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크푸르트 암마인공항: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위키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Flughafen Frankfurt am Main.
Flughafen Frankfurt am Main.


IATA 식별코드는 FRA. 당연히 Frankfurt의 앞 세 글자에서 따왔다. 보통은 그냥 [[프랑크푸르트공항]]이라고 하지만 정확히는 프랑크푸르트공항은 두 곳에 있다. 하나는 프랑크푸르트 한-공항이라는 곳인데 아예 다른 곳에 있다. 이는 [[독일]]에 [[프랑크푸르트]]라는 이름을 가진 도시가 두 개 있기 때문. 우리가 잘 아는 프랑크푸르트는 [[독일]] 서부 헤센 주에 있고, 또 하나의 프랑크푸르트는 동쪽 국경 옆 브란덴부르크 주에 있다. 즉, 후자의 프랑크푸르트는 과거 동독 지역이었다. 여기는 규모로나 존재감으로나 훨씬 작아서 그냥 '[[프랑크푸르트]]'라고 하면 헤센 주에 있는 것을 뜻한다. 둘을 구별해서 부를 때에는 헤센 주의 도시는 프랑크푸르트 암마인(Frankfurt am Main)<ref>'마인 강변의 [[프랑크푸르트]]'라는 뜻이다.</ref>, 브란덴부르크 주에 있는 건  '프랑크푸르트 안 데어 오드르(Frankfurt an der Oder)'<ref>'오데르 강변 프랑크푸르트'라는 뜻.</ref> 또는 '프랑크프푸르트 (오데르)(Frankfurt (Oder))'라고 한다.
IATA 식별코드는 FRA. 당연히 Frankfurt의 앞 세 글자에서 따왔다. 보통은 그냥 [[프랑크푸르트공항]]이라고 하지만 정확히는 프랑크푸르트공항은 두 곳에 있다. 하나는 프랑크푸르트 한-공항이라는 곳인데 아예 다른 곳에 있다. 이는 [[독일]]에 [[프랑크푸르트]]라는 이름을 가진 도시가 두 개 있기 때문. 우리가 잘 아는 [[프랑크푸르트]]는 [[독일]] 서부 헤센 주에 있고, 또 하나의 [[프랑크푸르트]]는 동쪽 국경 옆 브란덴부르크 주에 있다. 즉, 후자의 [[프랑크푸르트]]는 과거 동독 지역이었다. 여기는 규모로나 존재감으로나 훨씬 작아서 그냥 '[[프랑크푸르트]]'라고 하면 헤센 주에 있는 것을 뜻한다. 둘을 구별해서 부를 때에는 헤센 주의 도시는 프랑크푸르트 암마인(Frankfurt am Main)<ref>'마인 강변의 [[프랑크푸르트]]'라는 뜻이다.</ref>, 브란덴부르크 주에 있는 건  '프랑크푸르트 안 데어 오드르(Frankfurt an der Oder)'<ref>'오데르 강변 프랑크푸르트'라는 뜻.</ref> 또는 '프랑크프푸르트 (오데르)(Frankfurt (Oder))'라고 한다.


[[프랑크푸르트]]는 물론이고 [[독일]], 더 나아가는 [[유럽]] 항공 교통의 관문이라고 할 정도로 일찌감치 흥한 공항이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모두 매일 운항하고 있다. [[아시아나항공]]은 [[A380]]까지 투입하고 있으며, [[대한항공]]도 [[747]] 아니면 [[A380]]을 넣을 정도로 수요가 많고, 여기에 [[루프트한자]]도 계절 수요에 따라서 [[A340]], [[747-8i]], [[A380]]을 투입하고 있을 정도다. [[프랑크푸르트]]가 [[유럽]]의 금융 중심지 가운데 하나인데다가 한국의 [[유럽]] 현지 법인 가운데 상당수가 [[프랑크푸르트]]에 이곳에 진을 치고 있고, 직항이 없는 다른 [[유럽]] 도시로 환승하기에도 괜찮은 위치라서 인기가 좋다. 특히 과거 분단 국가였던 [[독일]]답게 서유럽과 동유럽의 중간쯤에 있는지라 [[유럽]] 어느 도시로 가든 너무 치우쳐 있지 않은 대략 좋은 자리에 있는 게 장점. 2018년 기준으로 보면 양대 국적사가 매일 운항하는 [[유럽]] 도시는 [[런던]]과 [[로마]], 그리고 [[프랑크푸르트]] 뿐이다.<ref>[[프랑스]] [[파리]]도 양대 국적사가 들어가고 있지만 [[아시아나항공]]은 주 5회만 들어간다.</ref>
[[프랑크푸르트]]는 물론이고 [[독일]], 더 나아가는 [[유럽]] 항공 교통의 관문이라고 할 정도로 일찌감치 흥한 공항이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모두 매일 운항하고 있다. [[아시아나항공]]은 [[A380]]까지 투입하고 있으며, [[대한항공]]도 [[747]] 아니면 [[A380]]을 넣을 정도로 수요가 많고, 여기에 [[루프트한자]]도 계절 수요에 따라서 [[A340]], [[747-8i]], [[A380]]을 투입하고 있을 정도다. [[프랑크푸르트]]가 [[유럽]]의 금융 중심지 가운데 하나인데다가 한국의 [[유럽]] 현지 법인 가운데 상당수가 [[프랑크푸르트]]에 이곳에 진을 치고 있고, 직항이 없는 다른 [[유럽]] 도시로 환승하기에도 괜찮은 위치라서 인기가 좋다. 특히 과거 분단 국가였던 [[독일]]답게 서유럽과 동유럽의 중간쯤에 있는지라 [[유럽]] 어느 도시로 가든 너무 치우쳐 있지 않은 대략 좋은 자리에 있는 게 장점. 2018년 기준으로 보면 양대 국적사가 매일 운항하는 [[유럽]] 도시는 [[런던]]과 [[로마]], 그리고 [[프랑크푸르트]] 뿐이다.<ref>[[프랑스]] [[파리]]도 양대 국적사가 들어가고 있지만 [[아시아나항공]]은 주 5회만 들어간다.</ref>


