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리타 익스프레스: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위키
잔글 (Dennis 사용자가 나리타익스프레스 문서를 나리타 익스프레스 문서로 옮겼습니다)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Narita Express(成田エクスプレス).
Narita Express(成田エクスプレス).


[[JR히가시니혼]]에서 운영하는 특급열차. 이름에서 알 수 있듯 [[나리타공항]]과 [[도쿄]] 일대를 이어주는 최고등급 특급열차다. 경쟁자로는 [[케이세이 스카이라이너]]가 있다. 열차 바깥이라든가 온라인/오프라인 홍보물에서는 종종 N'EX로 줄여 쓰기도 하는데 부를 때 '넥스'라고 부르는 일은 그닥 없고 나리타에쿠스프레스(成田エクスプレス)라고 부른다.
[[JR히가시니혼]]에서 운영하는 특급열차. 이름에서 알 수 있듯 [[나리타공항]]과 [[도쿄]] 일대를 이어주는 최고등급 특급열차다. 경쟁자로는 [[케이세이 스카이라이너]]가 있다. 열차 바깥이라든가 온라인/오프라인 홍보물에서는 종종 N'EX로 줄여 쓰기도 하는데 부를 때 '넥스'라고 부르는 일은 그닥 없고 나리타에쿠스프레스(成田エクスプレス)라고 부른다. 주말 한정으로 [[JR]]이 아닌 사철 후지급행 노선을 타고 카와구치코역까지 가는 노선도 있다.


나리타익스프레스의 가장 큰 문제는 황당할 정도로 빙 돌아가는 노선과 그에 따른 긴 소요시간이다. 원래 나리타공항을 지으면서 나리타 신칸센도 추진되었지만 나리타공항도 지역 주민들이 전쟁 수준으로 격렬한 반대 투쟁을 벌이는 바람에 고자가 되었고, 나리타 신칸센은 나리타 신칸센대로 노선 예정지 주민들의 반대 투쟁으로 무산되었다. 그 결과,
나리타 익스프레스의 가장 큰 문제는 황당할 정도로 빙 돌아가는 노선과 그에 따른 긴 소요시간이다. 원래 [[나리타공항]]을 지으면서 나리타 신칸센도 추진되었지만 나리타공항도 지역 주민들이 전쟁 수준으로 격렬한 반대 투쟁을 벌이는 바람에 고자가 되었고, 나리타 신칸센은 나리타 신칸센대로 노선 예정지 주민들의 반대 투쟁으로 무산되었다. 그 결과, 케이세이 스카이라이너는 거의 직선에 가깝에 들어가는 반면 나리타 익스프레스는 나리타선을 타고 치바역까지 남서쪽으로 내려갔다가 다시 소부 본선을 타고 북서쪽으로 올라가는,
ㄱ자로 빙 돌아가는 루트로 운행된다. 이러다 보니 나리타공항에서 도쿄역까지 논스톱으로 가는 데 걸리는 시간이 JR히가니시혼의 웹사이트 문구를 그대로 옮기면 "나리타 공항역과 [[도쿄역]]을 불과<del>네?</del> 53분만에 연결합니다."이다. 하지만 실제로 53분만에 끊는 열차는 몇 대 없고 대부분은 1시간 걸린다. 게다가, 이것도 2·3 터미널역과 도쿄역 얘기지 한국에서 나리타로 갈 때 내리게 되는 1터미널은 3분이 추가된다. 반면 [[케이세이 스카이라이너]]는 2·3 터미널역에서 닛포리역까지 대체로 36분에 끊어주며 우에노역까지는 대체로 41분만에 들어간다. 한국인을 비롯한 외국인들이 숙소로 많이 이용하는 신주쿠역은 나리타 익스프레스로는 [[도쿄역]]→[[시나가와역]]→[[시부야역]]을 거쳐서 가므로 1 터미널 기준으로 85분 정도가 걸린다. [[케이세이 스카이라이너]]를 타면 1 터미널 기준으로 닛포리역까지 40분에 끊어주므로 역 환승을 10분 정도 잡고 [[야마노테선]]으로 [[닛포리]]에서 [[신주쿠]]까지 가는데 20분을 잡으면 총 70분만에 들어간다. 환승을 하는데도 15분 절약.

2017년 10월 29일 (일) 07:26 판

Narita Express(成田エクスプレス).

JR히가시니혼에서 운영하는 특급열차. 이름에서 알 수 있듯 나리타공항도쿄 일대를 이어주는 최고등급 특급열차다. 경쟁자로는 케이세이 스카이라이너가 있다. 열차 바깥이라든가 온라인/오프라인 홍보물에서는 종종 N'EX로 줄여 쓰기도 하는데 부를 때 '넥스'라고 부르는 일은 그닥 없고 나리타에쿠스프레스(成田エクスプレス)라고 부른다. 주말 한정으로 JR이 아닌 사철 후지급행 노선을 타고 카와구치코역까지 가는 노선도 있다.

나리타 익스프레스의 가장 큰 문제는 황당할 정도로 빙 돌아가는 노선과 그에 따른 긴 소요시간이다. 원래 나리타공항을 지으면서 나리타 신칸센도 추진되었지만 나리타공항도 지역 주민들이 전쟁 수준으로 격렬한 반대 투쟁을 벌이는 바람에 고자가 되었고, 나리타 신칸센은 나리타 신칸센대로 노선 예정지 주민들의 반대 투쟁으로 무산되었다. 그 결과, 케이세이 스카이라이너는 거의 직선에 가깝에 들어가는 반면 나리타 익스프레스는 나리타선을 타고 치바역까지 남서쪽으로 내려갔다가 다시 소부 본선을 타고 북서쪽으로 올라가는, ㄱ자로 빙 돌아가는 루트로 운행된다. 이러다 보니 나리타공항에서 도쿄역까지 논스톱으로 가는 데 걸리는 시간이 JR히가니시혼의 웹사이트 문구를 그대로 옮기면 "나리타 공항역과 도쿄역을 불과네? 53분만에 연결합니다."이다. 하지만 실제로 53분만에 끊는 열차는 몇 대 없고 대부분은 1시간 걸린다. 게다가, 이것도 2·3 터미널역과 도쿄역 얘기지 한국에서 나리타로 갈 때 내리게 되는 1터미널은 3분이 추가된다. 반면 케이세이 스카이라이너는 2·3 터미널역에서 닛포리역까지 대체로 36분에 끊어주며 우에노역까지는 대체로 41분만에 들어간다. 한국인을 비롯한 외국인들이 숙소로 많이 이용하는 신주쿠역은 나리타 익스프레스로는 도쿄역시나가와역시부야역을 거쳐서 가므로 1 터미널 기준으로 85분 정도가 걸린다. 케이세이 스카이라이너를 타면 1 터미널 기준으로 닛포리역까지 40분에 끊어주므로 역 환승을 10분 정도 잡고 야마노테선으로 닛포리에서 신주쿠까지 가는데 20분을 잡으면 총 70분만에 들어간다. 환승을 하는데도 15분 절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