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래떡: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떡]]의 일종. 멥쌀로 밥을 짓고 찧어서 둥글고 길게, 파이프 모양으로 뽑아내는 [[떡]]. 재료는 멥쌀과 [[소금]], 물, 이게 전부다. 떡 중에서는 가장 단촐하다고 할 수 있지만 담백하면서도 쫄깃한 맛으로 많은 팬들을 거느리고 있다. 갓 뽑은 떡은 [[조청]]이고 [[꿀]]이고 없이 그냥 먹어도 맛있다. | [[떡]]의 일종. 멥쌀로 밥을 짓고 찧어서 둥글고 길게, 파이프 모양으로 뽑아내는 [[떡]]. 재료는 멥쌀과 [[소금]], 물, 이게 전부다. [[떡]] 중에서는 가장 단촐하다고 할 수 있지만 담백하면서도 쫄깃한 맛으로 많은 팬들을 거느리고 있다. 갓 뽑은 떡은 부드럽고 따끈따끈해서 [[조청]]이고 [[꿀]]이고 없이 그냥 먹어도 맛있다. | ||
일단 가래떡 하면 가장 먼저 생각나는 건 설날에는 꼭 먹게 되는 [[떡국]]. [[떡국]]을 먹어야 나이 한 살을 더 먹는다고 해서 아이들은 열심히 먹는다. <del>어른들은 정말 먹기 싫다.</del> [[떡국]]과 나이가 연결되는 이유는 가래떡 때문일 것으로 보이는데 옛날부터 [[국수]]처럼 길게 뽑아내는 것은 장수를 상징해서 생일잔치 때 먹었다. 비슷한 맥락으로 길게 뽑아내는 가래떡 역시 | 일단 가래떡 하면 가장 먼저 생각나는 건 설날에는 꼭 먹게 되는 [[떡국]]. [[떡국]]을 먹어야 나이 한 살을 더 먹는다고 해서 아이들은 열심히 먹는다. <del>어른들은 정말 먹기 싫다.</del> [[떡국]]과 나이가 연결되는 이유는 가래떡 때문일 것으로 보이는데 옛날부터 [[국수]]처럼 길게 뽑아내는 것은 장수를 상징해서 생일잔치 때 먹었다. 비슷한 맥락으로 길게 뽑아내는 가래떡 역시 [[국수]]와 비슷한 의미를 가졌던 것으로 보인다. <del>그런데 [[떡국]]에 넣을 때 목숨줄을 그렇게 난도질을 치면...</del> 아무튼 연말연시 풍경으로 TV에 꼭 등장하는 장면이 방앗간에서 가래떡 뽑아내는 장면일만큼, 가래떡은 설날을 상징하는 아이콘과도 같은 존재다. 지금이야 안 그렇지만 예전에는 집에서 쌀을 씻어다가 불려서 방앗간에 갖다주고 가래떡 뽑아달라는 사람들도 많았다. | ||
[[떡국]] | [[떡국]]이나 자매품 떡만두국 말고도 가래떡이 쓰이는 곳은 여기저기 은근히 있다. 떡[[라면]]은 수십 년 전부터 사랑 받아 왔던 [[라면]] 메뉴의 스탠다드이고 [[부대찌개]]를 비롯한 각종 [[전골]]에도 단골로 들어간다. 비스듬히 3~4 mm 두께 정도로 썰어서 쓰는데 이런 용도로 쓰일 때에는 보통은 좀 말려서 썰어내기 쉽게 한다. 썰은 다음에도 다시 좀 더 말려서 조금 딱딱한 상태에서 사용하는 게 보통. 아예 썰어서 굳힌 가래떡도 슈퍼마켓 같은 곳에서도 쉽게 살 수 있다. [[떡국]]에 넣기 전에는 한번 물에 씻은 다음 불려서 쓰는 게 좋다. 말리지 않고 말랑말랑한 상태로 쓰기도 하는데 일단 갓 뽑아낸 가래떡은 그냥 먹어도 정말 맛있고, 가래떡으로 쌀[[떡볶이]]를 만들기도 하고<ref>[[간장]] 양념으로 만드는 이른바 궁중떡볶이는 무조건 가래떡이다.</ref>, 가래떡을 불에 굽는 떡구이도 맛있다. [[꿀]]이나 [[조청]]에 찍어 먹으면 정말 맛있다. 