이착륙 금지 시간이 있다. 원래는 24시간 가능했는데 인근 주민들이 소송까지 낸 끝에 법원으로부터 판결을 받아낸 것. [[독일]]의 주요 공항인 [[뮌헨공항]]이나 [[뒤셀도르프공항]]도 이착륙 금지가 있어서, 프랑크푸르트까지 24시간 운영이 불가능해지면서 독일의 항공물류 경쟁력을 떨어뜨린다는 비판 의견도 있다.
이착륙 금지 시간이 있다. 원래는 24시간 가능했는데 인근 주민들이 소송까지 낸 끝에 법원으로부터 판결을 받아낸 것. [[독일]]의 주요 공항인 [[뮌헨공항]]이나 [[뒤셀도르프공항]]도 이착륙 금지가 있어서, [[프랑크푸르트]]까지 24시간 운영이 불가능해지면서 독일의 항공물류 경쟁력을 떨어뜨린다는 비판 의견도 있다.


==터미널==
==터미널==


여객 터미널은 1, 2 두 개가 있으며, 장거리든 근거리든 철도역은 모두 터미널 1 쪽에 있다. 당연히 이런 좋은 접근성을 가진 터미널을 차지한 곳은 [[독일]]의 [[플래그십 캐리어]]인 [[루프트한자]]와 자회사, 그리고 그 친구들인 [[스타얼라이언스]] 항공사들. 즉 [[아시아나항공]]도 터미널 1로 들어온다. 2 터미널은 [[스카이팀]] 및 [[원월드]] 항공사들이 들어와 있으며 [[대한항공]]도 이쪽이다. 두 터미널 사이에는 셔틀버스가 다니고 있는데 10분 넘게 걸릴 정도로 거리가 좀 있다.
여객 터미널은 1, 2 두 개가 있으며, 장거리든 근거리든 철도역은 모두 터미널 1 쪽에 있다. 당연히 이런 좋은 접근성을 가진 터미널을 차지한 곳은 [[독일]]의 [[플래그 캐리어]]인 [[루프트한자]]와 자회사, 그리고 그 친구들인 [[스타얼라이언스]] 항공사들. 즉 [[아시아나항공]]도 터미널 1로 들어온다. 2 터미널은 [[스카이팀]] 및 [[원월드]] 항공사들이 들어와 있으며 [[대한항공]]도 이쪽이다. 두 터미널 사이에는 셔틀버스가 다니고 있는데 10분 넘게 걸릴 정도로 거리가 좀 있다.


터미널 1은 다시 홀 A~Z로 나뉜다. [[솅겐조약]] 회원국 바깥으로 나가는 항공편은 홀 B에 몰려 있으며 출국심사장도 자리 잡고 있다. [[인천공항|인천]]편도 물론 이쪽이다.
터미널 1은 다시 홀 A~Z로 나뉜다. [[솅겐조약]] 회원국 바깥으로 나가는 항공편은 홀 B에 몰려 있으며 출국심사장도 자리 잡고 있다. [[인천공항|인천]]편도 물론 이쪽이다.
17번째 줄: 17번째 줄:
==교통==
==교통==


