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르고뉴 와인: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위키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Domaine meix foulot mercurey.jpg|upright 1|섬네일|없음|부르고뉴 메르퀴레 지역의 [[피노 누와]] [[와인]]인 도멩 메이 풀로 .]]
[[파일:Domaine meix foulot mercurey.jpg|upright 1|섬네일|없음|부르고뉴 메르퀴레 지역의 [[피노 누와르]] [[와인]]인 도멩 메이 풀로 .]]


Vins de Bourgogne.
Vins de Bourgogne.
7번째 줄: 7번째 줄:
이름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프랑스 서부의 부르고뉴 지역에서 나오는 [[와인]]을 뜻하며 프랑스의 지리적표시제인 [[AOC]] 적용 대상이다. 프랑스 동부의 [[보르도 와인]]과 함께 프랑스 와인의 쌍벽을 이루는 [[와인]]이라고 할 수 있으며, 둘 사이는 같은 프랑스 와인이라고 하더라도 정말정말 다르다. [[레드 와인]] [[화이트 와인]] 모두 보르도와 부르고뉴는 정말 정말 다르다.
이름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프랑스 서부의 부르고뉴 지역에서 나오는 [[와인]]을 뜻하며 프랑스의 지리적표시제인 [[AOC]] 적용 대상이다. 프랑스 동부의 [[보르도 와인]]과 함께 프랑스 와인의 쌍벽을 이루는 [[와인]]이라고 할 수 있으며, 둘 사이는 같은 프랑스 와인이라고 하더라도 정말정말 다르다. [[레드 와인]] [[화이트 와인]] 모두 보르도와 부르고뉴는 정말 정말 다르다.


일단 부르고뉴 와인이라고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레드 와인을 만드는 품종인 [[피노 누와]]. [[가메]]를 혼합할 수 있는 부르고뉴-파스-투-그랭을 제외하고는 [[레드 와인]]은 [[피노 누와]] 100%로 만든 와인만이 부르고뉴 와인으로서 [[AOC]] 자격을 가질 수 있다. [[피노 누와]] 와인의 처음이자 끝이라고 할 수 있다. 화이트 와인은 [[샤르도네]]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알리고테 품종도 있지만 이는 부르고뉴 알리고테라는 AOC가 따로 있으며, 그밖에는 [[샤르도네]] 100%다. 사실 [[샤르도네]]는 좀 개나 소나 만드는 경향이 있지만 부르고뉴의 [[샤르도네]]는 다른 지역과는 구분되는 뚜렷한 특징이 있다. 특히 [[화이트 와인]]인데도 고급 와인은 오크통 숙성을 거쳐서 특유의 나무향과 기름기가 잘잘 흐르는 윤기 나는 때깔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다른 지역의 샤르도네와는 비교도 안 될 정도로 독특하고 복잡한 향미를 자랑한다. 가격도 정말로 비싸다. 도멩 [[로마네 콩티]]에서 만드는 [[몽라쉐]] 와인은 같은 회사가 만드는 그 저명한 [[로마네 콩티]]의 가격마저도 넘어설 때가 있다고 하니...
일단 부르고뉴 와인이라고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레드 와인]]을 만드는 품종인 [[피노 누와르]]. [[가메]]를 혼합할 수 있는 부르고뉴-파스-투-그랭을 제외하고는 [[레드 와인]]은 [[피노 누와르]] 100%로 만든 와인만이 부르고뉴 와인으로서 [[AOC]] 자격을 가질 수 있다. [[피노 누와르]] 와인의 처음이자 끝이라고 할 수 있다. 화이트 와인은 [[샤르도네]]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알리고테 품종도 있지만 이는 부르고뉴 알리고테라는 AOC가 따로 있으며, 그밖에는 [[샤르도네]] 100%다. 사실 [[샤르도네]]는 좀 개나 소나 만드는 경향이 있지만 부르고뉴의 [[샤르도네]]는 다른 지역과는 구분되는 뚜렷한 특징이 있다. 특히 [[화이트 와인]]인데도 고급 와인은 오크통 숙성을 거쳐서 특유의 나무향과 기름기가 잘잘 흐르는 윤기 나는 때깔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다른 지역의 샤르도네와는 비교도 안 될 정도로 독특하고 복잡한 향미를 자랑한다. 가격도 정말로 비싸다. 도멩 [[로마네 콩티]]에서 만드는 [[몽라쉐]] 와인은 같은 회사가 만드는 그 저명한 [[로마네 콩티]]의 가격마저도 넘어설 때가 있다고 하니...


