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시야키: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9번째 줄: | 9번째 줄: | ||
아카시야키가 나타난 시기는 메이지시대 정도로 보고 있다. 아카시는 에도시대 때부터 아카시다마(明石玉, 아사키 구슬)라는 인조 산호의 생산지로 유명했는데, 아카시다마를 만들 때 접착제로 [[달걀]] 흰자를 주로 사용했다. 그러다 보니 [[달걀]] 노른자가 많이 남아돌게 되었는데, 이걸 활용할 방법 중 하나로 밀가루나 전분으로 반죽을 만들고 아카시에서 많이 잡히는 문어를 넣어서 구워낸 게 아카시야키라는 설이 있다.<ref>[https://www.yokoso-akashi.jp/akashi/akashi-yaki.html "明石焼(玉子焼)の達人"], 明石観光協会。</ref> | 아카시야키가 나타난 시기는 메이지시대 정도로 보고 있다. 아카시는 에도시대 때부터 아카시다마(明石玉, 아사키 구슬)라는 인조 산호의 생산지로 유명했는데, 아카시다마를 만들 때 접착제로 [[달걀]] 흰자를 주로 사용했다. 그러다 보니 [[달걀]] 노른자가 많이 남아돌게 되었는데, 이걸 활용할 방법 중 하나로 밀가루나 전분으로 반죽을 만들고 아카시에서 많이 잡히는 문어를 넣어서 구워낸 게 아카시야키라는 설이 있다.<ref>[https://www.yokoso-akashi.jp/akashi/akashi-yaki.html "明石焼(玉子焼)の達人"], 明石観光協会。</ref> | ||
[[타코야키]]와는 문어가 들어가는 공 모양의 풀빵이라는 것 말고는 차이가 많다. 먼저 [[타코야키]]가 [[밀가루]]를 주 재료로 하는 데 반해 아카시야키는 반죽에 [[달걀]] 노른자가 들어가는 정도가 아니라 [[밀가루]]보다도 더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색깔이 노랗고, [[타코야키]]는 진한 타코야키 소스와 [[마요네즈]], [[가쓰오부시]]를 뿌려주는 데 반해 아카시야키는 위에 아무런 소스나 고명도 뿌리지 않는다. 대신 장국이 같이 나오는데, [[우동]] 국물 맛과 비슷하다. 아카시야키를 먹어 본 적이 없는 사람이라면 '어라? 국물이 딸려 나오네?' 하고 마실 수도 있는데, 그냥 마시기 위한 국물이 아니라 아카시야키를 찍어 먹는 장국이다. 소스나 고명을 직접 뿌리지 않는 대신 장국에 찍어 먹는 것이라고 할 수도 있고, 반대로 장국에 찍어먹기 때문에 지저분하게 소스나 고명을 올리지 않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다만 장국이 진하지 않기 때문에 찍어먹는다고 해도 [[타코야키]]처럼 맛이 진하지는 않다. 대체로 [[타코야키]]에 비해서는 담백한 스타일이다. [[타코야키]]처럼 풀빵 계통이기 때문에 속은 질척하고 뜨겁기 때문에 갓 구운 걸 그냥 먹었다가는 입안을 홀라당 데이기 딱 좋다. | [[타코야키]]와는 문어가 들어가는 공 모양의 풀빵이라는 것 말고는 차이가 많다. 먼저 [[타코야키]]가 [[밀가루]]를 주 재료로 하는 데 반해 아카시야키는 반죽에 [[달걀]] 노른자가 들어가는 정도가 아니라 [[밀가루]]보다도 더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색깔이 노랗고, [[타코야키]]는 진한 타코야키 소스와 [[마요네즈]], [[가쓰오부시]]를 뿌려주는 데 반해 아카시야키는 위에 아무런 소스나 고명도 뿌리지 않는다. 대신 장국이 같이 나오는데, [[가쓰오부시]] 국물에 간장만 약간 넣어서 만든 거라<ref>간단하게 [[쯔유]]를 희석해서 만들 수도 있다.</ref> [[우동]] 국물 맛과 비슷하다. 아카시야키를 먹어 본 적이 없는 사람이라면 '어라? 국물이 딸려 나오네?' 하고 마실 수도 있는데, 그냥 마시기 위한 국물이 아니라 아카시야키를 찍어 먹는 장국이다. 소스나 고명을 직접 뿌리지 않는 대신 장국에 찍어 먹는 것이라고 할 수도 있고, 반대로 장국에 찍어먹기 때문에 지저분하게 소스나 고명을 올리지 않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다만 장국이 진하지 않기 때문에 찍어먹는다고 해도 [[타코야키]]처럼 맛이 진하지는 않다. 대체로 [[타코야키]]에 비해서는 담백한 스타일이다. [[타코야키]]처럼 풀빵 계통이기 때문에 속은 질척하고 뜨겁기 때문에 갓 구운 걸 그냥 먹었다가는 입안을 홀라당 데이기 딱 좋다. | ||
