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비올로: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위키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Nebbiolo.
Nebbiolo.


[[바르베라]]와 함께 [[이탈리아]] 북부의 [[피에몬테]], 특히 [[랑게]] 지방을 대표하는 [[포도]] 품종. [[바롤로]]와 [[바르바레스코]]와 같은 [[피에몬테]] 지방의 값비싼 [[레드 와인]]이 이 품종 100% 또는 약간의 [[바르베라]]가 블렌딩되어 생산된다. [[프랑스]] [[부르고뉴]] 지방의 [[피노 누와]]와 종종 비견된다. [[피노 누와]] 같은 섬세한 향기와 맛이 있지만 그보다는 좀더 묵직하고 남성적인 느낌이 깃들어 있다.
[[바르베라]]와 함께 [[이탈리아]] 북부의 [[피에몬테]], 특히 [[랑게]] 지방을 대표하는 [[와인]]용 [[포도]] 품종. [[바롤로]]와 [[바르바레스코]]와 같은 [[피에몬테]] 지방의 값비싼 [[레드 와인]]이 이 품종 100% 또는 약간의 [[바르베라]]가 블렌딩되어 생산된다. [[프랑스]] [[부르고뉴]] 지방의 [[피노 누와르]]와 종종 비견된다. 캐릭터도 비슷하고 [[부르고뉴]] [[레드 와인]]이 [[피노 누와르]]를 100% 써야 AOC를 받을 수 있는 것과 비슷하게 [[바롤로]] 또는 [[바르바레스코]] [[DOCG]]도 네비올로 100%를 의무로 하고 있다. 네비올로 [[와인]]에는 [[피노 누와르]] 같은 섬세한 향기와 맛이 있지만 그보다는 좀더 묵직하고 강건한 느낌이 깃들어 있으며, 대체로 알코올 도수도 피노 누와르보다는 높게 나온다. 14% 정도는 흔하고 15%가 넘어가는 놈도 있을 정도. [[체리]], [[민트]], [[담배]]향을 특징으로 한다. 탄난이 많기 때문에 장기 보존력도 좋다. 초반에는 산미가 강하기 때문에 [[와인]]을 열고 나서 시간을 몇 시간이고 충분히 두고 기다려야 제맛을 낸다.


[[이탈리아어]]로 '안개'를 뜻하는 'nebbia'에서 왔다고 한다. 이 [[포도]]를 추수하는 10월이면 주 산지인 [[랑게]] 계곡이 짙은 안개가 끼는 날이 많은 데서 유래한다고 한다. 'nebbioso'가 '안개가 많은'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데, 첫자가 네비올로(nebbiolo)와 딱 한 글자 차이 난다.
[[이탈리아어]]로 '안개'를 뜻하는 'nebbia'에서 왔다고 한다. 이 [[포도]]를 추수하는 10월이면 주 산지인 [[랑게]] 계곡이 짙은 안개가 끼는 날이 많은 데서 유래한다고 한다. 'nebbioso'가 '안개가 많은'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데, 첫자가 네비올로(nebbiolo)와 딱 한 글자 차이 난다.


어지간히 유명한 [[포도]] 품종은 유럽 다른 나라, 혹은 [[신대륙]]에서도 재배하는데 이 품종은 [[피에몬테]], 특히 [[랑게]] 계곡이 아닌 다른 곳에서 나오는 [[와인]]을 찾아보기 힘들다. [[피노 누와]]도 재배 조건이 까다롭지만 [[미국]]과 [[호주]], [[뉴질랜드]]를 비롯해서 은근히 재배하는 곳이 많은 반면, 네비올로는 꽃은 유난히 일찍 피고 추수 시점은 상당히 늦기 때문에 재배 조건이 더 까다롭다고 한다.
어지간히 유명한 [[포도]] 품종은 유럽 다른 나라, 혹은 [[신대륙]]에서도 재배하는데 이 품종은 [[피에몬테]], 특히 [[랑게]] 계곡이 아닌 다른 곳에서 나오는 [[와인]]을 찾아보기 힘들다. [[피노 누와르]]도 껍질이 얇다 보니<ref>껍질은 외부 환경 변화로부터 내부를 보호하는 구실을 한다. 껍질이 두꺼울수록 방어막 구실을 더 잘 할 수 있다.</ref> 재배 조건이 까다롭지만 [[미국]]과 [[호주]], [[뉴질랜드]], [[칠레]]를 비롯해서 은근히 재배하는 곳이 많은 반면, 네비올로는 꽃은 유난히 일찍 피고 추수 시점은 상당히 늦기 때문에 재배 조건이 더 까다롭다고 한다. 신대륙 쪽에서 계속 재배를 시도하고 일부 제품이 나오기도 하지만 거의 무시해도 좋을 수준이다.