전 세계 와인의 최고봉 가운데 하나로 꼽히는 [[로마네 콩티]]를 비롯한 초고가 [[와인]]이 즐비하다. [[보르도 와인]]은 지역이 넓지만 부르고뉴 와인은 [[코트도르]](Côte-d'Or)라고 부르는, 남북으로 60 km 정도에 불과하며 폭은 몇백 미터에 불과한 작은 언덕 지역이 본진으로 그야말로 울타리 하나를 두고 고급 [[와인]] 산지와 저렴한 [[와인]] 산지가 갈리는 촘촘한 지역 분할을 특징으로 한다. 보르도에 비하면 부르고뉴는 포도 농사를 짓는 전체 면적도 크게 적은데, 그것도 모자라서 그 땅을 거의 조각조각 자르다시피 나눠서 [[AOC]]를 덕지덕지 붙이고 있고, 또 그 안에서도 온갖 복잡한 소유관계로 채썰다시피 나뉘어 있다.<ref>예를 들어 부르고뉴에 포도밭을 가진 집안끼리 결혼을 하면 신부가 지참금 삼아서 땅을 일부 떼서 소유권을 넘기는 일이 많았다.</ref> 아예 밭 하나하나 단위로 [[AOC]]가 붙는 곳들도 여러 곳 있다. 이른바 [[모노폴]] AOC라는 이름이 붙는 와인들이 부르고뉴에서는 줄줄이 나온다. 다만 모노폴은 [[AOC]]에 규정은 되어 있지만 등급과 관계는 없다. 모노폴이라고 해도 [[그랑 크뤼]]일 수도 있고 그냥 지역 [[AOC]]일 수도 있다.
전 세계 와인의 최고봉 가운데 하나로 꼽히는 [[로마네 콩티]]를 비롯한 초고가 [[와인]]이 즐비하다. [[보르도 와인]]은 지역이 넓지만 부르고뉴 와인은 [[코트도르]](Côte-d'Or)라고 부르는, 남북으로 60 km 정도에 불과하며 폭은 몇백 미터에 불과한 작은 언덕 지역이 본진으로 그야말로 울타리 하나를 두고 고급 [[와인]] 산지와 저렴한 [[와인]] 산지가 갈리는 촘촘한 지역 분할을 특징으로 한다. 보르도에 비하면 부르고뉴는 포도 농사를 짓는 전체 면적도 크게 적은데, 그것도 모자라서 그 땅을 거의 조각조각 자르다시피 나눠서 [[AOC]]를 덕지덕지 붙이고 있고, 또 그 안에서도 온갖 복잡한 소유관계로 채썰다시피 나뉘어 있다.<ref>예를 들어 부르고뉴에 포도밭을 가진 집안끼리 결혼을 하면 신부가 지참금 삼아서 땅을 일부 떼서 소유권을 넘기는 일이 많았다.</ref> 아예 밭 하나하나 단위로 [[AOC]]가 붙는 곳들도 여러 곳 있다. 이른바 [[모노폴]] AOC라는 이름이 붙는 와인들이 부르고뉴에서는 줄줄이 나온다. 다만 모노폴은 [[AOC]]에 규정은 되어 있지만 등급과 관계는 없다. 모노폴이라고 해도 [[그랑 크뤼]]일 수도 있고 그냥 지역 [[AOC]]일 수도 있다.
13번째 줄: 13번째 줄:
[[코트도르]] 위로는 좀 떨어져서 [[화이트 와인]]으로 잘 알려진 [[샤블리]]<ref>행정구역으로는 부르고뉴에 속하지만 부르고뉴 와인과는 구별해서 부른다. [[샤르도네]] 품종 [[화이트 와인]]을 주력으로 하고 있지만 코트도르 쪽의 [[샤르도네]]와는 스타일 차이가 크다.</ref>가 있으며, 여기가 부르고뉴 와인의 북쪽 끄트머리라고 할 수 있다. 그 아래로 코트도르가 북쪽의 코드드뉘와 남쪽의 코트드본으로 포진하고 있고, 그 아래로는 코트살로네즈와 남쪽 끄트머리인 마콩네가 자리 잡고 있다. 그 아래로는 [[보졸레 누보]]로 잘 알려진 [[보졸레]] 지역이 펼쳐진다.
[[코트도르]] 위로는 좀 떨어져서 [[화이트 와인]]으로 잘 알려진 [[샤블리]]<ref>행정구역으로는 부르고뉴에 속하지만 부르고뉴 와인과는 구별해서 부른다. [[샤르도네]] 품종 [[화이트 와인]]을 주력으로 하고 있지만 코트도르 쪽의 [[샤르도네]]와는 스타일 차이가 크다.</ref>가 있으며, 여기가 부르고뉴 와인의 북쪽 끄트머리라고 할 수 있다. 그 아래로 코트도르가 북쪽의 코드드뉘와 남쪽의 코트드본으로 포진하고 있고, 그 아래로는 코트살로네즈와 남쪽 끄트머리인 마콩네가 자리 잡고 있다. 그 아래로는 [[보졸레 누보]]로 잘 알려진 [[보졸레]] 지역이 펼쳐진다.


