붕어빵
붕어 모양의 빵틀에 구워서 만드는 풀빵의 일종. 밀가루 반죽을 위아래 한 벌로 되어 있는 빵틀에 붓고 팥소를 얹은 다음 그 위에 반죽을 조금 더 붓고 빵틀을 닫아서 뒤집어가면서 굽는다. 길거리 음식의 대표 주자 중 하나. 옛날에 비해서는 많이 밀려서 지금은 보기가 드물지만 여전히 추억의 간식거리로 인기가 있다. 속에 들어가는 재료는 예전에는 당연히 단팥이었지만 사람들의 입맛도 다양해지다 보니 이제는 슈크림, 크림과 같은 재료들도 쓰이고 있다. 대체로 팥이 아닌 속재료가 들어간 건 좀 더 비싸다.
갓 구운 것을 먹었을 때는 겉이 바삭한 편이라서 맛이 좋다. 다만 풀빵이 풀듯이 갖고 온 것은 안이 아주 뜨거워서 혀나 입 안을 데일 위험이 있으니 주의하자. 하지만 시간이 조금 지나면 안쪽에서 바깥으로 빠져나가려는 뜨거운 수분을 표면이 빨아들여 흐느적거린다. 붕어빵을 종이봉투에 담는 이유도 그나마 종이가 수분을 좀 흡수해 주므로 흐느적거리는 것을 늦출 수 있기 때문이다.
붕어빵을 담는 봉투로는 조금 빳빳한 흰색 종이가 쓰이는데, 한때는 도트프린터용 전산용지가 많이 쓰였다. 전산용지는 양쪽에 구멍이 일정한 간격으로 뚫려 있는 게 특징인데, 롤러의 톱니에 걸어서 롤러가 일정한 간격으로 종이를 밀어올리면서 글자를 찍기 위해서다. 그런데 개인정보가 찍혀 있는 전산용지를 그대로 붕어빵 봉투로 만들어서 쓰다가 문제가 된 적도 있다.[1] 아빠가 퇴근길에 들고 오는 붕어빵 봉투는 단란한 소시민 가정을 상징하는 아이콘 중에 하나이기도 했다.
원류는 일본으로, 일본에서는 붕어가 아닌 도미 모양에서 따온 것이라서 도미를 뜻하는 타이(鯛), 구이를 뜻하는 야키(焼き)를 붙여서 타이야키라고 부른다. 일본에서 도미노 7복신 중에 하나인 에비스가 한손에는 낚싯대, 다른 한손에는 도미를 들고 있을 정도로 상징적인 의미를 가지지만 한국에서는 낚시를 할 때에도 월척이라고 하면 붕어를 떠올릴 정도로 붕어의 인기가 높았기 때문에 도미 대신 붕어를 이름으로 쓴 것으로 보인다.
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의 대표적인 예로 종종 꼽히는 음식이기도 하다. 호두과자에는 호두가 들어가지만[2] 붕어빵에는 붕어가 없으니. 원가가 이름과 실제가 다르다고 투덜거리는 사람에게 "그럼 붕어빵에는 붕어 들었냐?" 하고 핀잔을 주는 식. 약간 위험한 방송에서 진짜로 붕어를 넣고 붕어빵을 만드는 실험을 한 적이 있다. 그것도 살을 뜯어서 넣은 것도 아니고 통째로! 만들기도 힘들지만 당연히 비리고 맛도 없고...
또한 닮은 것, 그 중에서도 판에 박은 듯이 똑같은 것들을 가리킬 때 사용하기도 한다. 일란성 쌍둥이 가든가 부모와 자식이 똑 닮았다든가 할 때 붕어빵이란 표현을 쓴다. SBS에서는 2009년부터 2015년까지 아빠와 자녀가 함께 퀴즈를 맞추는 <붕어빵>이라는 예능 프로그램을 방영한 바 있다.
빙그레에서는 붕어빵에서 힌트를 얻어서 붕어 싸만코 아이스크림을 내놓았다. 일종의 모나카 아이스크림으로 물론 겉은 붕어 모양을 하고 있다. 처음 나왔을 때 TV광고에서 '붕어는 안 들었어요'라는 말을 말미에 붙였다.