 우리가 아는 [[어묵]]과는 많이 다른 편이다. 푹신한 느낌이 강한데 다른 한편으로는 푸석한 느낌도 있다. 쫄깃하게 씹히는 심각도 있지만 스펀지 같은 식감도 있다. 튀기지 않고 삶거나 쪄서 만들기 때문에 기름기가 적고 더 담백하다. [[일본]] [[오뎅]]에는 필수요소일 정도로 인기가 많지만 우리나라에서는 호불호가 갈리는 식감이고 보기가 쉽지 않다. {{각주}} [[Category:일본음식]]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원본 보기
)
한펜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