부르고뉴의 AOC 등급은 다음과 같이 나뉜다.
==AOC==


* 지역 단위 (regional) AOC : 그냥 Bourgogne AOC가 여기에 해당한다.
부르고뉴의 [[AOC]] 등급은 다음과 같이 나뉜다.
* 소지역 단위 (subregional) AOC : 부르고뉴 오-코트 드 본, 부르고뉴 오-코트 드 뉘와 같은 경우가 여기에 해당한다.
 
* 마을 단위 (village) AOC : 샹볼-뮈지니, 쥬브레-샹베르탱, 알록스-코르통과 같은 와인들이 여기에 해당한다. A-B 형식으로 이름이 붙은 게 많은데, A는 마을 이름, B는 그 마을의 [[그랑 크뤼]] 지역을 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즉 샹볼-뮈지니라면 이 지역 안에 뮈지니라는 그랑 크뤼 지역이 있다는 얘기. 다만 [[그랑 크뤼]]가 그것 하나만 있다는 뜻은 절대 아니다. 본느-로마네 지역에는 물론 [[로마네 콩티]]가 있지만 그밖에도 [[그랑 크뤼]] 지역이 다섯 개 더 있다.
* 지역 단위 (regional) [[AOC]] : 그냥 Bourgogne [[AOC]]가 여기에 해당한다.
* 소지역 단위 (subregional) [[AOC]] : 부르고뉴 오-코트 드 본, 부르고뉴 오-코트 드 뉘와 같은 경우가 여기에 해당한다.
* 마을 단위 (village) [[AOC]] : 샹볼-뮈지니, 쥬브레-샹베르탱, 알록스-코르통과 같은 와인들이 여기에 해당한다. A-B 형식으로 이름이 붙은 게 많은데, A는 마을 이름, B는 그 마을의 [[그랑 크뤼]] 지역을 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즉 샹볼-뮈지니라면 이 지역 안에 뮈지니라는 그랑 크뤼 지역이 있다는 얘기. 다만 [[그랑 크뤼]]가 그것 하나만 있다는 뜻은 절대 아니다. 본느-로마네 지역에는 물론 [[로마네 콩티]]가 있지만 그밖에도 [[그랑 크뤼]] 지역이 다섯 개 더 있다.
* 프리미에르 크뤼 (premier cru, 줄여서 1er cru라고도 쓴다)
* 프리미에르 크뤼 (premier cru, 줄여서 1er cru라고도 쓴다)
* [[그랑 크뤼]] (grand cru) : 말할 것도 없이 최고 등급. 안 그래도 비싼 부르고뉴 와인인데 [[그랑 크뤼]]라면 그야말로 하늘로 뛴다. 지역 및 포도밭, 메이커에 따라서 가격은 천차만별이지만 일단 비싸다.
* [[그랑 크뤼]] (grand cru) : 말할 것도 없이 최고 등급. 안 그래도 비싼 부르고뉴 와인인데 [[그랑 크뤼]]라면 그야말로 하늘로 뛴다. 지역 및 포도밭, 메이커에 따라서 가격은 천차만별이지만 일단 비싸다.