철도교통과 연계가 잘 되어 있다. 1 터미널 지하에 공항역이 있는데 [[ICE]]를 비롯한 [[고속철도]]와 장거리 열차가 들어오는 역과 근거리 [[도시철도]]가 들어오는 역을 분리해 놓았다. 공항에서 프랑크푸르트 중앙역까지는 20분 정도면 들어가며, 중간에 한 번밖에 안 서고 좌석도 지정석은 아니지만 롱 시트다. 2018년 여름 기준으로 4.90 유로이므로 바가지 요금이 넘쳐나는 서양의 [[공항철도]]와 비교하면 비싼 것도 아니다. 아예 1일권을 사면 9.55 유로이므로 왕복만 해도 편도 두 번 끊는 것보다 약간 저렴하니까 그냥 1일권을 사자. ICE로 공항에서 [[뮌헨]]이나 [[슈트트가르트]]와 같은 주요 도시로 바로 나갈 수 있고, 프랑크푸르트 중앙역으로 가면 국제열차를 타고 [[프랑스]], [[스위스]]를 비롯한 다른 [[유럽]] 국가로 나갈 수도 있다. 사실 [[프랑크푸르트]] 자체는 관광객들에게는 썩 매력적인 곳은 아니라서 보통은 여기를 기점으로 [[독일]]이나 인근 국가의 다른 관광지로 가는 편이다.
철도교통과 연계가 잘 되어 있다. 1 터미널 지하에 공항역이 있는데 [[ICE]]를 비롯한 [[고속철도]]와 장거리 열차가 들어오는 역과 근거리 [[도시철도]]가 들어오는 역을 분리해 놓았다. 공항에서 프랑크푸르트 중앙역까지는 20분 정도면 들어가며, 중간에 한 번밖에 안 서고 좌석도 지정석은 아니지만 롱 시트다. 2018년 여름 기준으로 4.90 유로이므로 바가지 요금이 넘쳐나는 서양의 [[공항철도]]와 비교하면 비싼 것도 아니다. 아예 1일권을 사면 9.55 유로이므로 왕복만 해도 편도 두 번 끊는 것보다 약간 저렴하니까 그냥 1일권을 사자. ICE로 공항에서 [[뮌헨]]이나 [[슈투트가르트]]와 같은 주요 도시로 바로 나갈 수 있고, 프랑크푸르트 중앙역으로 가면 국제열차를 타고 [[프랑스]], [[스위스]]를 비롯한 다른 [[유럽]] 국가로 나갈 수도 있다. 사실 [[프랑크푸르트]] 자체는 관광객들에게는 썩 매력적인 곳은 아니라서 보통은 여기를 기점으로 [[독일]]이나 인근 국가의 다른 관광지로 가는 편이다.


{{각주}}
{{각주}}

2020년 11월 26일 (목) 13:34 기준 최신판

Flughafen Frankfurt am Main.

IATA 식별코드는 FRA. 당연히 Frankfurt의 앞 세 글자에서 따왔다. 보통은 그냥 프랑크푸르트공항이라고 하지만 정확히는 프랑크푸르트공항은 두 곳에 있다. 하나는 프랑크푸르트 한-공항이라는 곳인데 아예 다른 곳에 있다. 이는 독일프랑크푸르트라는 이름을 가진 도시가 두 개 있기 때문. 우리가 잘 아는 프랑크푸르트독일 서부 헤센 주에 있고, 또 하나의 프랑크푸르트는 동쪽 국경 옆 브란덴부르크 주에 있다. 즉, 후자의 프랑크푸르트는 과거 동독 지역이었다. 여기는 규모로나 존재감으로나 훨씬 작아서 그냥 '프랑크푸르트'라고 하면 헤센 주에 있는 것을 뜻한다. 둘을 구별해서 부를 때에는 헤센 주의 도시는 프랑크푸르트 암마인(Frankfurt am Main)[1], 브란덴부르크 주에 있는 건 '프랑크푸르트 안 데어 오드르(Frankfurt an der Oder)'[2] 또는 '프랑크프푸르트 (오데르)(Frankfurt (Oder))'라고 한다.

