샴페인: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위키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프랑스]] [[샹파뉴]] 지방에서 만드는 [[스파클링 와인]]. 우리나라에서는 [[스파클링 와인]]은 물론이고 심지어 [[와인]] 흉내만 낸 가짜도 샴페인이라는 이름을 붙이는 경우가 종종 있지만 [[프랑스]] [[샹파뉴]] 지방에서 생산되는 [[스파클링 와인]]에만 이 이름을 붙일 수 있다. 그걸로 끝나지 않고 품종, 재배법, 양조법 및 숙성에 관련된 규정을 준수해야 한다. 물론 그냥 탄산가스 주입하면 안 되고 러뮈아쥬와 데고쥬망을 거쳐야 한다.
[[프랑스]] [[샹파뉴]] 지방에서 만드는 [[스파클링 와인]]. 우리나라에서는 [[스파클링 와인]]은 물론이고 심지어 [[와인]] 흉내만 낸 가짜도 샴페인이라는 이름을 붙이는 경우가 종종 있지만 [[프랑스]] [[샹파뉴]] 지방에서 생산되는 [[스파클링 와인]]에만 이 이름을 붙일 수 있다. 그걸로 끝나지 않고 품종, 재배법, 양조법 및 숙성에 관련된 규정을 준수해야 한다. 물론 그냥 [[탄산가스]] 주입하면 안 되고 [[효모]]가 자연스럽게 만들어 내는 가스만 써야 한다. 이를 위해 [[스파클링_와인#러뮈아쥬|러뮈아쥬]]와 [[스파클링_와인#데고쥬망|데고쥬망]]은 필수.


[[프랑스]]산이지만 [[샹파뉴]] 이외 지방에서 만든 것은 샴페인이라는 말을 못 쓴다. 전통 방식으로 만든 것에는 AOC 규정에 따라서 [[크레망 드]](Crémant de)라는 이름을 붙일 수 있다. 샴페인에도 [[프리미어 크뤼]]나 [[그랑 크뤼]]와 같은 [[AOC]] 등급이 있긴 한데, 이 동네에선 그게 별로 중요하지 않고 브랜드가 가격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다. 오히려 [[코스트코]]나 [[테스코]]의 자체 브랜드 샴페인이 [[프리미어 크뤼]]를 많이 내세운다.
하지만 이런 방식으로 만든 역사는 알고 보면 그리 오래된 것은 아니다. 아니, 샹파뉴 지방에서 [[스파클링 와인]]을 만든 게 와인의 역사로 보면 그리 오래 되지 않았다. 원래 만들던 것은 [[피노 누와]]를 주종으로 한 옅은 빛깔의 [[스틸 와인]]이었다. 그러다가 17세기부터 [[스파클링 와인]]을 만들기 시작했고 이게 영국으로 건너가면서 히트를 치면서 <del>얘들은 [[영국 요리|음식]]은 더럽게 맛 없으면서 술은 좋은 거 찾는다니까</del> 샴페인이 [[스파클링 와인]]의 대표격으로 뛰어올랐다. <del>정작 원조였던 리무 지역은 [[크레망 드]] 신세.</del>
 
[[프랑스]]산이지만 [[샹파뉴]] 이외 지방에서 만든 것은 샴페인이라는 말을 못 쓴다. 전통 방식으로 만든 것에는 [[AOC]] 규정에 따라서 [[크레망 드]](Crémant de)라는 이름을 붙일 수 있다. 샴페인에도 [[프리미어 크뤼]]나 [[그랑 크뤼]]와 같은 [[AOC]] 등급이 있긴 한데, 이 동네에선 그게 별로 중요하지 않고 브랜드가 가격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다. 오히려 [[코스트코]]나 [[테스코]]의 자체 브랜드 샴페인이 [[프리미어 크뤼]]를 많이 내세운다.


대부분의 샴페인 회사들이 모여 있는 곳은 [[랭스]](Reims)와 [[아이]](Ay). 특히 규모가 큰 회사들은 [[샹파뉴]] 지역 최대 도시인 [[랭스]]에 본사를 두고 있다. 샴페인 라벨에서 이 이름을 자주 볼 수 있을 것이다.
대부분의 샴페인 회사들이 모여 있는 곳은 [[랭스]](Reims)와 [[아이]](Ay). 특히 규모가 큰 회사들은 [[샹파뉴]] 지역 최대 도시인 [[랭스]]에 본사를 두고 있다. 샴페인 라벨에서 이 이름을 자주 볼 수 있을 것이다.