등급 말고도 사용한 품종이나 [[와인]]의 특성에 따른 AOC도 있다. [[스파클링 와인]]인 [[크레망 드]] 부르고뉴, [[가메]] 품종이 들어가는 부르고뉴-파스-투-그랭, [[알리고테]] 품종으로 만드는 [[화이트 와인]]인 부르고뉴 알리고테는 부르고뉴 안에서 만들면 지역에 관계 없이 사용하는 AOC 명칭이다.
등급 말고도 사용한 품종이나 [[와인]]의 특성에 따른 AOC도 있다. [[스파클링 와인]]인 [[크레망 드]] 부르고뉴, [[가메]] 품종이 들어가는 부르고뉴-파스-투-그랭, [[알리고테]] 품종으로 만드는 [[화이트 와인]]인 부르고뉴 [[알리고테]]는 부르고뉴 안에서 만들면 지역에 관계 없이 사용하는 [[AOC]] 명칭이다.


부르고뉴 와인의 색깔에서 이름을 따 온 색깔 이름이 있는데, 영어식으로 읽은 burgundy. 색깔 이름으로 쓸 때에는 첫 글자를 대문자로 하지 않는다. 짙은 붉은기가 많이 도는 자줏빛으로 RGB 값으로는 (144, 0, 32)이며 웹에서 쓰는 16진수 값으로는 #900020이다. 적용해 보면 <span width="16px" height="16px" style="color:#900020 >■</span> 이런 색깔이 나온다.
부르고뉴 와인의 색깔에서 이름을 따 온 색깔 이름이 있는데, 영어식으로 읽은 burgundy. 색깔 이름으로 쓸 때에는 첫 글자를 대문자로 하지 않는다. 짙은 붉은기가 많이 도는 자줏빛으로 [[RGB]] 값으로는 (144, 0, 32)이며 웹에서 쓰는 16진수 값으로는 #900020이다. 적용해 보면 <span width="16px" height="16px" style="color:#900020">■</span> 이런 색깔이 나온다.


{{각주}}
{{각주}}
[[Category:프랑스 와인]]

2023년 4월 29일 (토) 00:58 기준 최신판

부르고뉴 메르퀴레 지역의 피노 누와르 와인인 도멩 메이 풀로 .

Vins de Bourgogne.

프랑스어로는 위와 같이 쓰고, 영어로는 버건디 와인(Burgundy wine)이라고 쓴다. 부르고뉴를 영어로는 지 꼴리는대로 Burgundy라고 쓰기 때문. 즉 '부르고뉴 와인'이란 말은 지명은 프랑스어로, 포도주는 영어로 부르는 셈인데, 좀 일관성이 떨어지지만 국내에서는 대체로 이렇게 부르고 있다.

이름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프랑스 서부의 부르고뉴 지역에서 나오는 와인을 뜻하며 프랑스의 지리적표시제인 AOC 적용 대상이다. 프랑스 동부의 보르도 와인과 함께 프랑스 와인의 쌍벽을 이루는 와인이라고 할 수 있으며, 둘 사이는 같은 프랑스 와인이라고 하더라도 정말정말 다르다. 레드 와인 화이트 와인 모두 보르도와 부르고뉴는 정말 정말 다르다.

일단 부르고뉴 와인이라고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레드 와인을 만드는 품종인 피노 누와르. 가메를 혼합할 수 있는 부르고뉴-파스-투-그랭을 제외하고는 레드 와인피노 누와르 100%로 만든 와인만이 부르고뉴 와인으로서 AOC 자격을 가질 수 있다. 피노 누와르 와인의 처음이자 끝이라고 할 수 있다. 화이트 와인은 샤르도네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알리고테 품종도 있지만 이는 부르고뉴 알리고테라는 AOC가 따로 있으며, 그밖에는 샤르도네 100%다. 사실 샤르도네는 좀 개나 소나 만드는 경향이 있지만 부르고뉴의 샤르도네는 다른 지역과는 구분되는 뚜렷한 특징이 있다. 특히 화이트 와인인데도 고급 와인은 오크통 숙성을 거쳐서 특유의 나무향과 기름기가 잘잘 흐르는 윤기 나는 때깔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다른 지역의 샤르도네와는 비교도 안 될 정도로 독특하고 복잡한 향미를 자랑한다. 가격도 정말로 비싸다. 도멩 로마네 콩티에서 만드는 몽라쉐 와인은 같은 회사가 만드는 그 저명한 로마네 콩티의 가격마저도 넘어설 때가 있다고 하니...