프랑크푸르트는 물론이고 독일, 더 나아가는 유럽 항공 교통의 관문이라고 할 정도로 일찌감치 흥한 공항이다.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모두 매일 운항하고 있다. 아시아나항공A380까지 투입하고 있으며, 대한항공747 아니면 A380을 넣을 정도로 수요가 많고, 여기에 루프트한자도 계절 수요에 따라서 A340, 747-8i, A380을 투입하고 있을 정도다. 프랑크푸르트유럽의 금융 중심지 가운데 하나인데다가 한국의 유럽 현지 법인 가운데 상당수가 프랑크푸르트에 이곳에 진을 치고 있고, 직항이 없는 다른 유럽 도시로 환승하기에도 괜찮은 위치라서 인기가 좋다. 특히 과거 분단 국가였던 독일답게 서유럽과 동유럽의 중간쯤에 있는지라 유럽 어느 도시로 가든 너무 치우쳐 있지 않은 대략 좋은 자리에 있는 게 장점. 2018년 기준으로 보면 양대 국적사가 매일 운항하는 유럽 도시는 런던로마, 그리고 프랑크푸르트 뿐이다.[3]

이착륙 금지 시간이 있다. 원래는 24시간 가능했는데 인근 주민들이 소송까지 낸 끝에 법원으로부터 판결을 받아낸 것. 독일의 주요 공항인 뮌헨공항이나 뒤셀도르프공항도 이착륙 금지가 있어서, 프랑크푸르트까지 24시간 운영이 불가능해지면서 독일의 항공물류 경쟁력을 떨어뜨린다는 비판 의견도 있다.

터미널

여객 터미널은 1, 2 두 개가 있으며, 장거리든 근거리든 철도역은 모두 터미널 1 쪽에 있다. 당연히 이런 좋은 접근성을 가진 터미널을 차지한 곳은 독일플래그 캐리어루프트한자와 자회사, 그리고 그 친구들인 스타얼라이언스 항공사들. 즉 아시아나항공도 터미널 1로 들어온다. 2 터미널은 스카이팀원월드 항공사들이 들어와 있으며 대한항공도 이쪽이다. 두 터미널 사이에는 셔틀버스가 다니고 있는데 10분 넘게 걸릴 정도로 거리가 좀 있다.

터미널 1은 다시 홀 A~Z로 나뉜다. 솅겐조약 회원국 바깥으로 나가는 항공편은 홀 B에 몰려 있으며 출국심사장도 자리 잡고 있다. 인천편도 물론 이쪽이다.

이곳을 경유해서 다른 곳으로 가는 승객들 중에 솅겐조약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은 당황스러운 일을 겪을 수도 있다. 다음 비행기 탈 곳을 따라 가는데 뭔가 입국심사 비스무리한 것을 받고 여권에 도장을 받은 다음, 안내하는 대로 따라가다 보면 체크인 카운터가 덜렁 나오고 심지어 공항 밖으로 나가는 문까지 보이는 황당한 일을 겪을 수 있다! 다음 목적지가 솅겐조약 가입국인 경우에 겪을 수 있는 일로, 이 조약 가입국간을 여행할 때에는 일종의 국내 여행을 하는 것처럼 별도의 입국심사를 받지 않기 때문이다. 자세한 것은 솅겐조약 항목을 참조하고, 다른 솅겐조약 가입국으로 가는 경우에는 별도 환승통로가 없이 일단 입국장으로 나온 다음 다시 국내선에 준하는 탑승절차를 밟는 구조로 되어 있다. 국제선 환승을 해야 하는데 바깥으로 나와 버렸네? 하고 당황할 수 있는데 그냥 어느 게이트로 가야 하는지 잘 보고 따라가면 마치 국내선 항공편을 타듯이 다시 보안검색을 받은 다음 탑승 게이트로 바로 갈 수 있다.

교통

철도교통과 연계가 잘 되어 있다. 1 터미널 지하에 공항역이 있는데 ICE를 비롯한 고속철도와 장거리 열차가 들어오는 역과 근거리 도시철도가 들어오는 역을 분리해 놓았다. 공항에서 프랑크푸르트 중앙역까지는 20분 정도면 들어가며, 중간에 한 번밖에 안 서고 좌석도 지정석은 아니지만 롱 시트다. 2018년 여름 기준으로 4.90 유로이므로 바가지 요금이 넘쳐나는 서양의 공항철도와 비교하면 비싼 것도 아니다. 아예 1일권을 사면 9.55 유로이므로 왕복만 해도 편도 두 번 끊는 것보다 약간 저렴하니까 그냥 1일권을 사자. ICE로 공항에서 뮌헨이나 슈투트가르트와 같은 주요 도시로 바로 나갈 수 있고, 프랑크푸르트 중앙역으로 가면 국제열차를 타고 프랑스, 스위스를 비롯한 다른 유럽 국가로 나갈 수도 있다. 사실 프랑크푸르트 자체는 관광객들에게는 썩 매력적인 곳은 아니라서 보통은 여기를 기점으로 독일이나 인근 국가의 다른 관광지로 가는 편이다.

각주

  1. '마인 강변의 프랑크푸르트'라는 뜻이다.
  2. '오데르 강변 프랑크푸르트'라는 뜻.
  3. 프랑스 파리도 양대 국적사가 들어가고 있지만 아시아나항공은 주 5회만 들어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