[[포뮬러 1]]을 비롯한 [[모터스포츠]] 경기가 끝나고 시상식에서 샴페인을 터뜨려서 뿌리는 것이 관례화되어있다. 1967년 [[르망 24시]]에서 우승한 [[댄 거니]]가 처음으로 이런 <s>난동</s> 행위를 했다가 사람들이 보기에 오오~ 기분 나는데? 해서 빠르게 퍼졌다. 다만 바레인을 비롯한 이슬람 국가에서는 술을금지하고 있어서 바레인 그랑프리와 같은 경기 때는 알콜이 없는 발포성 음료를 대신 쓴다.
[[포뮬러 1]]을 비롯한 [[모터스포츠]] 경기가 끝나고 시상식에서 샴페인을 터뜨려서 뿌리는 것이 관례화되어있다. 1967년 [[르망 24시]]에서 우승한 [[댄 거니]]가 처음으로 이런 <s>난동</s> 행위를 했다가 사람들이 보기에 오오~ 기분 나는데? 해서 빠르게 퍼졌다. 다만 [[바레인]]을 비롯한 이슬람 국가에서는 술을 금지하고 있어서 바레인 그랑프리와 같은 경기 때는 [[알코올]]이 없는 발포성 음료를 대신 쓴다.


=주요 브랜드=
=주요 브랜드=
23번째 줄: 25번째 줄:


* [[폴 로제]] (Pol Roger)
* [[폴 로제]] (Pol Roger)
* 태탱제]] (Taittinger)


[[Category:술]]
[[Category:와인]]
[[Category:스파클링 와인]]
[[Category:스파클링 와인]]

2015년 11월 11일 (수) 10:52 판

프랑스 샹파뉴 지방에서 만드는 스파클링 와인. 우리나라에서는 스파클링 와인은 물론이고 심지어 와인 흉내만 낸 가짜도 샴페인이라는 이름을 붙이는 경우가 종종 있지만 프랑스 샹파뉴 지방에서 생산되는 스파클링 와인에만 이 이름을 붙일 수 있다. 그걸로 끝나지 않고 품종, 재배법, 양조법 및 숙성에 관련된 규정을 준수해야 한다. 물론 그냥 탄산가스 주입하면 안 되고 효모가 자연스럽게 만들어 내는 가스만 써야 한다. 이를 위해 러뮈아쥬데고쥬망은 필수.

하지만 이런 방식으로 만든 역사는 알고 보면 그리 오래된 것은 아니다. 아니, 샹파뉴 지방에서 스파클링 와인을 만든 게 와인의 역사로 보면 그리 오래 되지 않았다. 원래 만들던 것은 피노 누와를 주종으로 한 옅은 빛깔의 스틸 와인이었다. 그러다가 17세기부터 스파클링 와인을 만들기 시작했고 이게 영국으로 건너가면서 히트를 치면서 얘들은 음식은 더럽게 맛 없으면서 술은 좋은 거 찾는다니까 샴페인이 스파클링 와인의 대표격으로 뛰어올랐다. 정작 원조였던 리무 지역은 크레망 드 신세.

프랑스산이지만 샹파뉴 이외 지방에서 만든 것은 샴페인이라는 말을 못 쓴다. 전통 방식으로 만든 것에는 AOC 규정에 따라서 크레망 드(Crémant de)라는 이름을 붙일 수 있다. 샴페인에도 프리미어 크뤼그랑 크뤼와 같은 AOC 등급이 있긴 한데, 이 동네에선 그게 별로 중요하지 않고 브랜드가 가격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다. 오히려 코스트코테스코의 자체 브랜드 샴페인이 프리미어 크뤼를 많이 내세운다.

대부분의 샴페인 회사들이 모여 있는 곳은 랭스(Reims)와 아이(Ay). 특히 규모가 큰 회사들은 샹파뉴 지역 최대 도시인 랭스에 본사를 두고 있다. 샴페인 라벨에서 이 이름을 자주 볼 수 있을 것이다.

포뮬러 1을 비롯한 모터스포츠 경기가 끝나고 시상식에서 샴페인을 터뜨려서 뿌리는 것이 관례화되어있다. 1967년 르망 24시에서 우승한 댄 거니가 처음으로 이런 난동 행위를 했다가 사람들이 보기에 오오~ 기분 나는데? 해서 빠르게 퍼졌다. 다만 바레인을 비롯한 이슬람 국가에서는 술을 금지하고 있어서 바레인 그랑프리와 같은 경기 때는 알코올이 없는 발포성 음료를 대신 쓴다.

주요 브랜드

샴페인 브랜드들 중에는 인수 합병을 통해서 큰 회사에 속해 있는 브랜드가 여럿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