[[타코야키]]가 워낙에 인기가 많기 때문에 더 역사가 오래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마이너한 [[타코야키]] 취급을 받고는 있지만, 발상지인 아카시에서는 물론 흔하게 볼 수 있고 효고현 일대에서도 많이 볼 수 있다. [[오사카]] 및 간사이 지방에서는 이따금씩 볼 수 있다. 아카시야키만 하는 가게는 드물고 보통 [[타코야키]] 가게가 아카시야키도 만드는 경우들이 있다. | [[타코야키]]가 워낙에 인기가 많기 때문에 더 역사가 오래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마이너한 [[타코야키]] 취급을 받고는 있지만, 발상지인 아카시에서는 물론 흔하게 볼 수 있고 효고현 일대에서도 많이 볼 수 있다. [[오사카]] 및 간사이 지방에서는 이따금씩 볼 수 있다. 아카시야키만 하는 가게는 드물고 보통 [[타코야키]] 가게가 아카시야키도 만드는 경우들이 있다. |
2023년 7월 6일 (목) 00:32 판
明石焼き。
밀가루와 전분, 그리고 달걀 노른자를 주 재료로 한 묽은 반죽을 틀에 붓고, 여기에 문어 조각을 넣어서 작은 공 모양으로 구워낸 음식. '아카시(明石)'는 이 음식이 처음 나타난 일본 효고현의 아카시시를 뜻한다. 아카시에서는 타마고야키(玉子焼)라고도 부른다. 달걀 노른자가 많이 들어가다 보니[1] 붙여진 이름이라 할 수 있다.
오사카를 중심으로 일본인들에게 인기가 많은 음식인 타코야키의 선조 격으로 보는 음식이다. 오사카의 라디오야키와 효고의 아카시야키가 합쳐진 형태가 타코야키라는 것으로, 라디오야키는 문어가 아닌 소 힘줄을 넣었지만 문어잡이를 많이 해서 문어가 풍부했던 아카시는 문어를 사용했는데, 타코야키도 여기에 영향을 받아서 소 힘줄이 아닌 문어를 사용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지금도 아카시는 타코야키에 들어가는 문어의 주요 공급지로 유명하다.
아카시야키가 나타난 시기는 메이지시대 정도로 보고 있다. 아카시는 에도시대 때부터 아카시다마(明石玉, 아사키 구슬)라는 인조 산호의 생산지로 유명했는데, 아카시다마를 만들 때 접착제로 달걀 흰자를 주로 사용했다. 그러다 보니 달걀 노른자가 많이 남아돌게 되었는데, 이걸 활용할 방법 중 하나로 밀가루나 전분으로 반죽을 만들고 아카시에서 많이 잡히는 문어를 넣어서 구워낸 게 아카시야키라는 설이 있다.[2]
타코야키와는 문어가 들어가는 공 모양의 풀빵이라는 것 말고는 차이가 많다. 먼저 타코야키가 밀가루를 주 재료로 하는 데 반해 아카시야키는 반죽에 달걀 노른자가 들어가는 정도가 아니라 밀가루보다도 더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색깔이 노랗고, 타코야키는 진한 타코야키 소스와 마요네즈, 가쓰오부시를 뿌려주는 데 반해 아카시야키는 위에 아무런 소스나 고명도 뿌리지 않는다. 대신 장국이 같이 나오는데, 가쓰오부시 국물에 간장만 약간 넣어서 만든 거라[3] 우동 국물 맛과 비슷하다. 아카시야키를 먹어 본 적이 없는 사람이라면 '어라? 국물이 딸려 나오네?' 하고 마실 수도 있는데, 그냥 마시기 위한 국물이 아니라 아카시야키를 찍어 먹는 장국이다. 소스나 고명을 직접 뿌리지 않는 대신 장국에 찍어 먹는 것이라고 할 수도 있고, 반대로 장국에 찍어먹기 때문에 지저분하게 소스나 고명을 올리지 않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다만 장국이 진하지 않기 때문에 찍어먹는다고 해도 타코야키처럼 맛이 진하지는 않다. 대체로 타코야키에 비해서는 담백한 스타일이다. 타코야키처럼 풀빵 계통이기 때문에 속은 질척하고 뜨겁기 때문에 갓 구운 걸 그냥 먹었다가는 입안을 홀라당 데이기 딱 좋다.
타코야키가 워낙에 인기가 많기 때문에 더 역사가 오래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마이너한 타코야키 취급을 받고는 있지만, 발상지인 아카시에서는 물론 흔하게 볼 수 있고 효고현 일대에서도 많이 볼 수 있다. 오사카 및 간사이 지방에서는 이따금씩 볼 수 있다. 아카시야키만 하는 가게는 드물고 보통 타코야키 가게가 아카시야키도 만드는 경우들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