전 세계 와인의 최고봉 가운데 하나로 꼽히는 로마네 콩티를 비롯한 초고가 와인이 즐비하다. 보르도 와인은 지역이 넓지만 부르고뉴 와인은 코트도르(Côte-d'Or)라고 부르는, 남북으로 60 km 정도에 불과하며 폭은 몇백 미터에 불과한 작은 언덕 지역이 본진으로 그야말로 울타리 하나를 두고 고급 와인 산지와 저렴한 와인 산지가 갈리는 촘촘한 지역 분할을 특징으로 한다. 보르도에 비하면 부르고뉴는 포도 농사를 짓는 전체 면적도 크게 적은데, 그것도 모자라서 그 땅을 거의 조각조각 자르다시피 나눠서 AOC를 덕지덕지 붙이고 있고, 또 그 안에서도 온갖 복잡한 소유관계로 채썰다시피 나뉘어 있다.[1] 아예 밭 하나하나 단위로 AOC가 붙는 곳들도 여러 곳 있다. 이른바 모노폴 AOC라는 이름이 붙는 와인들이 부르고뉴에서는 줄줄이 나온다. 다만 모노폴은 AOC에 규정은 되어 있지만 등급과 관계는 없다. 모노폴이라고 해도 그랑 크뤼일 수도 있고 그냥 지역 AOC일 수도 있다.

코트도르 위로는 좀 떨어져서 화이트 와인으로 잘 알려진 샤블리[2]가 있으며, 여기가 부르고뉴 와인의 북쪽 끄트머리라고 할 수 있다. 그 아래로 코트도르가 북쪽의 코드드뉘와 남쪽의 코트드본으로 포진하고 있고, 그 아래로는 코트살로네즈와 남쪽 끄트머리인 마콩네가 자리 잡고 있다. 그 아래로는 보졸레 누보로 잘 알려진 보졸레 지역이 펼쳐진다.

AOC

부르고뉴의 AOC 등급은 다음과 같이 나뉜다.

  • 지역 단위 (regional) AOC : 그냥 Bourgogne AOC가 여기에 해당한다.
  • 소지역 단위 (subregional) AOC : 부르고뉴 오-코트 드 본, 부르고뉴 오-코트 드 뉘와 같은 경우가 여기에 해당한다.
  • 마을 단위 (village) AOC : 샹볼-뮈지니, 쥬브레-샹베르탱, 알록스-코르통과 같은 와인들이 여기에 해당한다. A-B 형식으로 이름이 붙은 게 많은데, A는 마을 이름, B는 그 마을의 그랑 크뤼 지역을 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즉 샹볼-뮈지니라면 이 지역 안에 뮈지니라는 그랑 크뤼 지역이 있다는 얘기. 다만 그랑 크뤼가 그것 하나만 있다는 뜻은 절대 아니다. 본느-로마네 지역에는 물론 로마네 콩티가 있지만 그밖에도 그랑 크뤼 지역이 다섯 개 더 있다.
  • 프리미에르 크뤼 (premier cru, 줄여서 1er cru라고도 쓴다)
  • 그랑 크뤼 (grand cru) : 말할 것도 없이 최고 등급. 안 그래도 비싼 부르고뉴 와인인데 그랑 크뤼라면 그야말로 하늘로 뛴다. 지역 및 포도밭, 메이커에 따라서 가격은 천차만별이지만 일단 비싸다.

등급 말고도 사용한 품종이나 와인의 특성에 따른 AOC도 있다. 스파클링 와인크레망 드 부르고뉴, 가메 품종이 들어가는 부르고뉴-파스-투-그랭, 알리고테 품종으로 만드는 화이트 와인인 부르고뉴 알리고테는 부르고뉴 안에서 만들면 지역에 관계 없이 사용하는 AOC 명칭이다.

부르고뉴 와인의 색깔에서 이름을 따 온 색깔 이름이 있는데, 영어식으로 읽은 burgundy. 색깔 이름으로 쓸 때에는 첫 글자를 대문자로 하지 않는다. 짙은 붉은기가 많이 도는 자줏빛으로 RGB 값으로는 (144, 0, 32)이며 웹에서 쓰는 16진수 값으로는 #900020이다. 적용해 보면 이런 색깔이 나온다.

각주

  1. 예를 들어 부르고뉴에 포도밭을 가진 집안끼리 결혼을 하면 신부가 지참금 삼아서 땅을 일부 떼서 소유권을 넘기는 일이 많았다.
  2. 행정구역으로는 부르고뉴에 속하지만 부르고뉴 와인과는 구별해서 부른다. 샤르도네 품종 화이트 와인을 주력으로 하고 있지만 코트도르 쪽의 샤르도네와는 스타일 차이가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