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AOC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AOC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Appellation d'Originale Contrôlée 통제된 원산 표시. [[프랑스]]가 사용하고 있는 생산물의 지역 인증 표시제다. 예를 들어 [[샴페인]]이라는 이름은 AOC를 적용 받고 있으므로 프랑스 샹파뉴 지역에서 생산되는 [[스파클링 와인]]만 이 이름을 쓸 수 있다. 원래 샴페인이라는 말 자체가 샹파뉴(Champagne)를 영어식으로 읽은 것. 아마 이 말을 알고 있다면 십줌팔구 [[와인]] 때문일 것이다. 프랑스란 나라 이름 말고 지역 이름이 없는 아주 싸구려급이 아니라면 어지간한 [[프랑스 와인]] 라벨에는 Appellation d'Originale Contrôlée라는 문구가 꼭 있기 때문이다. 다만 이는 프랑스 법령에 따른 것으로, 그 바깥으로 나가면 외교나 무역에 관한 합의를 필요로 한다. 이와 같은 상표권을 세계에서 좀 더 간편하게 인정 받을 수 있도록 한 시스템이 마드리드 의정서(Madrid system)로, 한국도 2003년에 가입하면서 프랑스 AOC를 공식적으로 존중하게 되었다. 단지 지역만으로 AOC 인증을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품질 기준도 만족해야 한다. 예를 들어 순창고추장이라는 이름으로 나오는 고추장들이 있는데 그 중에는 전라북도 순창군에서 정말 전통 방식으로 제대로 만드는 [[고추장]]도 있지만 그저 만드는 곳이 순창에 있다뿐이지 공장식 대량생산되는 [[고추장]]도 있다. 이 중에는 중국산 [[고춧가루]]나 고추양념으로 만드는 [[고추장]]도 있다. AOC는 제품의 생산지만이 아니라 원료의 생산지, 제조방법까지 엄격하게 정해서 지역의 이름이 곧 일정 수준 이상의 품질을 보장하도록 한다. 물론 같은 지역 AOC 안에서도 품질이나 가격은 천차만별이지만 적어도 하한선은 정해 놓는 것. [[와인]]에 쓰는 인증 제도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코냑]]이나 [[아르마냑]] 같이 다른 종류의 [[술]]에도 붙을 수 있으며, [[치즈]], [[버터]], [[고기]]를 비롯한 갖가지 농축산물에도 AOC가 붙을 수 있다. AOC에도 특급을 뜻하는 [[그랑 크뤼]]나 1급을 뜻하는 [[프리미에 크뤼]] 같은 등급이나 체계가 있긴 한데 통일되어 있지 않고 지역이나 품종에 따라서 천차만별이다. 예를 들어 [[부르고뉴]] 와인은 아주 작은 지역 단위로 [[그랑 크뤼]]가 지정되지만 보르도 안에 있는 생테밀리옹 지역은 [[그랑 크뤼]]가 거의 남발 수준이다. 그러니까 두 개 서로 다른 지역의 [[그랑 크뤼]] 제품을 단순히 같은 급이라고 보면 심히 곤란하다. AOC보다 낮은 개념의 인증으로는 좀 더 넓은 지역 단위로 퉁치는 뱅드페이(vins de pays)가 있다. 실제로 우리가 볼 수 있는 것은 대부분 Pays d'Oc으로, 랑그독-루시용 지역의 와인이다. 2009년에 유럽연합 차원에서 IGP(Indication Géographique Protégée)로 바꾸긴 했지만 여전히 프랑스 와인 업계는 뱅드페이를 쓰고 있다. 뱅드페이보다 더 넓은 개념은 그냥 프랑스에서 만들었다는 인증은 뱅드타블르(vin de table), 혹은 뱅드프랑스(vin de France)다.
AOC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