[[랑게]] 지역을 대표하는 [[바롤로]]와 [[바르바레스코]]는 네비올로 100%여야 지역 인증인 [[DOCG]]를 받을 수 있다. 그런데 이 지역의 최고 와인 메이커인 [[가야 (와인)|가야]](Gaja)<s>와인농장</s>에서 나오는 이른바 블랙 레이블 시리즈, 즉 스페르스나 소리 틸딘, 소리 산 로렌조 같은 톱 클래스 와인들은 [[바르베라]]가 5% 들어가기 때문에 [[DOCG]] 등급이 아니다.<ref>블랙 레이블 중에는 [[바르바레스코]]만이 유일하게 [[DOCG]]가 있다. </ref> 토스카나 쪽도 DOCG 규정을 벗어난 [[수페르 토스카나]]가 톱 클래스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것처럼 피에몬테 쪽도 [[DOCG]] 없이도 겁나 비싼 [[와인]]이 즐비하다. <del>하여간 더럽게 말 안 듣는다.</del>
[[랑게]] 지역을 대표하는 [[바롤로]]와 [[바르바레스코]]는 네비올로 100%여야 지역 인증인 [[DOCG]]를 받을 수 있다. 그런데 이 지역의 최고 [[와인]] 메이커인 [[가야 (와인)|가야]](Gaja)<del>와인농장</del>에서 나오는 이른바 블랙 레이블 시리즈, 즉 스페르스나 소리 틸딘, 소리 산 로렌조 같은 톱 클래스 와인들은 [[바르베라]]가 5% 들어가기 때문에 [[DOCG]] 등급이 아니다.<ref>블랙 레이블 중에는 [[바르바레스코]]만이 유일하게 [[DOCG]]가 있다. </ref> 토스카나 쪽도 DOCG 규정을 벗어난 [[수페르 토스카나]]가 톱 클래스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것처럼 피에몬테 쪽도 [[DOCG]] 없이도 겁나 비싼 [[와인]]이 즐비하다.


{{각주}}
{{각주}}


[[Category:포도]]
[[Category:포도]]
[[Category:와인]]
[[Category:이탈리아 와인]]

2021년 1월 16일 (토) 06:12 기준 최신판

Nebbiolo.

바르베라와 함께 이탈리아 북부의 피에몬테, 특히 랑게 지방을 대표하는 와인포도 품종. 바롤로바르바레스코와 같은 피에몬테 지방의 값비싼 레드 와인이 이 품종 100% 또는 약간의 바르베라가 블렌딩되어 생산된다. 프랑스 부르고뉴 지방의 피노 누와르와 종종 비견된다. 캐릭터도 비슷하고 부르고뉴 레드 와인피노 누와르를 100% 써야 AOC를 받을 수 있는 것과 비슷하게 바롤로 또는 바르바레스코 DOCG도 네비올로 100%를 의무로 하고 있다. 네비올로 와인에는 피노 누와르 같은 섬세한 향기와 맛이 있지만 그보다는 좀더 묵직하고 강건한 느낌이 깃들어 있으며, 대체로 알코올 도수도 피노 누와르보다는 높게 나온다. 14% 정도는 흔하고 15%가 넘어가는 놈도 있을 정도. 체리, 민트, 담배향을 특징으로 한다. 탄난이 많기 때문에 장기 보존력도 좋다. 초반에는 산미가 강하기 때문에 와인을 열고 나서 시간을 몇 시간이고 충분히 두고 기다려야 제맛을 낸다.

이탈리아어로 '안개'를 뜻하는 'nebbia'에서 왔다고 한다. 이 포도를 추수하는 10월이면 주 산지인 랑게 계곡이 짙은 안개가 끼는 날이 많은 데서 유래한다고 한다. 'nebbioso'가 '안개가 많은'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데, 첫자가 네비올로(nebbiolo)와 딱 한 글자 차이 난다.

어지간히 유명한 포도 품종은 유럽 다른 나라, 혹은 신대륙에서도 재배하는데 이 품종은 피에몬테, 특히 랑게 계곡이 아닌 다른 곳에서 나오는 와인을 찾아보기 힘들다. 피노 누와르도 껍질이 얇다 보니[1] 재배 조건이 까다롭지만 미국호주, 뉴질랜드, 칠레를 비롯해서 은근히 재배하는 곳이 많은 반면, 네비올로는 꽃은 유난히 일찍 피고 추수 시점은 상당히 늦기 때문에 재배 조건이 더 까다롭다고 한다. 신대륙 쪽에서 계속 재배를 시도하고 일부 제품이 나오기도 하지만 거의 무시해도 좋을 수준이다.

랑게 지역을 대표하는 바롤로바르바레스코는 네비올로 100%여야 지역 인증인 DOCG를 받을 수 있다. 그런데 이 지역의 최고 와인 메이커인 가야(Gaja)와인농장에서 나오는 이른바 블랙 레이블 시리즈, 즉 스페르스나 소리 틸딘, 소리 산 로렌조 같은 톱 클래스 와인들은 바르베라가 5% 들어가기 때문에 DOCG 등급이 아니다.[2] 토스카나 쪽도 DOCG 규정을 벗어난 수페르 토스카나가 톱 클래스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것처럼 피에몬테 쪽도 DOCG 없이도 겁나 비싼 와인이 즐비하다.

각주

  1. 껍질은 외부 환경 변화로부터 내부를 보호하는 구실을 한다. 껍질이 두꺼울수록 방어막 구실을 더 잘 할 수 있다.
  2. 블랙 레이블 중에는 바르바레스코만이 유일하게 DOCG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