캠핑 갈 때 바베큐를 할 생각이라면 거의 비장의 무기로 통한다. 가끔 노점에서 할머니가 떡을 연탄불에 구워 파는 것을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왠지 불쌍해서 하나 사먹다가도 막상 맛을 보면 이게 또 맛있다. 한국의 몇몇 [[야키토리]] 전문점에서도 떡구이를 판다. 떡구이용으로 쓸 때는 겉만 좀 마른 것을 쓰는 게 가장 좋다. 한국식 [[오뎅]]에도 가래떡이 들어가곤 한다. | ||
{{각주}} | {{각주}} | ||
[[Category:떡]] | [[Category:떡]] |
2018년 2월 10일 (토) 18:13 판
떡의 일종. 멥쌀로 밥을 짓고 찧어서 둥글고 길게, 파이프 모양으로 뽑아내는 떡. 재료는 멥쌀과 소금, 물, 이게 전부다. 떡 중에서는 가장 단촐하다고 할 수 있지만 담백하면서도 쫄깃한 맛으로 많은 팬들을 거느리고 있다. 갓 뽑은 떡은 부드럽고 따끈따끈해서 조청이고 꿀이고 없이 그냥 먹어도 맛있다.
일단 가래떡 하면 가장 먼저 생각나는 건 설날에는 꼭 먹게 되는 떡국. 떡국을 먹어야 나이 한 살을 더 먹는다고 해서 아이들은 열심히 먹는다. 어른들은 정말 먹기 싫다. 떡국과 나이가 연결되는 이유는 가래떡 때문일 것으로 보이는데 옛날부터 국수처럼 길게 뽑아내는 것은 장수를 상징해서 생일잔치 때 먹었다. 비슷한 맥락으로 길게 뽑아내는 가래떡 역시 국수와 비슷한 의미를 가졌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떡국에 넣을 때 목숨줄을 그렇게 난도질을 치면... 아무튼 연말연시 풍경으로 TV에 꼭 등장하는 장면이 방앗간에서 가래떡 뽑아내는 장면일만큼, 가래떡은 설날을 상징하는 아이콘과도 같은 존재다. 지금이야 안 그렇지만 예전에는 집에서 쌀을 씻어다가 불려서 방앗간에 갖다주고 가래떡 뽑아달라는 사람들도 많았다.
떡국이나 자매품 떡만두국 말고도 가래떡이 쓰이는 곳은 여기저기 은근히 있다. 떡라면은 수십 년 전부터 사랑 받아 왔던 라면 메뉴의 스탠다드이고 부대찌개를 비롯한 각종 전골에도 단골로 들어간다. 비스듬히 3~4 mm 두께 정도로 썰어서 쓰는데 이런 용도로 쓰일 때에는 보통은 좀 말려서 썰어내기 쉽게 한다. 썰은 다음에도 다시 좀 더 말려서 조금 딱딱한 상태에서 사용하는 게 보통. 아예 썰어서 굳힌 가래떡도 슈퍼마켓 같은 곳에서도 쉽게 살 수 있다. 떡국에 넣기 전에는 한번 물에 씻은 다음 불려서 쓰는 게 좋다. 말리지 않고 말랑말랑한 상태로 쓰기도 하는데 일단 갓 뽑아낸 가래떡은 그냥 먹어도 정말 맛있고, 가래떡으로 쌀떡볶이를 만들기도 하고[1], 가래떡을 불에 굽는 떡구이도 맛있다. 꿀이나 조청에 찍어 먹으면 정말 맛있다. 캠핑 갈 때 바베큐를 할 생각이라면 거의 비장의 무기로 통한다. 가끔 노점에서 할머니가 떡을 연탄불에 구워 파는 것을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왠지 불쌍해서 하나 사먹다가도 막상 맛을 보면 이게 또 맛있다. 한국의 몇몇 야키토리 전문점에서도 떡구이를 판다. 떡구이용으로 쓸 때는 겉만 좀 마른 것을 쓰는 게 가장 좋다. 한국식 오뎅에도 가래떡이 들어가곤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